뷰페이지

대전엑스포와 해외 사례 살펴보니

대전엑스포와 해외 사례 살펴보니

입력 2012-08-23 00:00
업데이트 2012-08-23 0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전엑스포, 과학공원으로 활용 매년 수십억 적자… ‘계륵’ 전락

여수박람회장의 활용 문제를 논의할 때 1993년 개최된 대전엑스포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대전엑스포는 행사기간 1400만명이 방문해 ‘황금알을 낳는 사업’으로 주목받았지만 현재는 초라하기 짝이 없다.
이미지 확대


대전엑스포는 초기 국가관리 체계로 출발해 재단 설립→민간 위탁→재단 직영→매각 추진→지방공사 운영 등의 곡절을 겪었다. 기념재단 설립 후 민간 운영업체를 선정, 1994년 8월 7일 엑스포과학공원으로 개장했지만 자금 부담을 이기지 못하고 97년 계약을 해지했다. 98년 재단이 직영하면서 과학공원 매각을 추진했지만 무산됐고 결국 99년 산업자원부에서 대전시로 무상양여가 이뤄졌다.

대전시는 정부에서 이관받은 3163억원(현물 2263억원, 현금 900억원)을 자본금으로 지방공사를 설립했다. 그러나 관람객의 발길이 끊긴 과학공원은 ‘계륵’으로 전락했다. 투자가 뒷받침되지 않자 시설물 관리 비용이 많이 드는 전시관들이 우선적으로 폐관됐다.

‘그 밥에 그 나물’로 명맥만 유지하고 있는 과학공원은 잊혀진 역사가 됐다. 전체 17개 전시관 중 현재 남아 있는 전시관은 14개, 운영되는 전시관도 공기업과 지자체 등에서 관리하는 9개에 불과하다.

초기 300만명에 달했던 입장객 수는 매년 감소해 70만명 수준까지 떨어졌으나 2006년 무료입장 조치 이후 100만명을 유지하는 수준이다. 운영업체와의 소송에서 패해 273억원을 배상했고 유일한 수익원인 임대수입마저 떨어지면서 연평균 43억원의 적자(감가상각비 포함 시 100억~110억원)가 발생했다. 지난해 기준 현금 보유액은 150억원에 불과하다. 급기야 2008년 행정안전부가 누적적자 등을 이유로 법인청산명령을 내렸다.

정부대전청사 박승기기자 skpark@seoul.co.kr

2012-08-23 6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