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멈춘 철마 보면 밀고, 끌고서라도 고향 가고파”

“멈춘 철마 보면 밀고, 끌고서라도 고향 가고파”

입력 2014-09-18 00:00
업데이트 2014-09-18 00: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8일 철도의 날 115주년… 북한 출신 박정철 코레일 과장

“명절에 고향 가겠다고 새벽같이 표 사러 나온 사람들 보면 너무 부럽지요. 임진각의 ‘철마는 달리고 싶다’ 글귀를 보면 멈춘 기차를 밀고 끌고서라도 가고 싶습니다. 우리 세대에 통일 돼 다시 고향땅을 밟을 수 있을까요.”
이미지 확대
박정철 코레일 과장
박정철 코레일 과장


‘철도의 날’(18일)을 하루 앞둔 17일 서울 동대문구 코레일 수도권동부본부에서 만난 박정철(40) 과장은 체제 장벽에 막혀 갈 수 없는 고향땅에 대한 그리움을 토로했다. 현재 노무팀에서 일하는 박 과장은 1998년 부모와 누이, 아내, 아들과 함께 탈북해 한국에 정착했다. 북한에서 철도학교를 졸업한 뒤 철도부에서 일한 경력이 인정돼 2000년 코레일(당시 철도청)에 입사했다. 수송원부터 역무원, 관제원, 열차 차장, 부역장을 거친 그는 북한에서의 근무 경력을 합하면 20년 가까이 철도 현장을 지켰다.

그가 철도를 업으로 삼게 된 것은 어쩌면 운명일지도 모른다. 땅끝마을 전남 해남 출신의 아버지는 6·25전쟁 때 국군으로 참전했다가 북한군 포로가 됐다. 3년 만에 전쟁은 멈췄지만, 아버지는 북한의 송환 거부로 고향땅에 돌아올 수 없었다. 박 과장은 “출신성분이 나쁜 아버지는 함북 회령 탄광에서 평생 광부로 일해야 했다”면서 “북한은 군대를 다녀와야만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지만 국군 포로의 아들이란 이유로 입대조차 할 수 없었다”고 털어놓았다. 군대도, 대학도 갈 수 없었던 그는 철도를 자신의 진로로 정하고, 철도학교를 졸업한 뒤 회령역에서 역무원 일을 시작했다.

박 과장은 “처음 한국에 왔을 때는 북한 억양과 사투리 때문에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을 정도였지만, 철도 용어나 시스템은 남북한 모두 공통 요소가 많아 쉽게 적응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남북한 철도 격차도 실감했다. 그는 “한국은 2000년대 이후 모든 시스템이 자동화되고 KTX가 생기는 등 눈부시게 발전했지만, 북한은 1990년대 후반까지 열차의 80%가 증기기관차였고, 레일을 시설부 직원들이 직접 손으로 깔 정도로 열악했다”고 설명했다.

지난 6월, 그의 아버지는 고향땅 해남에서 눈을 감았다.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한을 풀어서인지 편안하게 임종을 맞았고, 국립 대전현충원에 안장됐다. 반면 박 과장은 한국으로 오면서 고향을 잃었다. 그는 “남북 철길이 다시 열리면 처음 시작했던 회령역을 지나 중국과 러시아로 뻗어나가는 곳에서 역장을 하고 싶다”며 활짝 웃었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14-09-18 1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