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만화 ‘미생’ 돌풍/문소영 논설위원

[씨줄날줄] 만화 ‘미생’ 돌풍/문소영 논설위원

입력 2014-11-01 00:00
업데이트 2014-11-01 01: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윤태호 작가의 만화 원작을 기반으로 한 ‘미생’이 케이블TV의 드라마로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일본처럼 우리도 만화 원작의 영상시대가 도래하는가 싶어 환호하고 싶다. 특히 ‘노다메 칸다빌레’를 비롯해 일본 만화를 기반으로 한 한국 드라마가 시청률에서 죽을 쓰는 상황에서 놀라운 일이다. 한국의 ‘88만원 세대’가 겪는 고충을 제작진들이 정확히 포착해 표현하고 있는 것 같다.

‘미생’(未生)은 바둑에서 아직 살아있지 않은 돌을 의미한다. 미생이 되지 않으려면 19 곱하기 19인 바둑의 공간에서 두 집을 내야 한다. 두 집을 내지 못하면 아무리 대마라도 살아 있는 것이 아니다. 미생의 주인공 장그래는 열한 살에 한국기원 연구생으로 들어가 프로바둑기사만을 목표로 살아가던 청년이다. 바둑밖에 모른다. 그런데 장그래는 입단에 실패하고서 종합상사 ’원 인터네셔널’에 입사해 사회에 적응해야만 했다. 심지어 장그래의 입사는 이른바 ‘연줄’에 의한 것이다. 대졸도 입사원서를 내기 어려운데 장그래는 사장의 호의로 입사원서를 냈다. 우리가 혐오하는 이른바 ‘낙하산 인사’이다. 하지만 장그래는 입사원서를 낼 기회를 잡았을 뿐이고, 그 이후는 장그래가 보여주는 실력과 감성에 따라 상황이 달라진다. 그렇다면, 왜 사람들은 미생에 열광하는가? 일자무식인 장그래가 수출기업인 상사에서 적응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일중독중인 ‘오 과장’과 사수인 ‘김 대리’ 등이 있었기 때문이다. 낙하산이지만 최선을 다하고, 그 낙하산을 훈련시키는 좋은 선배들과의 관계가 사람들을 매혹하지 않았는가 싶다. 후배를 승진의 도구로 삼지않는 좋은 선배를 만난다는 것이 하늘에서 별 따기에 가까운 세상이 된 탓이다.

장그래는 프로바둑 기사로 매진했으나 좌절한 인생이다. 우리의 삶처럼. 즉 죽은 돌인 사석(死石)이다. 스펙쌓기로 보면 완전히 망가진 20대 청년이 좌절하지 않고, 새로운 길을 찾아나서 성공했다는 내용에 20~40대가 환호하는 이유를 찾아야 한다. 우선 사석을 미생으로 돌려놓을 수 있는 ‘패자부활전’의 사회적 변화를 원하지 않을까 싶다. 둘째 장그래는 현실에서는 거의 볼 수 없는 훌륭한 직장 상사들을 만났다. 좋은 상사에 대한 갈망을 역시 볼 수 있다. 좋은 인연이야말로 최고의 선물임을 장그래는 자신의 회사 인맥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작가 윤태호가 얼마나 치열하게 미생을 구현했는가는 예비 만화가들에게 주요한 관전 포인트이겠지만, 미생 소비자에게 그것은 별로 중요하지 않다. 다만, 미생이 현실에서 을(乙)과 갑(甲)의 행태를 적나라하게 보여준다는 점에서 공감을 얻고 있다. 이 공감력이 세상을 변화시킬 원동력이 됐으면 좋겠다.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2014-11-01 2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