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김성수의 시시콜콜] ‘황우여 키드’

[김성수의 시시콜콜] ‘황우여 키드’

입력 2014-12-31 00:06
업데이트 2014-12-31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로스앤젤레스올림픽을 했던 1984년 학력고사를 치렀다. 당시 영어는 필수과목이 아니었다. 영어가 약한 학생들은 프랑스어, 스페인어 등 제2외국어를 대신 택했다. ‘점수 따기’가 쉽다는 소문이 나면서 너도나도 일본어에 대거 몰렸다. 사회 분위기상 부정적인 여론이 비등했다. 이 탓인지 1985년 치른 학력고사에서는 영어가 필수로 바뀌었다. 덩달아 제2외국어도 필수가 됐다. 이미 고3 때 영어책을 버렸던 많은 아이들은 ‘멘붕’에 빠졌다.

이미지 확대
김성수 산업부장
김성수 산업부장
30년 전 일이지만 대입제도를 이렇게 떡 주무르듯 고쳐도 되나 하는 생각을 했던 기억이 또렷이 남아 있다. 광복 이후 우리 대입제도는 크게 바뀐 것만 16번이다. 교육 수요자인 학생과 학부모의 입장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위정자들의 판단에 따라 ‘널뛰기’를 했다. 억울한 피해자도 양산했다. 김대중 정부 때 이해찬 교육부 장관은 “공부는 못해도 특기 한 가지만 잘하면 대학에 갈 수 있다”면서 보충수업, 자율학습을 다 없앴다. 결과는 실패였다. 전체적으로 학력 저하만 불러왔다. 이들이 이해찬 장관 시절 고등학교에 다니다 2002년 이후 2~3년간 대학에 들어간 ‘이해찬 키드’다.

과거의 실패에서 배울 만도 한데 똑같은 잘못을 반복하는 것은 진보와 보수가 따로 없는 것 같다. 황우여 교육부 장관은 수능 영어를 절대평가로 바꾸겠다고 했다. 지금 중3인 1999년생이나 2000년생 아이들부터다. 지난 2월 박근혜 대통령이 “영어 사교육 부담을 대폭 줄이라”고 지시한 게 출발점이 됐다. 만약 박 대통령이 수학 사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했더라면 수학을 절대평가로 바꿨을 것이다. 일정 점수를 넘겼을 때 모두 똑같은 평가를 받는다면 굳이 영어에 매진할 이유가 없다. 전체적으로 영어 학력 저하로 이어지기 쉽다. 영어가 필수인 글로벌 사회에서는 치명적인 약점이다. 사교육비 경감 효과에 대한 논란은 뒤로하더라도 중3 아이들이 나중에 ‘황우여 키드’가 될 것이라는 걱정이 앞선다. 차기 정권이 수능 영어 절대평가를 유지할 것 같지도 않다. 박근혜 정부도 전(前) 정부 정책을 없앴다. 만약 중3들이 “우리만 운이 없어 이렇게 된 것 아니냐”고 항변하면 어떻게 설명해 주나.

충분한 의견 수렴과 사회적 합의를 거치지 않고 대입제도를 손대는 건 잘못이다. 위에서 시킨다고 아이들을 교육정책의 모르모트로 만들어서는 안 된다. 제대로 된 교육 당국이라면 절대평가제를 먼저 내놓을 게 아니라 영어 공교육을 정상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부터 고민해야 한다. 아이디어도, 자신도 없다면 차라리 아무것도 안 하는 게 더 낫다.

sskim@seoul.co.kr
2014-12-31 3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