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도난당해 경매 나온 불상 아직 박물관 수장고에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도난당해 경매 나온 불상 아직 박물관 수장고에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16-07-22 23:04
업데이트 2016-07-23 03: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제천 정방사 관음보살상

충북 제천의 금수산(錦繡山)은 글자 그대로 비단에 수를 놓은 듯한 풍광을 자랑한다. 원래 이름은 백암산(白岩山)이었다고 한다. 중턱부터 꼭대기까지 곧추 솟은 바위 봉우리들이 하얀 빛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단양군수로 부임한 퇴계 이황이 일대의 산하(山河)를 둘러보다 수려한 모습에 반해 금수산이라 이름을 바꾸어 불렀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도난당한 뒤 되찾았으나 아직 제자리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는 정방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도난당한 뒤 되찾았으나 아직 제자리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는 정방사 목조관음보살좌상.
이미지 확대
제천 금수산 자락 의상암에 자리잡고 있는 정방사 전경.
제천 금수산 자락 의상암에 자리잡고 있는 정방사 전경.
●정방사 문무왕 2년에 창건… 1825년 법당 중건

금수산은 해발 고도가 1016m에 이르니 간단치 않다. 단양팔경을 이루며 서쪽에서 흘러 내려온 남한강이 남쪽으로 한바탕 휘감아 나가는 서쪽 어귀에 자리잡고 있다. 정방사(淨芳寺)는 신선봉에서 뻗어 내린 능선 자락 의상대라 이름 붙여진 암벽에 매달리듯 안겨 있다. 의상대와 절집의 조화도 조화지만, 마당에서 바라보이는 산천의 풍경은 더욱 절묘하다.

의상대라는 작명(作名)에서 짐작할 수 있듯 정방사에 전해지는 역사는 신라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문무왕 2년(662)에 의상대사가 창건했다는 것이다. 의상대사가 깨달음을 얻은 뒤 더욱 정진할 절을 짓고자 지팡이를 던지자 이곳으로 날아와 꽂혔다는 전설이 있다. 하지만 정방사에서 굳이 의상대사의 흔적을 찾으려 애쓸 필요는 없을 것이다. 1825년 법당을 중건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는데, 본격적인 역사가 시작된 시기로 봐도 좋겠다.

큰법당은 원통보전(圓通寶殿)이라 편액했으니 관음도량이다. 분명 여섯 칸이지만 최대한 자세를 낮추어 소박하기만 하다. 화려한 공포로 날카롭게 솟은 주위 바위산과 경쟁하듯 지붕을 높였다면 오히려 어색해 보였을 것이다. 자재 조달이 쉽지 않고 법식에 능통한 편수를 구하기도 쉽지 않았겠지만, 절집을 지은 스님이 머금었던 미의식의 일단을 짐작하게 한다.

●해변 봉우리 산다는 관음보살 앞엔 ‘청풍호 바다’

원통보전에서 청풍호를 바라보고 있노라면 옛 사람들의 신통력에 무릎을 치게 된다. 불교에서는 관음보살이 바닷가에 우뚝 솟은 흰꽃이 만발한 봉우리에 살고 있다고 가르친다. 이 때문에 영험 있는 관음도량은 어느 나라건 바닷가에 자리잡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충주댐으로 남한강 물줄기가 막히며 생겨난 호수를 오늘날 ‘내륙의 바다’라고 부르고 있으니 놀라운 일이다. 관음보살의 상주처로 정방사의 입지는 이렇게 완성됐다.

큰법당에는 당연히 관음보살이 모셔져 있다. 원래 정방사의 주존은 높이 51㎝, 어깨폭 20㎝의 작은 목조관음보살좌상이었다. 개금(改) 불사 당시 불상의 복장에서 발원문이 발견됐는데, 청나라 연호로 강희 28년(1689) 조성했음을 밝혀 놓았다. 그런데 삼존불이라고 적어 놓았으니 당초에는 삼존불의 좌협시보살이었음을 알 수 있다. 어느 절에 삼존불로 모셔졌다가 알 수 없는 이유로 어느 시기 관음보살만 정방사로 옮겨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도둑이 훔쳐가… 공소시효 지나자 작년 경매에

이 관음보살상은 2000년 7월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됐지만, 2004년 도둑이 훔쳐 갔다. 그러니 지금 정방사 원통보전에 모셔져 있는 관음보살은 옛날 그분이 아니다. 그런데 지난해 5월 서울경찰청 광역수사대에 전화가 걸려 왔다. 불교문화재 특별경매전에 출품된 불상이 아무래도 정방사 관음보살상인 것 같다는 조계종 총무원 관계자의 제보였다.

●수사·재판 중… 보안 문제로 불교중앙박물관에

대담하게 경매에 내놓은 것은 장물 취득 및 알선 범죄의 공소시효인 7년이 지났기 때문이다. 관음보살상뿐 아니라 역시 정방사에서 훔쳐 간 나한도도 나왔다. 관음보살상은 이후 정방사로 곧바로 돌아갈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컸지만, 지금도 불교중앙박물관 수장고에 있다. 수사와 재판이 완전히 마무리되지 않았고, 정방사의 보안에도 문제가 있다는 판단 때문이라고 한다. 곡절도 많은 정방사 관음보살이다. 벌써부터 금수산 아래 청풍호의 모습을 몹시도 그리워하고 있지 않았을까 싶다.

글 사진 dcsuh@seoul.co.kr
2016-07-23 2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