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윤병세·리용호, 남북 외교수장 ARF 참석…북핵외교전 돌입

윤병세·리용호, 남북 외교수장 ARF 참석…북핵외교전 돌입

장은석 기자
입력 2016-07-23 21:09
업데이트 2016-07-23 21: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윤병세 “북핵위협 부각할 것”…미·중·일과 회동 추진

이미지 확대
아세안 관련 연쇄 외교장관회의 열릴 NCC
아세안 관련 연쇄 외교장관회의 열릴 NCC 23일부터 26일까지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을 비롯한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 관련 연쇄 외교장관회의가 열리는 라오스 비엔티안 국립컨벤션센터(NCC). 2016.7.23 연합뉴스
남북 외교수장이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참석차 라오스로 출국, 북핵 외교전에 돌입했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ARF을 비롯한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 관련 연쇄 외교장관회의 참석차 23일 라오스로 출국했다.

윤 장관은 이날 오후 인천공항을 통해 출국하기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이번 회의를 통해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이 한반도와 동북아를 넘어서 국제사회 전체의 평화와 안전을 위협하는 중요한 사안이란 것을 부각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24일 낮(이하 현지시간) 라오스 수도 비엔티안에 도착, 메콩 유역 5개국 외교장관과의 회의를 시작으로 아세안 관련 회의 일정에 돌입한다.

이후 25일 한·아세안, 26일 아세안+3(한중일)·동아시아정상회의(EAS) 외교장관회의에 이어 이번 일정의 ‘하이라이트’인 ARF 외교장관회의에 참석한다.

비엔티안 국립컨벤션센터(NCC)에서 열리는 아세안 관련 외교장관회의에는 윤 장관과 리용호 북한 외무상,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 등 6자회담 당사국 외교수장이 모두 참석할 예정이다.

윤 장관은 24∼25일 중으로 미국, 중국, 일본 등 주요국 외교수장들과 양자 회담을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중일에 더해 아웅산 수치 미얀마 외교장관과 라오스, 호주, 베트남 등 총 15개국과 회담 또는 환담이 추진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리용호 외무상과 왕이 부장, 기시다 외무상도 24일 라오스에 입국할 것으로 알려져 아세안 회의를 무대로 한 역내 국가들의 외교전이 본격적으로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23일 리용호가 ARF 참석을 위해 평양을 출발했다고 보도했다. 리진쥔(李進軍) 북한 주재 중국대사가 주북 라오스대사와 함께 공항에서 리용호를 전송했다.

리용호는 중국·러시아와의 회동을 적극 추진하는 한편,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을 상대로 한 미국의 최근 인권 제재 등을 ‘대북 적대시정책’으로 비난하며 핵보유국 지위를 인정하라는 공세를 펼 것으로 보인다.

우리 정부도 남중국해, 주한미군 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사드) 배치를 둘러싼 갈등 속에서 중·러를 비롯한 국제사회의 대북 압박공조를 다잡는 데 총력을 기울일 것으로 전망된다.

남북간 이같은 외교대결은 현재 각국이 협상 중인 ARF 의장성명 등 각종 회의 결과문서 문안을 둘러싼 줄다리기로 집약된다.

정부는 특히 북한이 다음 달 을지프리덤가디언(UFG) 연습 등을 빌미로 조만간 5차 핵실험 등 전략적 도발에 나설 수도 있다고 우려하고 있어 도발 억제를 위한 메시지 발신에도 신경쓸 것으로 보인다.

한미가 대북압박에 집중하는 만큼 남북, 북미 외교수장 간의 유의미한 접촉 가능성은 낮다는 관측이다.

윤 장관은 리용호와 만날 가능성에 대해 “다자회의니 회의 중에 마주칠 가능성은 배제하지 않고 있다”면서도 “현재 계획 중에 있는 것은 없다”고 기자들에게 전했다.

미중 간 주요 갈등 현안이자 아세안 국가들도 당사자인 남중국해 문제는 북한 핵 못지않게 이번 연쇄 외교장관회의의 최대 화두다.

윤 장관은 “과거 어느 때보다 남중국해 문제와 관련된 이해관계국 간의 긴장, 갈등 이런 것이 집중적으로 논의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남중국해 문제를 두고 대립하는 미·중, 중·일이 참여하는 아세안+3, 동아시아정상회의(EAS) 협의체는 외교장관회의에 앞서 23일 고위관리회의(SOM)를 열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