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학생 절벽… 18만명 더 줄었다

학생 절벽… 18만명 더 줄었다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6-08-30 22:32
업데이트 2016-08-31 01: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해 유치원~고교생 663만명…중학생 작년보다 13만명 감소

대학 진학률도 ‘뚝’… 첫 60%대
다문화 학생 5년 새 2배 10만명


올해 유치원생부터 고등학생까지 학생 수는 지난해보다 18만여명이 줄어든 663만여명으로 집계됐다. 감소 인원 중 3분의2 이상이 중학교 학생의 감소분으로, 중학생은 전년보다 13만명 가까이 줄었다. 반면 다문화 학생은 5년 전보다 2배 이상 늘어나 10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미지 확대
이런 수치는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이 올해 4월 1일을 기준으로 조사해 30일 발표한 ‘2016년 교육기본통계’에 담겼다.

이 통계에 따르면 유치원~고등학생 수는 663만 5784명으로 지난해보다 18만 4143명(2.7%)이 감소했다. 감소 폭은 지난해 2.4%보다 0.3% 포인트 늘어났다.

●‘밀레니엄 베이비’ 고교로 빠져나가

중학생 수는 전년보다 12만 8461명(8.1%)이 준 145만 7490명이다. 초등학생(267만 2843명)이 1.5%, 고등학생(175만 2457명)이 2.0% 준 데 비하면 급격한 감소다. 이런 현상은 ‘밀레니엄 베이비’로 불리는 2000년 출생자의 고교 진학에 따른 감소분이 1학년 학생의 증가분보다 컸기 때문이다.

올해 고등학교 졸업자의 진학률이 69.8%인 것과 연계해 보면 이들 중학생이 대학에 진학하기 시작하는 ‘2020학년도 대입’에 빨간불이 예상된다. 대학 진학률(등록 학생 기준)은 2010년 75.4%로 정점을 찍고는 2012년 71.3%, 2013년 70.7%, 2014년 70.8%로 하락하다 올해 처음 70% 아래로 떨어졌다.

올해 대학 등록자가 42만 3997명인 점을 감안하면 현 중3 학생(52만 5256명)의 80%가 대학에 가야 대학 정원을 유지할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국내 학생 수는 감소한 반면 다문화 학생 수는 놀라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외국인 출신 부모를 둔 다문화 학생 수는 지난해보다 20.2% 증가한 9만 9186명으로 나타났다. 전체 학생 중 다문화 학생 비중은 1.7%로 지난해보다 0.3% 포인트 커졌다. 4만 6954명이었던 2012년과 비교하면 2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국내에서 태어난 학생이 계속 늘어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학교급별 다문화 학생 비율은 초등학생 2.8%, 중학생 1.0%, 고등학생 0.6%를 보이고 있다. 다문화 학생 부모의 출신 국적은 베트남이 24.2%로 가장 많았다. 이어 중국(21.3%), 일본(13.0%), 필리핀(12.6%)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외국인 유학생도 첫 10만명 돌파

외국인 유학생 수도 지난해보다 14.2% 증가한 10만 4262명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10만명을 넘어섰다. 외국인 유학생 수는 2011년(8만 9537명) 이후 계속 줄어 2014년에는 8만 4891명까지 떨어졌다가 2015년 이후 증가세로 돌아섰다.

외국인 유학생 중 중국인 유학생은 61.7%로 가장 많다. 중국인 유학생 비중은 2010년에는 76.6%에 이르렀지만 이후 계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을 제외하고 베트남(5.5%), 몽골(3.6%), 미국·일본(2.5%)에서 온 유학생이 많다.

한편 일반대학과 전문대, 방송통신대 등 고등교육기관의 전체 재적 학생은 351만 6607명으로 지난해보다 9만 1464명(2.5%) 감소했다. 일반대 재적생은 지난해보다 1.3% 포인트, 전문대 재적생은 3.2% 포인트 줄어들었다. 전체 감소 학생 중 33.1%는 방송통신대 학생이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6-08-31 1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