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고전으로 여는 아침] 크레온의 의무와 안티고네의 의무/박경귀 국민대통합위원회 국민통합기획단장

[고전으로 여는 아침] 크레온의 의무와 안티고네의 의무/박경귀 국민대통합위원회 국민통합기획단장

입력 2016-10-04 22:46
업데이트 2016-10-05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내가 살고자 하면 오빠의 시신은 들짐승과 새들의 밥이 되고, 내가 거두어 장례를 지내면 내가 죽는다.’ 어찌해야 하나. 인생의 여정에서 맞닥뜨리는 비극과 파멸은 운명의 장난인가, 아니면 인간의 무지와 오만의 결과인가. 소포클레스(BC 496~406)의 비극 ‘안티고네’는 인생의 결정적인 순간에 저질러진 인간의 고집과 오판이 예기치 못한 비극적인 파멸을 불러올 수 있음을 잘 보여 준다.

이미지 확대
박경귀 국민대통합위원회 국민통합기획단장
박경귀 국민대통합위원회 국민통합기획단장
오이디푸스가 죽은 후 테베에서는 오이디푸스 왕의 쌍둥이 아들인 에테오클레스와 폴리네이케스가 1년씩 왕위를 교대하기로 한다. 하지만 먼저 왕위를 차지한 장남 에테오클레스가 1년이 지나도 왕위를 폴리네이케스에게 넘겨주지 않자 폴리네이케스는 장인의 나라 아르고스의 군대를 이끌고 조국 테베를 공격한다. 두 사람은 교전 중에 전사한다.

테베의 섭정이던 크레온은 조국을 배신한 반역자 폴리네이케스의 주검을 들판에 버려 들짐승과 새들의 먹이가 되도록 하면서 주검을 거두어 장례를 치르려는 사람은 누구든 돌로 쳐 죽이라는 포고령을 내린다. 하지만 이 명령을 어긴 사람이 나온다. 폴리네이케스의 여동생 안티고네가 바로 그 사람이다. 그녀는 남몰래 오빠의 시신을 묻고 장례의식을 행함으로써 이를 둘러싼 갈등을 불러온다.

이 비극을 관통하는 갈등 구조는 국법이 우선인가, 아니면 인륜, 나아가 ‘신의 법’이 우선인가를 둘러싼 대립이다. 이러한 법과 윤리의 충돌 상황은 양측 모두에게 비극적 상황으로 귀결된다. 크레온은 섭정으로서 조국을 침공한 폴리네이케스의 반역을 단죄할 책무가 있었다. 반면 안티고네는 오빠가 비록 국법을 어겼지만, 그의 주검조차 거두지 못하는 것은 인륜을 저버리는 일이라고 생각했다.

안티고네는 혈족인 친오라버니를 무덤에 묻어 주는 것이 자신의 죽음보다 더 영광스러운 일이라고 믿었다. 누가 옳은가. 둘 다 옳아서 비극이다. 그런데 크레온에게 더 많은 비판이 쏠려 왔다. 하지만 당시 그리스의 관습과 법에 따르면 반역자의 시신을 거두지 못하게 한 것 자체는 잘못된 결정은 아니다. 예외 없는 법의 집행이냐, 아니면 혈족에게 예외를 둘 것이냐가 크레온이 직면한 고뇌였다.

크레온의 의무와 안티고네의 의무의 대립은 극단적인 한 예다. 이들의 대립을 통해 무엇이 인간의 삶을 결정하는 정당한 기준이 될 수 있는지 숙고하게 한다. 엄격한 법의 집행도 중요하지만, 그 법의 정신이 인간의 자연법적인 도리와 신의 섭리와 배치될 때, 인간 사회에 또 다른 갈등과 비극의 씨앗이 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부정청탁금지법이 발효됐다. 그동안 끈끈한 유대 속에서 국법과 정의를 혼탁하게 하던 혈연, 지연, 학연의 예외적 상황들이 인륜과 상규(常規)로 포장돼 법과 대립하지 않길 바란다.
2016-10-05 29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