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송도, 강남 등 지역 대표 브랜드 분양예고… ‘텃밭’ 다진다

송도, 강남 등 지역 대표 브랜드 분양예고… ‘텃밭’ 다진다

입력 2017-05-26 10:34
업데이트 2017-05-26 1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지역 대표 단지들을 다수 공급한 브랜드의 경우 지역민에게 인지도와 선호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건설사 역시 해당지역 주민들의 니즈를 잘 파악한 단지를 설계해 성공적인 분양을 이어나갈 수 있다. 여기에 대단지 브랜드 타운이 형성되면서 향후 지역 랜드마크로 자리잡게 된다.
지역 대표 단지들을 다수 공급한 브랜드의 경우 지역민에게 인지도와 선호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건설사 역시 해당지역 주민들의 니즈를 잘 파악한 단지를 설계해 성공적인 분양을 이어나갈 수 있다. 여기에 대단지 브랜드 타운이 형성되면서 향후 지역 랜드마크로 자리잡게 된다.
송도, 강남 등 각 지역의 ‘텃밭’ 브랜드 건설사들이 올해도 새 아파트를 선보일 예정이다.

지역 대표 단지들을 다수 공급한 브랜드의 경우 지역민에게 인지도와 선호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건설사 역시 해당지역 주민들의 니즈를 잘 파악한 단지를 설계해 성공적인 분양을 이어나갈 수 있다. 여기에 대단지 브랜드 타운이 형성되면서 향후 지역 랜드마크로 자리잡게 된다.

업계 관계자는 “지역 내 명성 있는 브랜드가 앞서 공급한 단지들에 대한 선호도는 새로 분양할 단지의 기대감으로 이어진다”며 “지역 대표성을 띄기 때문에 주변 시세를 견인하고 찾는 사람들도 많다”고 말했다.

포스코건설이 위치한 인천 송도는 ‘더샵’ 브랜드가 집중적으로 들어섰다. 실제 송도국제도시 개발이 시작된 2003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4만8,441가구가 공급됐는데 이 중 포스코건설이 1만7,824가구를 분양했다. 이는 전체의 36.7%에 해당하는 것으로, 송도 아파트 10채 중 3~4채 정도가 ‘더샵’ 아파트인 셈이다.

포스코건설은 2005년 ‘송도 더샵 퍼스트월드(1,596가구)’ 공급을 시작으로 ‘더샵 센트럴시티(2,610)’까지 무려 23개 단지를 분양했다. 주택공급량만 많을 뿐만 아니라 포스코건설은 미국 부동산 개발업체 게일인터내셔널과 함께 송도국제업무지구 개발을 진행하고 있어 더욱 송도의 대표적인 건설사로 알려져 있다.

브랜드 프리미엄은 시세에도 상당한 영향을 주고 있다. KB부동산시세에 따르면 송도아파트 중 가장 높은 가격을 형성한 단지는 송도더샵그린워크3차, 더샵그린워크1차, 더샵센트럴파크2차 순으로 상위권에 ‘더샵’ 아파트가 포진돼 있다.

포스코건설은 오는 6월 2년 만에 송도에 새아파트를 공급한다. 송도국제도시 핵심 사업이었던 랜드마크시티(송도 6〮8공구)에 ‘랜드마크시티 센트럴 더샵’을 선보일 예정이다. 지하 3층~지상 최고 49층, 12개 동, 총 3,472세대 규모의 이 단지는 아파트·오피스텔·상업시설로 이뤄진 송도 최대규모의 매머드급 복합주거단지로 조성된다. 이 단지는 인천국제공항, 제2외곽순환도로, 골든하버(2019년 개장 예정), 아암복합물류단지, KTX송도역(2021년 예정) 등이 인접해 육〮해〮공을 아우르는 교통망을 갖췄으며 오피스텔 지상 1~2층에 마련되는 단지 내 상가가 연면적 약 1만5,600㎡의 대규모로 들어서 입주와 동시에 편의시설 이용이 가능하다.

재건축 열풍이 뜨거운 강남에는 삼성물산이 선도하고 있다. 강남 3구에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2만5,230가구의 재건축 아파트가 공급됐다. 이 중 1만551가구를 삼성물산이 공급했다. 절반 가량의 재건축 물량을 삼성물산이 맡은 것이다.

삼성물산은 지난해 ‘래미안 블레스티지’, ‘래미안 루체하임’ 등 2개 단지를 성황리에 분양한 개포택지개발지구에 7월 신규 공급에 나선다. 강남구 개포동 개포시영아파트를 재건축해 짓는 ‘래미안 강남포레스트’다. 이 단지는 지하 3층~지상 최고 35층, 29개 동, 전용면적 59~136㎡, 총 2,296가구 규모로 지어지며 이 중 208가구를 일반에 분양한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