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플은 어떻게 부모가 되는가

커플이 되는 것과 부모가 되는 것은 완전히 다른 문제인 것 같다. ‘~인 것 같다’라는 추측형 문장을 썼음에 양해를 구한다. 아직 나는 부모의 삶은 살아 보지 못했다. 막연히 상상만 해볼 따름이다. 하지만 지금 하는 어림짐작 따위, 내가 진짜 부모가 되면 다 틀리고 말 것이다. 영화 ‘24주’를 만든 앤 조라 베라치드 감독도 말한다. “실제로 그 상황에 처하기 전까지는 아무것도 알 수 없다.” 뭐든 꼭 해봐야 아는 것은 아니지만, 분명 꼭 해봐야 알게 되는 것도 있는 법이다. 특히 부모 마음이라는 것이 그렇다. 커플은 둘이라는 상수만 고려하면 되지만, 부모는 거기에 자식이라는 변수가 더해진다.
커플은 이것저것 따지며 짝을 얻는다. 반면 부모가 아무리 이것저것 따져도 자식은 어떻게 될지 모른다. 부모 입장에서 자식은 변수이면서 미지수이기도 하다. 확실히 커플이 되는 것과 부모가 되는 것은 완전히 다른 문제인 것이다. 아스트리드(줄리아 옌체)·마르쿠스(비얀 미들) 커플도 이런 문제를 겪는다. 사실 두 사람은 이미 아들 넬레(에밀리아 피에스크)를 둔 부모다. 그렇지만 이들은 둘째 아이를 가지면서, 부모 역할의 중요성을 이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진지하게 고민한다. 그럴 만한 사연이 있다. 임신 4개월째, 태아가 다운증후군이라는 검사 결과가 나와서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살다 보면 예상할 수 없는 일이 일어나기도 한다고 누군가 위로할지도 모른다. 아이가 장애가 있어도 잘 키울 수 있으니까, 용기를 잃지 말라고 누군가 격려할지도 모른다. 아스트리드·마르쿠스도 그것을 모르는 바가 아니다. 그래서 그들은 충격을 받긴 했으나, 아이를 포기하지 않기로 결심한다. (독일에서는 태아가 장애를 가진 것으로 판명되면, 출산 직전까지 낙태가 합법적으로 가능하다.) 여기까지가 영화의 3분의1 지점이다. 그렇다면 나머지 내용은 아이가 세상에 나온 다음의 이야기일까? 그렇지 않다. ‘24주’는 휴머니즘 가득한 영화가 아니라, 휴머니즘의 정체를 집요하게 질문하는 영화다.

의사는 태아의 심장에 이상이 있다고 진단한다. 태어난 후에 톱으로 뼈를 썰어 가슴을 여는 수술을 여러 번 받아야 한다고, 그렇게 해도 심장 기능이 회복될지 장담할 수 없다고 설명한다. 일단락됐던 아스트리드·마르쿠스의 고뇌는 이제 새로운 국면에 접어든다. 현실적으로는 이와 같은 처지에서 낙태를 택하는 비율이 90%에 달한다. 그러나 그 사람들의 결단을 놓고, 우리가 감히 어떻게 왈가왈부할 수 있단 말인가. 이것은 결정 불가능성의 극한이다. 앤 조라 베라치드 감독의 말마따나, “실제로 그 상황에 처하기 전까지는 아무것도 알 수 없다.” 이토록 막막한 문제에서 답을 찾는 과정 자체가 괴롭고 아프다. 답을 찾은 이후에도 계속 괴롭고 아플 것이다. 커플은 이렇게 부모가 된다. 15일 개봉. 청소년 관람불가.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