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고진하의 시골살이] 야성의 날개는 접지 않고 산다

[고진하의 시골살이] 야성의 날개는 접지 않고 산다

입력 2017-07-17 22:24
업데이트 2017-07-18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 평 남짓 될까. 나는 아주 작은 방에 산다. 둘이 누우면 딱 맞고, 셋이 누우면 좁은 방. 평소엔 혼자 지낸다. 70년이나 돼 낡은 한옥인데, 마을에서 오래 산 노인들 말로는 옛날에 머슴이 살았던 방이라 한다. 내가 이 집으로 이사 온 건 십 년이 채 안 된다. 대문간에 딸린 방이라 식구들은 문간방이라 하는데, 아내는 농담으로 나를 ‘문지기’ 또는 ‘머슴’이라 부른다. 그래도 서운치 않다. 요즘이 어떤 세월인가. 하루 세 끼를 꼬박 챙겨 먹는 삼식이(!)에게 군말 없이 밥상을 차려 주니 말이다.
한 평 남짓 되는 방에도 쨍쨍 햇빛이 든다. 동쪽으로 쪽창이 달려 있는데, 쪽창의 하얀 창호지 위로 은은한 아침 볕이 들기 시작하면 창밖의 소나무에 날아든 텃새들도 재잘재잘 우짖어 일찍 잠을 깨우곤 한다. 그렇게 햇빛과 새들의 지저귐이 은총처럼 스며들 때 내가 거하는 집은 축복받은 나의 큰 육체라는 생각이 든다.
이미지 확대
고진하 시인
고진하 시인
문간방에는 되도록 가구들을 많이 들여놓지 않는다. 이불과 요 한 채, 책 몇 권, 벽걸이에 걸어 둔 옷가지 두세 벌이 전부. 좁은 방에 물건을 많이 들여놓으면 산만해지기 쉽다. 필요 없는 물건이 많으면 또한 소중한 에너지를 빼앗긴다. 본래 나는 어린 시절 강원도 깡촌에서 자랐는데, 그때도 방들이 작았다. 얼마 전 퇴계가 거처하던 도산서원을 다녀온 적이 있는데, 방들이 모두 작았다. 퇴계 정도면 궁핍하지는 않았을 텐데, 왜 옛 사람들은 집 안의 방들을 작게 만들었을까.

땅덩어리가 좁은 나라인데도 언제부턴가 우리는 넓고 큰 집을 선호한다. 최근에는 귀농귀촌하는 인구가 늘어나는데, 그렇게 귀농귀촌하는 이들도 집을 터무니없이 크게 짓는다. 몸은 귀농귀촌을 하지만 마음은 도시에서 살 때처럼 문명의 혜택과 편리를 버릴 생각이 없는가 보다. 집이 크면 그것을 채우려고 하는 인간의 욕망도 그대로 작동하기 십상이다. 칼릴 지브란은 ‘예언자’의 ‘집에 대하여’라는 시에서 이렇게 노래했다.

“이 집들 속에 너희가 가진 것이 무엇이더냐? 문을 잠그고 너희가 지키는 것, 그것이 무엇이더냐? 편안함과 편안함에 대한 욕심뿐인가. 편안함을 탐하는 마음은 영혼의 정열을 죽이는 것, 그러고는 장례식장으로 웃음을 던지며 걸어가는 것이다.”

문명의 편리를 맛본 이들이 편리를 거부하기는 쉽지 않다. 지금 사는 집으로 이사 온 후 나도 한동안 힘들었다. 방마다 문이 낮으니 키가 큰 축에 속하는 나는 자주 이마를 부딪혔다. 쾅! 이마를 세게 부딪히고 나면 욕부터 튀어나왔다. 이제 이마를 부딪히는 일은 드물다. 소위 하심(下心)이 습성이 됐기 때문이다. 또한 뒷간이 집 바깥에 있어 부득불 요강을 쓰는데, 그 또한 익숙해져 요강이 내 몸의 일부처럼 됐다. 낮에는 용변을 집 바깥에서 해결하면서 야성이 조금씩 살아나는 느낌이다.

겨울이면 방을 덥히기 위해 아궁이에 불을 지핀다. 방에 불을 때고 살면서 왜 옛 조상들이 방을 조그맣게 지었는지 짐작하게 됐다. 방이 넓으면 연료가 많이 든다. 손수 산에 가 땔감을 마련해야 하는 시절을 산 이들은 그것이 얼마나 힘든지 안다. 한 평 남짓한 방은 땔감이 많이 들지 않는다. 대자연과 친숙한 야성의 사람은 절로 연료를 아끼고 절약할 줄 안다. 우리 시대에 절약만큼 더 큰 미덕이 있겠는가.

“너희는 덫에 걸리지도, 길들지도 말라. 너희의 집은 닻이 아니라 돛이 되어야 한다.” 앞서 인용한 시인의 말이다. 너무 편리에 길들면 우리의 집은 닻이 된다. 닻이 된다는 건 우리 존재가 영혼의 정열을 잃어버리고 삶이 정체된다는 것. 시인은 그래서 돛이 되라고 한다. 돛은 진보의 표상이 아닌가. 우리가 어떤 집, 어떤 공간에 사느냐에 따라 우리 존재는 지진아처럼 될 수도 있고, 바람을 받아 광활한 바다로 나아가는 배의 돛처럼 나날이 성숙한 존재로 여물어 갈 수도 있다.

오늘 아침에도 쪽창으로 스미는 햇빛과 새소리에 잠이 깼다. 흙과 나무 향이 물씬 나는 방, 햇빛 속에 날마다 영혼이 자라고, 밤의 고요와 별빛의 속삭임을 들으며 잠드는 방. 아침마다 낮은 문을 열고 겸손히 머리를 숙이고 바깥으로 나오지만, 그러나 야성의 날개는 접지 않고 산다.

2017-07-18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