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마크롱 효과’ 佛 소프트 파워 1위로… 한국은 21위

‘마크롱 효과’ 佛 소프트 파워 1위로… 한국은 21위

김민희 기자
입력 2017-07-18 23:34
업데이트 2017-07-19 02: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년보다 국가 매력지수 4계단↑… 美는 트럼프 리스크로 1위→3위

‘마크롱 효과’일까. 한 국가의 ‘매력 지수’를 나타내는 ‘소프트 파워’ 평가에서 프랑스가 1위를 차지했다. 30대의 젊은 수장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의 등장과 함께 프랑스의 폭넓은 외교 네트워크가 높게 평가됐다.
지난 4월 취임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국내는 물론 국제 사회에서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당당히 맞서는 등 강한 인상을 남겼다. 프랑스는 ‘마크롱 효과’에 힘입어 17일(현지시간) 발표된 ‘2017 소프트 파워 30’ 지수 보고서에서 1위에 올랐다. 사진은 17일 마크롱 대통령이 프랑스 파리 상원의사당에서 열린 영토 관련 전국 회의에서 연설하는 모습. 파리 AFP 연합뉴스
지난 4월 취임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국내는 물론 국제 사회에서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당당히 맞서는 등 강한 인상을 남겼다. 프랑스는 ‘마크롱 효과’에 힘입어 17일(현지시간) 발표된 ‘2017 소프트 파워 30’ 지수 보고서에서 1위에 올랐다. 사진은 17일 마크롱 대통령이 프랑스 파리 상원의사당에서 열린 영토 관련 전국 회의에서 연설하는 모습.
파리 AFP 연합뉴스
17일(현지시간) 영국 홍보업체 포틀랜드 커뮤니케이션스와 미국 남캘리포니아대 공공외교센터가 공동 발표한 ‘2017 소프트 파워 30’ 지수 보고서에서 프랑스는 종합점수 75.75점을 받아 1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5위에서 순위가 껑충 뛰었다. 영국(75.72)과 미국(75.02), 독일(73.67), 캐나다(72.90) 순으로 뒤를 이었다.

프랑스의 1위 등극은 ‘마크롱 효과’를 빼놓고 설명할 수 없다. 중도를 기치로 4월 대선과 6월 총선에서 잇따라 압승한 마크롱 대통령은 국제사회에서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당당하게 맞서며 강한 인상을 남겼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소통이 중시되는 외교무대에서 프랑스의 방대한 네트워크는 타의 추종을 불허했다”고 전했다.

재작년에는 영국이, 작년에는 미국이 ‘소프트 파워’ 1위에 올랐지만 상대적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영국 가디언은 영국은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를 놓고 유럽 국가들과 불화를 겪고 있는 점, 미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 이후 ‘러시아 대선 개입 스캔들’ 등 잡음이 끊이지 않는 점이 감점 요인이 됐다고 분석했다. 신문은 “트럼프 대통령이 파리기후변화협정 탈퇴를 발표한 후 여론조사가 이뤄졌으면 미국의 평판은 더욱 훼손됐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소프트 파워’는 군사력과 경제력 등 물리적 측정이 가능한 ‘하드 파워’에 대비되는 개념이다. 조지프 나이 미 하버드대 케네디스쿨 교수가 주창했다. 현대 사회에서 문화, 예술 등 인간의 이성 및 감성에 기반한 창조물이 하드파워보다 국력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는 이론에서 따온 개념이다. 올해로 3년째 발표된 ‘소프트 파워 30’ 지수는 세계 30개국을 대상으로 현지 여론조사와 다양한 측정 자료를 토대로 수치를 집계한다. 정부 효율성과 외교정책 등 거시 항목은 물론 거리 치안, 디지털 참여도, 경제혁신 수용 능력 등 광범위한 평가가 이뤄진다. 심지어 미슐랭가이드에서 별을 받은 식당이 몇 개인지도 항목에 들어 있다.

한국은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등 정치적 불안정성에도 불구하고 양성평등과 민주주의 정착을 위해 노력한 점을 인정받아 21위에 자리했다. 지난해보다 1계단 상승한 것이다. 보고서는 “국제적 관심을 불러일으킨 부패 스캔들에도 한국의 순위가 상승한 점이 놀랍다”면서 “진취적이고 참여를 중시하는 새 정부 출범으로 디지털 부문에서 보다 큰 성과를 낼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위권인 중국(25위)과 브라질(29위), 터키(30위) 등은 권위주위 체제 탓에 낮은 평가를 받았다. 나이 교수는 “이번 조사 결과는 글로벌 영향력의 균형추가 언제든 변할 수 있음을 보여 준다”면서 “아시아의 힘은 지속적으로 증가한 반면, 트럼프 대통령이 ‘나홀로 행보’를 고수하는 한 미국의 소프트 파워는 계속 약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민희 기자 haru@seoul.co.kr
2017-07-19 22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