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금요 포커스] 국립대 네트워크, 지역발전 동력 삼아야/나의균 군산대 총장

[금요 포커스] 국립대 네트워크, 지역발전 동력 삼아야/나의균 군산대 총장

입력 2017-07-20 20:36
업데이트 2017-07-20 22: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나의균 군산대 총장
나의균 군산대 총장
4차 산업혁명, 학령인구 감소, 대학 구조개혁, 취업난 등 지금 우리 대학들은 유례없는 소용돌이 한가운데에 놓여 있다. 새 정부가 추진할 대학 정책에 거는 기대가 그 어느 때보다 클 수밖에 없는 이유다.

그동안 정부 정책은 국립-사립, 수도권-지방, 연구-교육 등을 함께 고려하지 못하고 획일적인 지원만 해왔다. 말하자면 모든 대학에 같은 옷을 주고 그 옷에 대학이 몸을 맞추라는 식이었다. 이 때문에 대학들의 온전한 지지를 받지는 못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공약한 국립대학 네트워크 구축은 국립대를 위한 맞춤형 정책이다. 대학 간 네트워크를 구축해 국립대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우수 인재를 배출할 수 있도록 지역 국립대를 기능적으로 재구조화하는 선진적인 정책이라는 게 국립대의 반응이다. 국립대 구성원의 한 사람으로서 이 정책을 적극적으로 환영하고, 또 성공을 바라고 있다. 그렇기에 이 정책이 현장에 안착하기 위해 몇 가지 넘어야 할 산을 짚고자 한다.

먼저 부실 대학을 시급히 정리해야 한다. 지역 부실 대학은 대학과 지역혁신 네트워크의 발목을 잡는 ‘좀비’와도 같다. 부실한 대학 교육은 학생뿐 아니라 지역 산업체에도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한다. 그리고 일부 부실 대학 때문에 모든 대학이 구조개혁 평가에 매달리는 것도 대학의 잠재 역량을 크게 낭비하는 일이다. 각 대학에 대한 균형 있는 재정 지원을 위해서도 부실 대학은 속히 정리돼야 한다.

국립대의 역할 분담도 중요하다. 특히 대규모 거점국립대학과 중규모의 지역중심국립대학의 역할 분담이 절실하다. 거점대학이 세계적 연구중심 대학으로 커야 한다면, 지역중심대학은 산학협력에 기반해 교육과 연구를 통해 현장실무형 인재 양성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실제로 19개의 지역중심대학은 지역사회 풀뿌리 인재를 육성하고 있다. 예컨대 군산대는 취업생의 92%가 중소기업과 지역 산업체에서 활약하고 있다. 대학 각각의 특장점을 살리도록 육성 정책을 짤 필요가 있다. 차별적으로 지원하고, 일방적인 네트워크를 강요한다면 국립대 네트워크가 실패할 가능성이 크다.

대학 재정 지원은 대학과 대학 또는 대학-연구소-산업체-지자체 등이 함께 참여하는 컨소시엄 방식으로 전환하도록 해야 한다. 쉽게 말해 경쟁이 아니라 협력을 통해 서로의 장점들을 활용하도록 산학협력 생태계를 조성하자는 것이다. 예컨대 BK21 사업은 연구중심 거점대학에, ACE 사업은 교육 중심 지역중심대학이 컨소시엄을 주도하도록 개편하도록 해야 한다.

또 지역중심대학의 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맞춤형 특별 지원이 필요하다. 거점대학에 비해 학생이 절반 규모인 지역중심대학은 등록금 수입이 적어 재정 여건이 매우 열악하다. 이에 따른 시설·설비 격차는 교육 여건의 격차를 더 크게 벌인다. 이를 해소하지 못하면 국립대학 간 네트워크 구축에 큰 장애요인이 될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대학과 대학뿐 아니라 지역이 함께하는 혁신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둬야 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융·복합과 유기적 협력을 위해서는 지자체-대학-연구소-산업체 등이 연계하는 지역 혁신망 구축이 필수다.

참여정부 때부터 국가균형발전이라는 원대한 비전으로 시작한 혁신도시 건설 사업이 이제 정착기에 접어들었다. 각 지역에 연구소, 공기업, 민간기업들이 자리하고 이와 관련한 산업 분야별 클러스터가 형성됐다. 이 지역발전 프로젝트가 성공하려면 지역 대학의 참여와 역량 강화가 필수다. 분권과 균형발전은 지역을 기반으로 한다. 그러므로 지역 대학의 핵심 역할은 ‘지역사회 맞춤형 연구 및 인력 양성’이 되어야 한다.

대학 간 공유·협력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다. 국립대학 네트워크는 대학이 뿌리를 내리고 있는 지역사회와의 튼튼한 연계로 확장될 때 그 의미가 있다. 정부도 네트워크의 일원으로서 과거처럼 끌고 가는 리더십이 아니라 국립대학과 함께하는 새로운 리더십을 발휘하길 기대한다.

2017-07-21 2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