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유용하 기자의 사이언스 톡] “소뇌엔 ‘팩트 체크’ 기능…현실·환각 구분해 준다”

[유용하 기자의 사이언스 톡] “소뇌엔 ‘팩트 체크’ 기능…현실·환각 구분해 준다”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17-08-15 17:36
업데이트 2017-10-24 17: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伊·英 등 공동연구진 밝혀내

‘팩트 체크’ 안 되면 환각 증상
망상 심할수록 소뇌 활동 적어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존재한다.”(Cogito, ergo sum)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수학자로 근대 철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르네 데카르트가 남긴 유명한 말입니다. 데카르트는 진리를 확실히 인식하기 위해서는 조금이라도 확실치 않은 모든 것을 의심하는 ‘방법적 회의론’을 강조했습니다. 특히 오감을 통해 받아들여지고 만들어진 감각적 지식은 모두 의심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미지 확대
미국, 이탈리아, 영국, 스위스 공동 연구진이 사람의 뇌에 자체적인 팩트 체크 기능이 있음을 밝혀내고 이 기능에 이상이 생길 경우 조현병 같은 정신 질환에 걸릴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사이언스 제공
미국, 이탈리아, 영국, 스위스 공동 연구진이 사람의 뇌에 자체적인 팩트 체크 기능이 있음을 밝혀내고 이 기능에 이상이 생길 경우 조현병 같은 정신 질환에 걸릴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사이언스 제공
방법적 회의론자인 그가 풀지 못한 문제가 하나 있었다고 합니다. 바로 “우리의 감각을 항상 신뢰할 수 없다면 현실과 환각을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 것일까”라는 것이었습니다.

이와 관련해 1890년대 미국 예일대에서 재미있는 실험을 했습니다. 동물이 아닌 사람을 대상으로 조건반사 현상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는데 연구팀은 실험 참가자들에게 사진과 함께 특정한 소리를 반복적으로 들려줬습니다. 그다음에는 사진만 보여 준 뒤 어떤 소리를 들었는지 물었을 때 대부분의 사람이 처음 사진과 함께 보여 준 소리를 들었다고 답했다고 합니다. 사진을 보면서 반사적으로 머릿속으로 소리를 느끼는 조건반사 현상이자 일종의 청각적 환상을 경험한 것입니다.

예일대 의대 정신의학과, 이탈리아 고등국제연구대학(SISSA), 영국 막스 플랑크 런던대(UCL) 계산정신의학센터, 스위스 취리히대, 취리히 연방공과대 의생명공학 연구소 공동연구팀은 사람의 소뇌가 현실과 환각을 구분해 주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를 세계적인 과학저널 ‘사이언스’ 8월 12일자에 발표했습니다. 소뇌는 자세와 균형 유지, 자발적 근육운동 조절뿐만 아니라 미래의 움직임을 계획하고 조정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에 ‘팩트 체크’ 기능까지 갖추고 있다는 설명입니다. 소뇌에서 팩트 체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을 때 나타나는 현상이 바로 환각이나 망상이라는 것입니다.

연구팀은 정신적으로 건강한 일반인과 머릿속에서 다른 목소리를 듣는 중증 조현병(정신분열증) 환자, 심령술사를 대상으로 뇌 자기공명영상(MRI) 촬영을 했습니다. 그 결과 중증 조현병 환자와 심령술사들은 존재하지 않는 소리를 듣는 경우가 일반인들보다 5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뇌의 여러 영역이 비정상적인 활동을 보인다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특히 환각과 망상을 심하게 경험하는 사람일수록 소뇌의 활동이 적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우리의 뇌는 과거의 기대와 믿음에 끊임없이 의문을 제기하면서 현실 감각에 주목하는 팩트 체크 과정을 통해 망상에 빠지지 않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런 팩트 체크 과정은 사회적으로도 중요한 것 같습니다.

얼마 전 과학계는 차관급 인사 때문에 떠들썩했습니다. 그 때문에 한국 과학계의 깊은 트라우마로 남은 12년 전 ‘황우석 논문 조작 사건’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라 주목받기도 했습니다. 일부 심리학자나 정신의학자들은 신념과 기대가 지나쳐 객관적 사실을 압도해 나타난 과도한 자기 확신에 자신마저도 속인 사건이 황우석 사태라고 분석하기도 합니다.

사회적으로도 팩트 체크가 실패할 경우 이를 정상으로 되돌리는 데는 엄청난 사회적 비용을 치러야 한다는 사실을 황우석 사건이나 지난해 드러난 국정 농단 사건을 통해 우리는 이미 배운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edmondy@seoul.co.kr

2017-08-16 2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