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말빛 발견] ‘마라’와 ‘말라’/이경우 어문팀장

[말빛 발견] ‘마라’와 ‘말라’/이경우 어문팀장

이경우 기자
입력 2017-08-23 23:04
업데이트 2017-08-24 01: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경우 어문팀장
이경우 어문팀장
㉠ 먹지 마라. ㉡ 먹지 말라.

㉠과 ㉡은 같은 뜻을 전한다. 활용 형태도 명령형으로 같다. 차이는 있다. ‘ㄹ’이 있고 없고의 차이가 아니다. ‘ㄹ’ 하나 때문에 말의 가치가 달라진다.

‘마라’는 아랫사람 혹은 허물없이 친한 사람에게나 쓴다. 그러니 ‘마라’에는 ‘매우 친함’이나 ‘조심할 필요 없음’ 정도의 배경이 있다. 엄마가 아들에게 “길동아, 밥 먹어라” 할 때의 ‘먹어라’와 같은 의미 형태다. 조심할 상대나 예의를 갖춰야 할 대상에게 이런 식으로 말하면, ‘매우 친함’이 아니라 ‘낮춤’이 될 우려가 높다.

‘말라’는 가치중립적이다. ‘마라’와 비교한다면 ‘말라’에는 ‘매우 친하지 않음’, ‘조심할 필요 있음’ 같은 배경이 깔려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언론 매체들에서는 ‘말라’를 주로 썼다. 불특정한 대상에게 전하는 말이나 글이기 때문이다. 표준국어대사전의 ‘-라’ 뜻풀이에도 이런 내용이 반영돼 있다. “구체적으로 정해지지 않은 청자나 독자에게 책 따위의 매체를 통해 명령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마라’는 기본형 ‘말다’에 어미 ‘-아라’, ‘말라’는 ‘-라’가 붙은 형태다. 각각 직접 명령형, 간접 명령형이라고도 불린다. 일상의 언어에서는 이 경계를 선명하게 나타낸다. 언론 매체들에서는 흐릿하게 사용한다. 애초 언론 매체들에서 ‘말라’ 대신 ‘마라’를 쓰기 시작한 것은 친근함이 이유였다.
2017-08-24 2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