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효석의 신호를 찾아서] 질문의 정치학

[이효석의 신호를 찾아서] 질문의 정치학

입력 2017-08-28 22:02
업데이트 2017-08-28 23: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본 작가 무라카미 하루키 작품의 주인공들은 의문이 생기더라도 상대방에게 잘 묻지 않는다. 일본 특유의 남에게 폐를 끼치지 않는 문화와 하루키 작품 전반에 나타나는 철학인 ‘자신에게 주어진 문제는 자신이 해결해야 한다’는 개인주의의 반영으로 보인다. 물론 답을 바로 알려주지 않음으로써 독자들이 계속 그 문제를 생각하게 만드는 작법상의 요소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그의 신작 ‘기사단장 죽이기’에는 주인공이 한 중년 여성이 읽고 있는 책의 제목을 궁금해하면서도 묻지 않는 장면이 나온다.
그러나 한편으로 이런 생각도 할 수 있다. 주인공이 묻지 않는 것이 왜 특이하게 보일까라는 자문을 통해 오히려 우리가 호기심에 대해 너무 관대한 것은 아닌가 생각을 할 수 있다. 우리는 ‘한국인은 질문을 잘하지 않는다’는 이야기를 자주 들었다. 이 때문에 많은 경우 호기심을 치하하고 질문을 권장해야 한다는 의무감을 가진다. 하지만 질문에는 거의 정치학이라 부를 수 있을 만한 복잡한 현상이 존재한다.
이미지 확대
이효석 뉴스페퍼민트 대표
이효석 뉴스페퍼민트 대표
질문은 생각만큼 단순한 행위가 아니다. 누군가에게 무언가를 묻는다는 것은 상대에게 무언가를 요구하는 것이며 따라서 상하관계가 자동으로 만들어지는 다분히 정치적 행위다. 국정조사에서 국회의원들의 흔한 호통이나 검찰의 취조를 굳이 예로 들지 않더라도, 질문이 정보를 요구하는 행동이며 묻는 사람과 답하는 사람의 비대칭성에 의해 상하관계가 만들어진다는 것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제자가 스승에게 질문하는 상황이나 낯선 곳에서 길을 물어야 할 때, 묻는 사람이 공손한 태도를 취하는 것처럼 상하관계가 역전되는 경우도 있다. 이때 상하관계는 정보를 가진 자와 필요로 하는 자의 관계로 볼 수 있다. 묻는 사람은 답해 줄 사람에게 무언가를 바라는 위치에 있게 되고, 정보를 제공해 줄 경우 존경이나 감사와 같은 어떤 보상을 주겠다는 무언의 약속을 하게 된다.

하지만 이때에도 질문의 정치학은 성립된다. 교육현장에서와 같이 질문이 분명 자신의 무지를 드러내며 상대의 도움을 원하는 가운데 나온 행동이라 하더라도 질문을 한다는 사실 자체가 ‘당신의 설명이 충분하지 않았다’는 질타를 포함하고 있기는 하다. 특히 질문에 제대로 된 답을 하지 못하는 상황을 생각해 본다면, 적어도 대답의 의무가 존재하고 이를 평가받아야 한다는 점에서 여전히 상하관계가 존재한다. 같은 이유로 우리는 길을 묻는 사람에게 그가 원하는 답을 주지 못했을 때 죄송하다고 말하게 된다.

질문이 가진 힘은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교육과정은 사실상 주어진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훈련이라고도 할 수 있기 때문에 사람들은 질문을 들었을 때 그 상황에 대해 생각하기보다는 답을 먼저 말하려는 충동을 받게 된다. 그 결과 질문은 종교나 영업, 혹은 호감과 같은 다양한 이유로 낯선 사람에게 말을 트고 뭔가를 얻어내려는 사람들이 가장 애용하는 기술이 됐다. 그럼에도 사람들은 여전히 주어진 질문에 답하는 데 급급해 그 상황이 이상하다는 생각을 쉽게 잊는다.

하지만 질문에 답을 찾기보다 질문이 적절한 것인지를 따져 보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사실은 명확하다. 매카시즘의 피해자였던 한 시나리오 작가에 대한 영화인 ‘트럼보’에서 주인공은 공산당원이었던 적이 있느냐는 청문회 질문에 자신이 범죄의 피고인지를, 곧 그 질문에 답해야 할 의무가 있는지를 되묻는다.

‘기사단장 죽이기’에서도 주인공이 마침내 그 여성에게 어떤 책을 읽고 있는지 물었을 때, 그녀 역시 하루키 소설의 인물답게, 답하되 답하지 않는 기발한 답을 말한다. 자신은 읽고 있는 책의 이름을 다른 사람에게 말하면 그 책을 끝까지 읽지 못하게 되는 징크스가 있다고 말하며 책의 제목을 말하지 않은 것이다.

일방적인 상하관계를 만들지 않으면서도 상대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는 훌륭한 답이 아닐 수 없다.
2017-08-29 2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