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광희문은 한국의 ‘카타콤베’였다

광희문은 한국의 ‘카타콤베’였다

김성호 기자
입력 2017-11-30 17:54
업데이트 2017-11-30 22: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조선 후기 순교자 시신 유기·매장
794명 명단 첫 공개… 전모 드러나

천주교계에서 ‘잊혀진 성지’로 불리던 서울 중구 광희문 바깥에 버려지거나 시신이 묻힌 순교자들의 실체가 드러났다. 지난 25일 서울 광희동 광희문성지순교자현양관에서 ‘광희문성지의 실체 규명과 순교자 영성’ 주제로 열린 학술 심포지엄을 통해서다. 한국천주교 신도들 사이에서 입소문을 타고 ‘한국의 카타콤베(순교자들의 무덤)’로 전해오던 광희문 성지의 순교자 전모가 밝혀지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서울 사소문(四小門)의 하나인 중구 광희문. 조선 후기 천주교 박해 때 옥사하거나 맞아죽은 순교자 794명이 내버려지거나 매장된 순교 터이지만 한국천주교에선 잊혀진 성지로 남아 있다.  서울신문 DB
서울 사소문(四小門)의 하나인 중구 광희문. 조선 후기 천주교 박해 때 옥사하거나 맞아죽은 순교자 794명이 내버려지거나 매장된 순교 터이지만 한국천주교에선 잊혀진 성지로 남아 있다.
서울신문 DB
서울 사소문(四小門)의 하나인 광희문 바깥 순교 터는 조선후기 잇따른 천주교 박해 때 옥사 순교한 신자들의 시신이 유기되거나 매장된 장소로 알려져 있다. 시신이 이곳을 통해 내버려져 시구문(屍軀門)으로도 불리지만 주로 가난한 무명의 신자들이 순교한 곳이어서 순교자의 면면이 제대로 파악되지 않았었다.

이날 전주대 서종태 교수가 교회와 관변 기록을 샅샅이 뒤져 공개한 명단에 따르면 광희문 바깥, 즉 광희문 성문 밑에서부터 지금의 왕십리 지역인 광희문 끝까지 버려지거나 묻힌 순교자는 무려 794명이나 됐다. 794위 가운데 1984년 20위가 성인 반열에 올랐고 2014년 5위가 복자 품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하느님의 종 25위는 현재 시복 절차가 진행 중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거주자가 309위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충청도 214위, 경기도 158위 순으로 많았다.

서 교수는 “당시 천주교인이 포도청 옥에 가득 차 빈자리를 만들기 위해 교수형으로 처형하기 바빴다”며 “박해 시기 내내 좌·우포도청, 형조의 전옥, 의금부 등에서 순교한 천주교인은 거적때기에 싸여 밤에 광희문 밖에 버려지기 일쑤였다”고 밝혔다. 순교자 가족들이 체포될 위험과 가난한 형편 탓에 시신을 수습한 경우란 극소수에 불과했던 것으로 보인다. 794명 중 대부분은 교수형을 당하거나 맞아 죽은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1866년 병인박해 후 광희문 밖에 버려지거나 묻힌 천주교인의 시신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서 교수는 그 이유를 병인양요와 남연군(흥선대원군의 아버지) 묘 도굴 사건으로 박해가 격화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중앙대 원재연 교수도 “천주교인은 엄청난 불법적 남형을 당했다”며 “가난하고 힘없는 민초들의 최소한의 권익을 위해 마련된 18세기 후반의 법제 조항들은 천주교인에게는 아무런 소용이 없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광희문 성지 담당 한정관 신부는 “광희문 성지는 순교자들이 살던 당대 성곽과 문루가 그대로 남아 있어 순교자들의 삶과 영성을 느낄 수 있는 생생한 역사 공간”이라며 “광희문 밖이 명실상부한 한국 천주교회의 카타콤베라는 사실이 입증됐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심포지엄에 참석했던 천주교 서울대교구장 염수정 추기경은 “광희문 밖은 가난하고 이름 없는 순교자들이 버려지고 묻힌 거룩한 터”라며 “광희문 성지 조성을 통해 우리 신앙의 실체를 밝혀 가고 신앙생활의 본모습을 찾아가자”고 격려했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7-12-01 24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