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폐회식 땐 러시아 국기 허용”… 평창, 최악 피했다

“폐회식 땐 러시아 국기 허용”… 평창, 최악 피했다

김경두 기자
김경두 기자
입력 2017-12-07 22:18
업데이트 2017-12-07 22: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평창올림픽 러·IOC 타협 분위기

‘강(强) 대 강(强)’으로 치닫던 러시아와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타협점을 찾는 모습이다. 평창으로서는 북미아이스하키리그(NHL)에 이어 ‘동계 스포츠의 강국’ 러시아 선수들마저 불참하는 최악의 사태를 피하게 됐다.
블라디미르 푸틴 캐리커처
블라디미르 푸틴 캐리커처
블라디미르 푸틴(얼굴) 대통령은 IOC의 제재 발표 하루 만인 6일(현지시간) 국영 RIA 통신 등 러시아 매체들과 만나 “평창동계올림픽을 보이콧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IOC도 “러시아가 제재를 받아들이면 폐회식 때 국기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한발짝 물러섰다.

이런 배경에는 내년 러시아월드컵의 성공 개최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러시아와 ‘올림픽 정신 바로 세우기’와 ‘올림픽 흥행’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놓칠 수 없는 IOC의 절묘한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일각에서는 푸틴 대통령의 발빠른 대응을 감안할 때 ‘양측의 사전 조율이 있었던 것 아니냐’는 의견도 있다.

현지 언론들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모스크바에서 약 400㎞ 떨어진 중부 도시 니즈니노브고로드의 GAZ 자동차 공장을 방문한 자리에서 평창올림픽 참가와 관련해 “우리 선수들이 원하면 개인 자격으로 참가하는 것을 막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IOC의 제재 근거는) 전적으로 조작되고 정치적 동기에서 내려진 결정이다. 특히 도핑 규정 위반으로 올림픽 출전이 금지된 선수들에 대한 혐의는 근거가 없다”고 지적해 IOC 제재에 여전히 마뜩잖은 모습을 지켰다.

IOC도 유화적인 제스처를 취했다. 마크 애덤스 IOC 대변인은 “러시아가 IOC의 결정을 준수한다면 국기와 유니폼을 폐막식 때 사용할 수 있다”고 조건부 허가를 제안했다. 전날 러시아 국가명과 국기를 빼고 도핑 테스트를 통과한 ‘깨끗한’ 선수들만 개인 자격으로 출전할 수 있다는 강경 자세에서 타협의 여지를 준 셈이다.

이러한 움직임에 문화체육관광부도 “러시아 선수들이 개인 자격으로 평창올림픽에 참여한다면 국가 차원의 선수단으로 참여하는 것 못지않게 적극 지원하겠다”는 환영의 뜻을 밝혔다.

러시아올림픽위원회(ROC)가 오는 12일 ‘올림픽 회의’에서 평창행 여부를 최종 결정하겠지만 푸틴 대통령의 ‘보이콧 철회’ 발언으로 개인 자격 출전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로서는 러시아 선수들이 아예 빠지는 최악의 사태를 피할 수 있어 천만다행이다. 다만 안심하기엔 이르다. 일부 러시아 스타들이 개인 자격 출전에 부정적인 입장을 내비치고 있어서다.

‘쇼트트랙 황제’ 빅토르 안(한국명 안현수)이 이끄는 러시아 쇼트트랙 대표팀은 평창에 올 것으로 전망된다. 빅토르 안은 “평창올림픽은 4년 동안 준비한 무대”라면서 출전 의지를 강하게 내비쳤다. 러시아 동계스포츠 전·현직 선수들도 힘을 보탰다.

올림픽 4회 연속 메달을 따고 은퇴한 러시아 피겨스케이팅의 전설 예브게니 플루첸코는 “선수들은 개인 자격으로라도 평창올림픽에 참가해야 한다. 어떤 선수들에겐 이번 올림픽이 처음이자 마지막 출전 기회가 될 수도 있다. 이 기회를 놓쳐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피겨 요정’인 세계 랭킹 1위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는 “러시아 국기 없이는 올림픽에 출전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메드베데바를 비롯해 러시아 여자 싱글 선수들이 평창에 오지 않는다면 여자 피겨스케이팅에서는 반쪽짜리 올림픽으로 전락할 수밖에 없다. 다만 그의 발언이 IOC를 압박하기 위한 것이어서 ROC의 최종 결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2017-12-08 26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