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분당 치닫는 국민의당, 전대 강행에 갈등 격화…소송전 가나

분당 치닫는 국민의당, 전대 강행에 갈등 격화…소송전 가나

신성은 기자
입력 2018-01-16 11:09
업데이트 2018-01-16 11: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성엽 ‘당규 변칙개정 무효’ 선관위 유권해석 의뢰…“소송도 검토”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가 바른정당과의 통합 전당대회를 위해 당규를 개정하는 등 ‘합당 강행’ 의지를 보이자, 반대파에서는 16일 이를 저지하기 위해 소송까지 검토하기로 하는 등 내홍이 극한으로 치닫고 있다.

다음 달 4일 전대가 시시각각 다가오는 가운데 통합 찬성파와 반대파 모두 쓸 수 있는 카드를 모두 쏟아내며 총력전에 나선 셈이다.

이런 가운데 반대파에서는 안 대표를 겨냥해 “안틀러(안철수+히틀러)식 독재 운영”이라고 원색적으로 비난하고 있고, 찬성파에서는 이를 두고 “정당하고 적법한 통합 절차를 모욕하고 있다”고 응수하는 등 갈등의 골은 깊어져만 가고 있다.

안 대표 측은 전날 당무위를 통해 당규 개정을 의결한 데 이어 전당대회준비위원회(전준위) 회의를 개최해 통합전대를 위한 실무작업에 돌입했다.

장환진 전준위 대변인은 “전대 개최장소 선정을 전준위 기획분과위원회에서 맡기로 했으며, 전당대회 소집 통지를 위한 대표당원 전수조사 실시를 공명투표분과위원회에 위임했다”고 밝혔다.

전날 당무위 결정대로 대표당원 가운데 당비를 내지 않거나 연락이 닿지 않는 당원을 제외해 선거명부를 정리하겠다는 것이다.

아울러 안 대표 측에서는 통합반대파인 이상돈 전대 의장이 표결을 예정대로 진행하지 않을 경우 이를 어떻게 해결할지 대책도 고민하고 있다.

이 의장을 상대로 설득 작업을 계속하는 동시에 유사시 전대 사회권을 부의장이나 권은희 중앙위원회 위원장에게 넘기는 방안도 거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안 대표 측 관계자는 통화에서 “사회권 문제로 통합이 가로막히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이에 맞서 통합반대파에서는 “당무위 변칙 운용은 무효”라며 소송까지 불사하겠다고 맞서고 있다.

반대파인 유성엽 의원은 통화에서 “당무위는 의결기관이 아닌 집행기관이다. 당무위에서 전대 방식을 의결하는 것은 잘못”이라며 “대표당원을 정리하는 것이나, 전당대회를 권역별로 분산해서 치르는 것 등도 정당법 및 당헌 위반 소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유 의원은 실제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변칙적으로 고친 당규에 의해 전대에서 통합의결을 하면 무효로 봐야 한다”는 내용으로 유권해석을 의뢰하기도 했다.

유 의원은 “선관위는 이에 대해 ‘당내 사항이라 말하기 어렵다’면서도 ‘정당법이나 당헌에 어긋나게 의결이 이뤄진 경우 사법심사의 대상이 된다’는 의견을 전달해왔다”고 전했다.

반대파 의원들 사이에서는 당무위 의결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내는 방안이나, 전대가 그대로 치러질 경우 전대 무효 가처분 신청을 내는 방안 등이 검토되고 있다.

아울러 반대파는 이르면 이달 말, 늦어도 다음달 4일 전대 직후에는 ‘개혁신당’(가칭) 창당준비위원회를 출범시키기로 하고 이날 시민사회 원로들과 간담회를 하는 등 별도 창당 작업에도 고삐를 죄며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이처럼 극한대치가 이어진 가운데 찬성파와 반대파의 장외 설전도 계속됐다.

천정배 의원은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안 대표 정말 큰일 날 사람이다. 당무위를 열어 당규를 바꿨는데, 아무리 북 치고 장구 치고 해도 무효이며 불법”이라며 “이 정도면 구태도 아닌 추태”라고 비난했다.

반면 통합 찬성파인 김철근 당 대변인은 페이스북에서 “전 당원의 (통합) 의사가 이미 확인됐다. 적법하고 투명하게 진행되는 통합과정을 모욕하는 것은 당원과 국민을 모욕하는 행위”라며 “구태정치와 기득권 정치의 추한 모습은 그만 보이고, 호남 다선 중진의원님들의 정치적 선택을 하시면 될 일”이라고 반격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