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홍태경의 지구 이야기] 미래 대비하는 국가지진위험지도

[홍태경의 지구 이야기] 미래 대비하는 국가지진위험지도

입력 2018-02-05 20:50
업데이트 2018-02-05 22: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진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인 ‘규모’는 지진에서 방출된 에너지를 측정해 계산한다.
이미지 확대
규모가 클수록 강한 지진이며 지진 규모 1의 차이는 에너지 32배 차이에 해당한다. 지진 규모가 클수록 강한 지진동이 발생하는 것은 자명하다. 하지만 지진 피해 기록을 보면 규모와 피해가 비례하지는 않는다.
이미지 확대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
2011년 규모 9.0의 동일본 대지진은 31만명이 목숨을 잃은 2010년 규모 7.0 아이티 지진에 비해 1024배나 강한 지진이다. 그럼에도 동일본 대지진에 의한 인명피해는 2만여명에 그쳤다. 실제 인류가 겪은 큰 지진 피해들은 규모 7 내외의 지진에서 많이 발생했다.

규모 7가량의 지진은 세계적으로 매년 20회가량 발생하는 비교적 흔한 지진이다. 규모 7이 넘는 지진도 많다. 1900년 이후 규모 8.5 이상의 초대형 지진은 17회 있었다. 이런 초대형 지진들을 제치고 규모 7 정도의 지진이 더 큰 피해를 남기는 이유는 지진의 위치 때문이다.

지진 피해는 지진 규모와 함께 진원 깊이, 전파 거리, 지표 지질에 따라 달라진다. 진원으로부터 멀리 떨어질수록 지진동 크기는 기하급수적으로 줄어든다. 아무리 큰 지진이라도 멀리서 발생하면 영향이 미미할 수밖에 없다.

2016년 발생한 규모 5.8 경주 지진은 지난해 일어난 규모 5.4 포항 지진보다 강한 지진이었다. 그러나 포항 지진은 인구밀도가 보다 높은 지역에서 발생하고 진원 깊이가 더 얕았을 뿐 아니라 지표를 덮고 있는 신생대 3기 퇴적지층 내에서 지진파가 증폭돼 피해가 더 컸다.

이렇듯 특정 지역에서 예상되는 최대 지진동은 발생 가능한 지진의 위치와 해당 지역의 지표 지질에 달려 있다. 또 최대 지진동의 발현 주기는 그 지진동을 유발하는 지진들의 재래주기에 달려 있다. 최대 지진동의 발현 주기와 크기를 전국적으로 계산한 결과물이 국가지진위험지도이다.

특정 지역에서 예상되는 지진 피해는 예상 지진동 크기와 함께 해당 지역의 지진동 취약성에 따라 변한다. 같은 지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인구 밀도, 도시 크기, 건물 분포, 건물별 내진 성능에 따라 피해 정도에 차이가 날 수 있다. 결국 지진 피해는 지진의 크기뿐 아니라 해당 지역의 여건에 크게 좌우된다.

하지만 긴 재현주기를 갖는 큰 지진동에 대해 지역별로 어느 정도의 내진 성능과 대비를 해야 하는지는 사회적 논의와 합의가 필요하다. 몇 십 년에 한 번씩 재현될 가능성이 있는 지진동까지 대비해 건축물 설계나 내진 성능 구축에 반영할지는 많은 논쟁이 따르기 마련이다. 긴 재현주기를 고려할수록 예상 지진동의 크기는 증가하기 마련이고 이에 대비하려면 많은 사회적 비용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인구밀도와 도시 규모를 고려하지 않고 예상 지진동의 크기만을 고려해 전국적으로 획일적인 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옳은지도 논의가 필요하다. 이렇듯 향후 발생할지 모를 지진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다각적인 검토와 사회적 합의가 요구된다. 지진화산재해대책법에 따라 행정안전부 주관으로 5년 주기로 국가지진위험지도가 제작되고 있다.

경주·포항 지진을 반영한 새로운 국가지진위험지도의 필요성이 더욱 커졌다. 새 지도는 향후 지진재해 저감을 위한 정책 마련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쓰일 것이다. 하지만 활용 가능한 지진 정보가 충분치 못해 고려할 수 있는 재현주기에 한계가 있다는 점도 알아야 한다. 짧은 기간 축적된 정보로는 긴 기간을 주기로 발생하는 지진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런 측면에서 야외 조사를 통한 단층의 운동 이력뿐만 아니라 조선왕조실록 같은 역사서에 남아 있는 지진 기록들은 한국처럼 지진 관측 역사가 짧은 나라에서는 매우 중요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선조들이 남긴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이 지진과 같은 치명적 자연재해에 대비하는 데 유익한 자료가 되고 있다. 조상들의 혜안이 놀라울 뿐이다.
2018-02-06 2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