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In&Out] 블록체인과 코닥이 주는 교훈/박수용 서강대 지능형 블록체인연구센터장

[In&Out] 블록체인과 코닥이 주는 교훈/박수용 서강대 지능형 블록체인연구센터장

입력 2018-02-11 17:52
업데이트 2018-02-12 01: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 세계 필름시장을 석권했던 코닥의 ‘코닥 모먼트’(Kodak moment)는 끝났다. 디지털 카메라가 만들어 낸 변화를 무시하며 혁신을 거부한 결과였다. 코닥은 현실에 안주하다가 몰락한 기업의 대표적인 사례가 됐다. 영광스러웠던 ‘코닥의 순간’은 ‘코닥이 되다’(Kodaked)란 치욕적인 신조어로 바뀌어 경영인들의 ‘타산지석’ 감으로 전락했다.
이미지 확대
박수용 서강대 지능형 블록체인연구센터장
박수용 서강대 지능형 블록체인연구센터장
그랬던 코닥이 지난달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소비자가전전시회(CES)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암호화폐 ‘코닥코인’을 발행한다고 밝혔다.

코닥코인은 사진의 저작권료를 지불할 때 활용된다. 소비자가 사진을 구매한 뒤 인화를 하면 블록체인은 사진의 원작자에게 코닥코인을 저작권료로 지불한다. 코닥은 이 암호화폐를 도입해 사진 원작자가 암호화된 장부를 보유하기만 하면 자신의 사진을 인화하거나 디지털 작업에 활용하는 모든 소비자에게서 빠짐없이 저작권료를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코닥은 지난달 사진 배급업체 ‘웬 디지털’과 함께 이미지 저작권 관리 플랫폼인 ‘코닥원’(KODAK One)을 만들었다.

코닥의 시도는 성공하기만 한다면 저작권 분야의 혁명을 불러올 것이다. 그동안 사진업계에서는 정당한 저작권료의 지불 없이 사진이 무단으로 쓰이는 것을 통제할 마땅한 방법이 없었다. 제프 클라크 코닥 최고경영자(CEO)는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는 기업의 화두”라며 “이 기술은 지식재산권(IP) 관리에 어려움을 겪어 온 사진가들에게 해법을 찾아줄 것”이라고 말했다.

코닥의 시도는 일단 기업 가치 평가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신규사업을 발표한 1월 9일 코닥의 주가는 6.8달러로 마감돼 전날 종가였던 3.12달러보다 117.9%나 상승했다. 시장이 코닥의 도전을 높이 평가한 것이다. 한때 변화에 귀를 닫았다가 추락했던 코닥은 이제 블록체인이라는 새로운 변화에 발빠르게 대응하며 다시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상황을 보자.

우리 정부는 암호화폐 투자 과열이라는 한 가지 현상을 보고 여러 규제와 경고의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 정부의 메시지는 좋은 의도로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려는 기업들까지 위축되게 만들고 있다.

특히 암호화폐 공개를 통한 자금조달(ICO) 전면 금지 같은 금융위원회의 발표는, 기업들이 블록체인이라는 혁신적 기술을 기반으로 새로운 도전을 할 의지의 싹을 자르는 조치라 생각된다. 금지, 규제 등 강력한 조치 발표의 말미에 “블록체인은 육성하겠다”고 말 한마디 붙이는 것은 너무 형식적으로만 들린다. 정작 블록체인 기술 활성화 및 육성 정책은 실질적으로 내놓은 것이 없으니 말이다. 정부 정책 방향은 부작용에 대한 보완책을 넘어선 안 된다. 청사진이라곤 없는 지금의 규제가 과연 ‘4차 산업혁명’이라는 시대정신에 맞는 것인지 의문이 든다.

‘탈중앙화’라는 본질을 가진 블록체인은 불특정 다수의 자발적 참여를 토대로 한다. 특히 개방형 블록체인에서 암호화폐는 네트워크 참여를 유도하는 중요한 요소다. 그래서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을 분리해서 대응한다는 정책 기조는 공허하게 들린다.

흔히 블록체인을 ‘제2의 인터넷 혁명’이라고 한다. 우리나라는 첫 번째 인터넷 혁명을 통해 정보통신(IT) 강국으로 성장했다. 지금은 블록체인 기술에 있어 어떤 나라도 크게 앞서거나 뒤처지지 않고 있다. 많은 기술혁명이 그렇듯 블록체인도 도입 시기에 앞서지 못하면 끝까지 남의 뒤를 따르는 신세에 머물 것이다. 필름의 대명사였던 코닥이 준 교훈을 잊지 말아야 한다.

블록체인 산업에서 ‘코리아 모먼트’를 맞이하자.
2018-02-12 25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