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김응교 교수 작가의 탄생] 피로 쓴 투명한 詩… 노동자의 고단함을 노래한 ‘일곱 번째 인간’

[김응교 교수 작가의 탄생] 피로 쓴 투명한 詩… 노동자의 고단함을 노래한 ‘일곱 번째 인간’

입력 2018-03-11 17:30
업데이트 2018-03-15 14: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 헝가리 국민시인 ‘요제프 아틸라’

지난달 주헝가리 한국문화원이 주최한 ‘윤동주-요제프 아틸라 시인 심포지엄’을 위해 부다페스트를 찾았다. 다뉴브강을 그윽하게 품고 있는 도시의 야경은 황홀 그 자체였다. 바로크, 아르누보, 네오클래식의 아름다운 건물에 매혹되었지만 부다페스트의 역사가 담긴 영화 한 편이 떠오르면서 감탄사는 이내 한숨으로 바뀌었다. 우울한 일요일이라는 뜻의 ‘글루미 선데이’. 2차 대전 당시 부다페스트에서 일어났던 유대인 학살의 비극을 배경으로 한 영화의 제목은 원래 피아노 연주곡에서 따온 것이다. 1933년 헝가리 피아니스트가 만든 동명의 연주곡은 라디오 전파를 탄 지 두 달 만에 헝가리에서만 180명이 넘게 자살하는 초유의 사태를 초래했다.
이미지 확대
요제프 아틸라의 젊은 시절 모습. “나는 곤궁 가운데서도 오만했다!”고 노래할 정도로 시인의 눈빛이 살아 있다.
요제프 아틸라의 젊은 시절 모습. “나는 곤궁 가운데서도 오만했다!”고 노래할 정도로 시인의 눈빛이 살아 있다.
“13세기에 건축된 왕궁은 몽골군의 습격으로 파괴됩니다. 몽골군이 들어올 때 속수무책이었다고 합니다. 15세기에 르네상스 양식으로 왕궁을 다시 짓는데 오스만튀르크에 의해 다시 부서져 버리지요. 그 후 헝가리는 좋은 시기를 맞이해요. ‘헝가리 제국’이라고 할 수 있는 시대죠. 1860년부터 1910년까지 가장 화려했던 시기였을 거예요. 그런데 전쟁에 패하면서 영토의 60%쯤을 빼앗겨요. 2차 대전 무렵 히틀러와 힘을 합치면 영토를 회복할 수 있다는 꿈에 러시아 사회주의에 반대하며 히틀러 나치에 붙지요. 당시 의사, 언론인, 변호사 등 사회 지도층의 반 이상을 차지하던 유대인을 학살하기 시작합니다. 헝가리 나치정당, 화살십자당이 주도했지요. 1944년 3월부터 불과 몇 달 사이에 집중해서 학살한 겁니다. 이 시기에 아우슈비츠에서 학살된 110만명 중에 44만명이 헝가리 유대인이라고도 하지요.”
이미지 확대
비누공장 노동자인 아버지와 세탁부로 일했던 어머니를 둔 소년 요제프 아틸라는 정부가 가난한 아이들을 돌보는 아동보호국 시설에 가곤 했다. 가운뎃줄 맨 왼쪽 바위에 걸터앉은 아이(흰색 원 안)가 아틸라다.
비누공장 노동자인 아버지와 세탁부로 일했던 어머니를 둔 소년 요제프 아틸라는 정부가 가난한 아이들을 돌보는 아동보호국 시설에 가곤 했다. 가운뎃줄 맨 왼쪽 바위에 걸터앉은 아이(흰색 원 안)가 아틸라다.
주헝가리 한국문화원 김재환 원장의 열정적인 설명을 들으며 왜 이곳에서 집단 자살을 일으킨 전설의 금지곡이 나왔는지 알 수 있었다. 겉으로는 화려한 헝가리 제국의 역사에는 감출 수 없는 슬픔이 많았다.

부다페스트를 찾은 목적 중 하나는 헝가리가 낳은 시인 요제프 아틸라(1905~1937)의 발자취를 밟는 것이었다. 시집 ‘일곱 번째 사람’을 읽고 그가 어떤 사람인지 궁금한 마음을 숨길 수 없었다. 우리에게는 낯설지만 유네스코가 2005년을 ‘요제프 아틸라의 해’로 정할 정도로 세계문학이 기억하는 역사적 인물이다. 행사를 위해 만난 헝가리 시인 커러피아트 오르쇼아는 “아틸라는 헝가리가 가장 사랑하는 시인”이라고 말했다.

윤동주와 아틸라는 야만의 시대를 노래한 시인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심포지엄에서 만난 헝가리 청중들은 윤동주의 시에서 아틸라를 만나고 싶어 하는 듯했다. 행사에서 심보선 시인이 아틸라의 대표 시 ‘일곱 번째의 인간’에 영향을 받아 쌍용차 해직자들의 자살 행렬을 추모한 시 ‘스물세 번째 인간’을 썼다는 말을 들었을 때 마음이 무척 쓰렸다.

다뉴브 강가에 요제프 아틸라의 동상이 있는데 다 떨어진 셔츠만 입고 오래 굶어 삐쩍 마른 몸을 재현하고 있다. 그가 얼마나 굶주렸는지 그의 시에 자주 나온다.
이미지 확대
아름다운 야경으로 유명한 부다페스트 다뉴브 강변에는 유유히 흘러가는 강물을 내려다보는 아틸라 동상이 있다. 깡마른 몸과 낡은 옷차림은 그의 궁핍했던 삶을 보여 준다.
아름다운 야경으로 유명한 부다페스트 다뉴브 강변에는 유유히 흘러가는 강물을 내려다보는 아틸라 동상이 있다. 깡마른 몸과 낡은 옷차림은 그의 궁핍했던 삶을 보여 준다.
“작은 빵조각이라도/ 아무거라도/ 적선을 구한다.”(개)

“친구여, 나는 한 주 내내 아무것도 먹지 못했다.”(칠일 동안)

“나는 사흘째 아무것도/ 빵 한 조각도 먹지 못했다.”(온 마음을 다하여)

“나는 하루걸러 한 끼 먹는데/ 위궤양은 매일같이 나를 좀먹는다.”(마지막 전투)

“나는 어제도 굶었지만/ 악마는 내 대신 배를 채웠다.”(메달)

비참한 표현들인데 이상하게 시큰하기는커녕 담담하다. 아홉 살 때 배급소에서 “저녁 7시부터 다음날 아침 7시 반까지 밤새 줄을 섰어도 내 차례가 되기 바로 전에 보급품이 떨어졌다는 소리를” 듣고서도 우직하게 배고픔을 견딘다. 빈궁했지만 그는 “나는 곤궁 가운데서도 오만했다!”(소네트)고 할 만큼 자긍심이 있었다. 헐벗은 동상 앞에서 비행기 타고 여기까지 올 수 있는 살 만한 처지인 나는 괜히 미안하다.

굶어 죽을 처지였지만 그는 작가로서 명랑함과 팽팽한 긴장을 놓치지 않았다. “국제적 자질을 지닌 최초의 프롤레타리아 서정시인”이라고 게오르그 루카치가 썼듯이. 아틸라 시집 ‘일곱 번째 사람’을 몇 번이나 곰삭여 읽었는데, 다시 읽고 싶을 정도로 매혹 자체였다. 시집을 읽는 내내 오랜만에 눈시울이 뜨거웠다. 남녀노소 빈부를 가리지 않고 헝가리인이 모두 사랑하는 아틸라의 시는 나에게 큰 의미를 주었다. 그중에 ‘유리 제조공’은 특히 시를 쓰는 자세뿐만 아니라 삶을 대하는 곡진한 태도를 생각하게 했다.

불을 일으키고
도가니 속에
투명한 용액을 끓여
피와 땀을 섞어 넣는
유리 제조공.
남은 힘으로
용액을 붓고는
매끈한 판유리를 만든다.


해가 뜨면
도시로,
작디작은 시골 마을 오두막으로
빛을 가져간다.


노동자로 불리기도 하고
시인으로 불리기도 하는 그들 -
노동자나 시인이나 매일반이긴 하지만.
조금씩 피를 써 버리다
투명해진다. 그리고
미래로 향하는 큼지막한 크리스털 유리창이
우리에게 끼워진다.


-‘유리 제조공’
이미지 확대
지난달 부다페스트 페퇴피 뮤지엄에서 열린 ‘윤동주와 요제프 아틸라 시인 심포지엄’의 행사장 모습. 두 시인은 야만의 시대를 서정적으로 노래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자리를 가득 메운 청중들은 윤동주의 시에서 ‘헝가리가 가장 사랑하는 시인’ 아틸라의 마음을 만나고 싶어 했다.
지난달 부다페스트 페퇴피 뮤지엄에서 열린 ‘윤동주와 요제프 아틸라 시인 심포지엄’의 행사장 모습. 두 시인은 야만의 시대를 서정적으로 노래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자리를 가득 메운 청중들은 윤동주의 시에서 ‘헝가리가 가장 사랑하는 시인’ 아틸라의 마음을 만나고 싶어 했다.
제목 때문에 이 시는 노동자의 삶을 그린 시로 보인다. 1연은 유리 만드는 공정을 상세히 재현하고 있다. 아침이 되면, 도시와 시골 오두막까지 “빛을 가져간다”는 표현은 따스하다. 그의 삶은 지지리도 고통스러운 가난에 시달리던 노동자의 삶이었다. 비누공장 노동자인 아버지와 세탁부로 일했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자기소개서’에 이렇게 썼다. “나는 1905년 부다페스트에서 태어났다. 종교는 그리스정교, 아버지는 요제프 아론, 아버지는 내가 세 살 때 헝가리를 떠났다.”

나는 마침내 이해한다
메아리치는 대양 건너
아메리카로 간 아버지를 이해한다.


고국에서의 기회는 점점 줄어들고
희망은 쓴맛을 보았다.
아버지는 비누 제조에 신물이 났다.


-‘나는 마침내 아버지를 이해한다’에서

그의 아버지는 아메리카로 돈을 벌러 갔고 아틸라는 아동보호국의 주선으로 양부모에게 입양됐지만 아틸라는 얼굴도 모르는 아버지를 미워하지 않았다. 어릴 적부터 돼지치기를 했다. 이후 할머니가 데려가 부다페스트에서 학교를 다녔다.

“3학년이 독본에서 훈족 왕 ‘아틸라’에 관한 이야기를 읽고 독서에 몰입하기 시작했다. 내 이름이 아틸라여서 더 흥미로웠다. 기독교인 이름에는 아틸라라는 이름이 없다고 들었기 때문에 아틸라 왕 이야기가 놀라웠다. 나는 이를 계기로 나라는 존재에 대한 의문을 품기 시작했다.”

아틸라가 1937년 입사지원서로 쓴 ‘자기소개서’에는 작가의 탄생을 알리는 시점이 보인다. 이름에 얽힌 의문은 “나라는 존재에 대한 의문”으로 발전하고, 그 의문을 쓰기 시작했을 때 돼지치기 소년 아틸라는 시인 아틸라로 변하기 시작했을 것이다. ‘나는 누구인가’라고 묻는 지점에서 뇌와 가슴은 성찰과 기록의 엔진을 돌리기 시작한다.

가족을 부양하려고 진종일 무거운 세탁물을 나르며 지쳐 가던 어머니 몸속에는 암세포가 번지고 있었다. 그가 16세였던 1919년 어머니가 사망하자 아틸라는 신문팔이, 선박 급사, 옥수수밭 경비원, 시인, 번역가, 항만 하역부, 날품팔이 등 20개에 달하는 직업을 전전하며 하루하루를 살았다. 아니 살았다가 아니라, 버텼다. 이 시는 분명히 유리를 제조하는 노동자의 모습을 그리고 있지만, 거기서 끝나지 않는다. ‘유리 제조공’은 유리 만드는 사람의 이야기이면서, 시 쓰는 사람 이야기, 노동하며 살아가는 우리 모든 인간을 그린 이야기다.

“노동자로 불리기도 하고/시인으로 불리기도 하는 그들”(3연)은 바로 우리 자신의 모습이다. 노동자 모습을 그대로 글 쓰는 사람, 시 쓰는 사람의 자세와 연결시킨다. 노동을 시 쓰듯이 한다면, 시를 노동하듯이 쓴다면, 성실하게 시 쓰는 노동자는 얼마나 행복할까.

“조금씩 피를 쓰다/투명해지고”는 끔찍하면서도 아름다운 표현이다. 이 시에는 “투명”이라는 단어가 두 번 나온다. 얼마나 투명해야 제대로 시를 쓸 수 있을까. 얼마나 투명해야 솔직한 삶을 살 수 있을까. 시는 피로 쓰는 것이다. 시는 투명해질 때까지 쓰는 것이다. 유리처럼 투명해질 때까지 피로 써야 한다. 니체 말대로 피로 써야 한다. 그것은 시 쓰는 데만 한정된 이야기가 아니다. 삶 자체를 진정한 인간으로 살아야 할 것이다. 아틸라는 가장 유명한 시 ‘일곱 번째 사람’에서 그가 그리는 인간상을 이렇게 표현한다.
이미지 확대
아틸라의 시선집 ‘일곱 번째 사람’ 한국어판 표지. 심보선 시인은 이 시에 영향을 받아 자살로 삶을 끝낸 쌍용차 해고 노동자들을 추모하는 ‘스물세 번째 인간’을 썼다.
아틸라의 시선집 ‘일곱 번째 사람’ 한국어판 표지. 심보선 시인은 이 시에 영향을 받아 자살로 삶을 끝낸 쌍용차 해고 노동자들을 추모하는 ‘스물세 번째 인간’을 썼다.
할 수만 있다면 시인이 되어라

시인은 일곱 사람으로 이루어진다-

대리석 마을을 짓는 사람

꿈을 타고난 사람

하늘의 지도를 그릴 줄 아는 사람

언어의 선택을 받은 사람

자신의 영혼을 만들어 가는 사람

쥐를 산 채로 해부할 줄 아는 사람-

둘은 용감하고 넷은 슬기롭지만

너 자신이 일곱 번째라야 해.”

- ‘일곱 번째 사람’에서

여기서 말하는 시인은 글 쓰는 시인이 맞다. 열일곱의 나이에 첫 시집 ‘아름다움의 구걸인’을 발표했던 아틸라는 노동자의 궁핍함과 희망을 시집에 담았다. 문단의 주목을 받았지만 지독한 가난에서 탈출할 수 없었다. 가난했지만 그의 시는 군색하지 않다. 그의 시에서 말하는 ‘시인’이란 직업으로서의 시인을 넘어선다. 그냥 시 쓰는 사람이 아니라, 하늘의 지도를 그리듯 미래를 보는 사람, 자신의 영혼을 만드는 긍지의 사람, 짐승을 산 채로 해부하듯 끔찍한 일도 감내할 수 있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겠다.

아틸라 문학관에도 가보았다. 오래 묵은 옛 건물 골목 골목을 에돌아 문학관에 닿았다. 자그마한 정원에 사방이 둘러싸인 3층 연립주택이었다. 이름이 같은 아틸라라는 직원은 66㎥(20평)쯤 될까 말까 한 작은 문학관을 상세하게 안내해 주며 멀리서 찾아온 나그네를 맞아 주었다. 2층에 아틸라가 쓰던 방이 있다고 하는데 들어가 보지 못했다. 작은 건물에서 아틸라가 그리워하던 어머니를 생각해 봤다.

자그마한 체구의 어머니,
세탁부들이 대개 그렇듯 일찍 돌아가셨다.
무거운 세탁 바구니를 옮길 때 떠는 다리,
다리미질이 주는 두통,


그들에게는 빨래더미가 산이고
다리미의 수증기는 구름이었으며


- ‘어머니’에서

암으로 일찍 죽은 어머니를 잊지 못하던 아틸라는 1930년 당시 불법이었던 공산당에 입당하여 가난을 극복해 보려 했지만 1933년 스탈린주의자들에 의해 공산당에서 쫓겨난다. 극도의 절망에 시달리던 그는 1937년 12월 서른두 살의 고단함 몸을 화물열차에 던져 마감했다. 짧은 생애라 하지만 극빈 노동자 집에서 태어나 자본주의의 밑바닥을 체험하며 32년을 견딘 것은 얼마나 처절한 견딤이었을까. 그나마 버틸 수 있었던 건 ‘시’가 있었기 때문 아닐까. 그에게 ‘시’는 생명 그 자체였다.

부다페스트에 윤동주를 전하러 갔던 나는 요제프 아틸라를 만나고 왔다. 윤동주 시처럼 아틸라 시도 쉽지만 검박한 일상어에는 심연이 있다. 윤동주가 말했던 “모든 죽어가는 것”(서시)을 아틸라는 감정적인 수작 없이 냉철하고 천천히 응시했다. 아틸라는 죽어가는 것 자체였다. 세상이 버거운 독자들은 아틸라가 견뎌온 힘겨운 삶을 읽으며 위안을 받는 모양이다. 그의 비극적 시는 독자들에게 세상 앞에서 담담하게 마음의 채비를 하라고 권한다. 아틸라의 처절한 시 앞에서는 어떤 불평도 싱겁다. 다른 대륙에서 살았던 두 시인은 죽어가는 것을 시로 쓰는 지점에서 불멸의 시인으로 탄생했다.

시인·숙명여대 교수
2018-03-12 18면

많이 본 뉴스

22대 국회에 바라는 것은?
선거 뒤 국회가 가장 우선적으로 관심 가져야 할 사안은 무엇일까요.
경기 활성화
복지정책 강화
사회 갈등 완화
의료 공백 해결
정치 개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