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호준의 시간여행] 등잔, 흐린 불빛 속에 담긴 추억

[이호준의 시간여행] 등잔, 흐린 불빛 속에 담긴 추억

입력 2018-03-13 17:54
업데이트 2018-03-13 18: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호준 시인·여행작가
이호준 시인·여행작가
가끔은 시간을 거슬러 오르고 싶을 때가 있다. 눈코 뜰 새 없는 일상에 치여 느리게 흐르던 시절이 간절하게 그리울 때가 특히 그렇다.

그런 때는 문명과 떨어져 있는 오지로 떠나거나 오래된 것들을 찾아 나서기도 한다.

얼마 전에는 벼룩시장에 갔다가 하얀 사기 등잔을 발견했다. 등잔대와 함께 진열돼 있었는데 가격이 만만치 않아 등잔만 사 왔다. 그날 밤 등잔에 불을 붙이고 집안의 모든 불을 껐다. 처음에는 어둠이 무척 낯설더니 차차 눈에 익으면서 안온해지기 시작했다. 조금 지나자 아련한 불빛 속에서 추억이 하나 둘 걸어 나왔다.

내가 전등불을 처음 만난 것은 초등학교에 다닐 때였다. 전기가 설치되고 누군가 스위치를 올렸을 때, 팟! 하고 눈을 찌를 듯 달려들던 불빛. 둔기로 뒤통수를 한 대 맞은 것 같은 충격이었다.

전기를 만나기 전까지의 밤은 장난감을 숨겨 둔 뒷산의 작은 굴처럼 적당한 은밀함이 있었다. 땅거미가 물고 와 마당을 지나 토방, 마루를 거쳐 방으로 들어서는 어둠은 뒤춤에 설렘을 동반하고는 했다. 등잔불을 켜도 그 설렘은 여전히 방 안에 머물렀다. 하지만 전깃불 아래서는 아무것도 감출 수 없었다.

등잔불이란 게 그랬다. 아무리 심지를 돋워도 어느 정도 이상의 빛을 내어주진 않았다. 그을음만 신경질적으로 뿜어낼 뿐이었다. 등잔이 특별히 인색해서가 아니라 그렇게 만들어져 있었다. 과도함은 부족함만 못하다는 걸 몸으로 가르쳤다.

시인 도종환이 그의 시 ‘등잔’에서 ‘심지를 조금 내려야겠다/내가 밝힐 수 있는 만큼의 빛이 있는데/심지만 뽑아올려 등잔불 더 밝히려 하다/그으름만 내는 건 얼마나 어리석은 일인가/잠깐 더 태우며 빛을 낸들 무엇하랴 /욕심으로 타는 연기에 눈 제대로 뜰 수 없는데’라고 읊었듯이 인간에게는 등잔불빛 정도가 적절한 것이었는지도 모른다. 그래야 밤하늘의 별도 제 빛으로 반짝이고, 달도 환하게 빛나고, 반딧불도 소중해 보였을 것이다.

전기가 등장하면서 밝음을 얻은 대신 무언가 잃기 시작했는지도 모른다. 잃어버린 것 중 하나는 꿈도 있었을 것이다.

등잔불만 있던 시절 어머니는 그 불빛 아래서도 문제없이 바느질을 했다. 어머니가 등잔불 아래서 꿰맨 옷은 재봉질을 한 것처럼 한 땀 한 땀 간격이 똑 같았다. 우리 형제들도 흐린 등잔불 아래서 밥을 먹고 숙제를 하고 연도 만들고 딱지도 접었다. 그래도 공책 안의 글씨들은 제법 반듯했고 연도 하늘을 펄펄 날았다. 등잔불과 함께 싹튼 꿈도 쑥쑥 자랐다.

전기가 안 들어가는 곳이 거의 없는 지금 등잔불을 보기란 쉽지 않다. 사냥꾼의 총에 넘어져 박제로 걸린 짐승처럼 생명 잃은 등잔들이 박물관이나 카페의 장식물로 남아 있을 뿐이다. 그리고 그 시절을 산 사람들의 가슴속에 희미한 빛으로 기억되고 있다. 그 기억 속의 등잔은 내게 항상 말한다. “눈에 보이는 게 전부는 아니다. 어둠 속에 있어 더욱 소중한 것들도 많다는 걸 기억해라.”

등잔을 사 와 불을 켜던 날, 늦도록 불을 끄지 못하던 할머니와 먼 길을 떠났다가 그 흐린 불빛을 등대 삼아 집으로 돌아오던 아버지도 추억 속에서 걸어 나왔다. 두 분 모두 이 세상 사람이 아니지만, 등잔도 지난 시간 속에 잠긴 지 오래지만, 어둠 속에서 꿈을 그리던 시절은 그리움이라는 이름으로 여전히 반짝거리고 있었다.
2018-03-14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