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물벼락 갑질’ 사태 후 한진그룹株 시총 3천200억원 감소

‘물벼락 갑질’ 사태 후 한진그룹株 시총 3천200억원 감소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4-18 10:01
업데이트 2018-04-18 10: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가 상승 악재 겹쳐…전문가들 “오너 리스크는 단기 악재”

조현민(35) 대한항공 광고담당 전무의 이른바 ‘물벼락 갑질’ 논란이 불거진 이후 한진그룹 상장사 시가총액이 3천200억원어치 가량 사라졌다.
이미지 확대
조현민 대한항공 전무
조현민 대한항공 전무
18일 한국거래소와 코스콤에 따르면 전날 종가 기준으로 대한항공, 한진칼, 진에어, 한진, 한국공항 등 한진그룹 계열 상장사 5곳의 시가총액(우선주 제외)은 5조8천580억원으로 집계됐다.

조 전무의 물벼락 갑질 논란이 일어나기 직전 거래일인 지난 11일 종가 기준 한진그룹주 시총은 6조1천780억원이다.

조 전무가 광고대행사 직원에게 음료를 뿌리고 폭언을 했다는 의혹이 처음 보도된 12일부터 경찰이 조 전무를 피의자로 입건하고 조 전무에 대한 출국정지를 신청하는 등 정식 수사에 착수한 17일까지 4거래일 동안에만 상장계열사 시총 3천200억원이 날아갔다.

이 기간 대한항공 주가가 6.13% 떨어졌고 시총은 3조1천960억원으로 2천80억원 줄었다.

진에어는 5.68%, 한진칼은 3.64% 각각 하락했고 시총은 550억원과 500억원이 감소했다.

사건 진행 속도나 업황 등 여건이 달라 단순 비교하기는 어렵지만 단기적으로는 조현민 전무의 언니인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현 칼호텔네트워크 사장)의 이른바 ‘땅콩 회항’보다 조현민 전무의 이번 ‘물벼락 갑질’ 때 주가 하락 폭이 크다.

땅콩 회항 때와 달리 이번 물벼락 갑질 사건에는 중동지역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로 국제유가 상승 악재가 겹쳤기 때문이다.

시총 비중이 가장 큰 대한항공만 놓고 보면 이번 물벼락 갑질 사건 첫 보도 이후 경찰의 정식 수사 착수까지 나흘간 주가가 6.13% 하락했다. 특히 시리아 공습 위기 고조로 국제유가가 급등한 지난 12일에는 하루에만 6.55% 떨어졌다.

이에 비해 조현아 전 부사장의 땅콩 회항 때는 항공업종에 호재인 유가 하락세가 계속되던 시기여서 주가 흐름이 달랐다. 사건 첫 보도일인 2014년 12월 8일 이후에도 주가가 상승, 같은 달 11일 4만4천653원으로 마감하며 단기 고점을 찍었다.

이후 논란이 커지면서 하락세로 돌아섰고 검찰이 조현아 전 사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전환해 입건한 2014년 12월 18일에는 4만2천511원으로 11일 고점 대비 4.80% 떨어졌다.

전문가들은 대체로 이번 물벼락 갑질 사건을 단기 악재로 보고 있다.

오너 리스크가 대한항공을 비롯한 그룹주 주가에 단기적으로는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으나 국제유가 상승세 진정, 원화 강세, 중국과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갈등 해소 등이 더 중요한 변수라는 의견이다.

황현준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 사건은 거버넌스 관련 이슈로 기업의 펀더멘털(기초여건)과는 관련이 없다고 봐야 한다. 투자심리에 부정적으로 반영될 수는 있지만 최근 주가 급락은 유가 상승 영향이 더 컸다고 본다”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다른 증권사 연구원도 “오너 리스크가 대한항공에 구조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기는 어렵다”며 “사드 갈등 해소 등 더 큰 이슈를 고려하면 분위기가 나쁘지 않다. 5월 들어 올해 1분기 실적 발표 시기를 전후로 주가는 어렵지 않게 반등을 모색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실제로 땅콩 회항 때 대한항공 주가도 오래가지 않아 반등했다.

조현아 전 부사장이 항공보안법 위반 혐의 등으로 구속기소 된 2015년 1월 7일에는 전고점 대비 10% 이상 떨어진 3만8천원대까지 내려갔다가 다시 한 달 뒤인 같은 해 2월 6일에는 4만4천원대로 올랐다. 두 달가량 만에 전고점을 회복한 셈이다.

이에 비해 오너 관련 리스크에 더 큰 비중을 둔 시각도 있다.

엄경아 신영증권 연구원은 지난 16일 한진칼 분석 보고서에서 목표주가를 종전대로 3만원으로 제시하면서 “거버넌스 리스크를 고려해 목표주가는 최종 할인율 10%를 추가로 적용했다”고 밝혔다.

엄 연구원은 이번 ‘물벼락’ 사건을 “가장 좋은 시기에 나온 속 터지는 뉴스”라고 평가하면서 “거버넌스 리스크 노출에 따른 브랜드 가치 훼손이 더는 없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