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북·중, 냉전시대 혈맹관계 탈피…정상국가 외교 관계로 발전”

“북·중, 냉전시대 혈맹관계 탈피…정상국가 외교 관계로 발전”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입력 2018-06-20 22:52
업데이트 2018-06-20 23: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문가들이 본 북·중 관계 전망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연이은 세 차례 중국 방문은 북·중 관계가 ‘정상국가 외교관계’로 접어들었다는 평가를 낳았지만 그 시기와 목적에 있어서는 여러 해석이 이어진다.

뤼차오(呂超·왼쪽) 랴오닝성 사회과학원 남북한연구센터 주임은 20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중·북은 냉전시대 혈맹관계에서 벗어나 정상적인 국가 관계로 발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뤼 주임은 “중국과 북한의 군사동맹 관계는 냉전이 끝나면서 사실상 사라졌다”면서 “외신들이 중국이 북한을 미국과의 무역전쟁 국면에서 이용하고 있다고 보도하는데 이는 사실을 왜곡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북한은 완전한 주권을 가진 나라이며 중국은 북·미 정상회담을 지지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북한의 대미 정책은 주권에 해당하는 것으로 중국은 간섭할 수 없고 북한을 이용할 수도 없다고 덧붙였다. 뤼 주임은 “사사로운 이익을 위해 편을 가르는 것은 미국의 냉전식 사고로 중국 외교는 자신의 세력을 인위적으로 만들려고 시도하지 않는다”고 강조다.

김 위원장의 세 번째 방중이 미국과의 무역전쟁 와중에 이뤄진 점에 대해서는 전문가들의 견해도 엇갈렸다. 스인훙(時殷弘) 중국 인민대 국제관계학원 교수는 “김 위원장의 세 번째 방중 초청은 미국의 무역전쟁 압박에 대한 중국의 직관적 반응”이라고 분석했다. 중국 차하얼(察哈爾)학회 덩위원(鄧聿文) 연구원은 “무역전쟁과 북한문제가 서로 연관관계를 갖기 시작했다”며 “미·중 무역전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중국의 대북 밀착 과시는 ‘북한 카드’를 미국에 대항하는 수단의 하나로 삼아 미국에 압력을 가하려는 의도”라고 말했다. 덩 연구원은 북한은 중국의 지지 속에서 핵폐기 일정을 늦출 수 있고 중국은 미·중 무역협상의 카드로 삼고자 북한이 제한적 수준의 핵을 보유하는 것을 묵인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하지만 중국은 한 번도 미국과의 무역문제에 북한을 지렛대나 카드로 삼겠다는 언급을 공개적으로 한 적이 없다는 의견도 있다. 주펑(朱峰·오른쪽) 난징대 국제관계연구원 원장은 “중·미 무역문제를 경솔하게 북한 카드로 해결하려는 것은 매우 우둔한 방법”이라고 지적했다. 주 교수는 “무역갈등과 북핵문제를 뒤섞으면 경제문제가 지역 안보 대치와 외교적 갈등으로 전이되어 미·중의 대립이 한층 격화될 가능성이 커진다”며 “미·중 관계에 있어 전혀 좋지 않은 일”이라고 설명했다. 베이징의 외교 소식통은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한반도 비핵화를 위해 건설적 역할을 하겠다고 했으므로 긍정적 기대를 갖고 바라보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김 위원장의 방중 사실을 해외판 1면 전체를 털어 보도하면서 북·중 관계 발전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고 극찬했다. 인민일보 해외판은 논평에서 “이번 정상회담에서 중국은 북한과의 관계에서 절대 변하지 않을 것임을 강조했다”면서 “북·중 간 소통과 협력 강화는 한반도 평화 안정 추세를 이어가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인민일보 자매지 환구시보는 “김정은 위원장의 방중 의도를 과도하게 해석해서는 안 되며 유관국들이 지지하고 호응해야 한다”며 “김 위원장의 방중이 미·중 무역전쟁이 치열하게 벌어질 때 이뤄져 많은 추측이 나오고 있다”고 운을 뗐다. 이어 “한·미 등 유관국들은 긍정적인 태도로 북·중 정상회담을 봐야 하며 역사적으로 중국이 북·중 관계를 이용해 한반도 안정을 파괴한 기록이 없다”고 주장했다.

베이징 윤창수 특파원 geo@seoul.co.kr
2018-06-21 4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