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G20 “무역전쟁, 세계 경제 위협”… 한국·대만 등 직격탄

G20 “무역전쟁, 세계 경제 위협”… 한국·대만 등 직격탄

한준규 기자
입력 2018-07-23 22:38
업데이트 2018-07-23 23: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IMF 총재 “GDP 0.5%P 감소시킬 것”
대화 노력 강조… 美 트럼프 우회 비판
美 “관세장벽 폐지” EU “동맹국 존중”
WSJ “가공무역 비중 큰 나라 타격 커”
이미지 확대
무역전쟁 방어 나선 김동연
무역전쟁 방어 나선 김동연 김동연(위쪽 가운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2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회의 국제금융체제 세션에서 발언하는 모습을 참석자들이 모니터를 통해 지켜보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세계 주요 20개국(G20) 경제 수장들은 미·중, 미·유럽연합(EU) 등의 격화되는 무역 갈등에 대해 “글로벌 무역전쟁이 세계 경제를 위태롭게 한다”고 일제히 우려했다. 특히 무역전쟁의 피해가 충돌 당사국인 미·중·EU보다 ‘가공무역’ 수출 비중이 높은 한국과 대만 등 개방경제 국가에 집중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이미지 확대
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들은 22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이틀간의 회의를 마치고 발표한 공동 성명에서 “세계경제가 무역과 지정학적 긴장 고조로 성장 궤도에서 이탈할 위험에 처해 있는 만큼 대화의 노력을 한층 강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일부 선진국은 성장이 약화되고 있으며 무역 긴장 고조 등으로 단기·중기 경제의 하락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면서 “중·단기 경제 침체 위험은 금융 취약성 증가, 높아진 무역·지정학적 긴장, 전 지구적인 불균형과 불평등, 일부 선진국의 구조적인 성장 부진 때문”이라는 분석도 내놓았다.

G20 경제 수장들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보호무역주의·관세 폭탄·다자 간 무역협정 탈퇴 등을 직접 비난하지 않았지만, 무역이 세계경제 성장의 ‘엔진’이고 다자 간 무역협정이 중요하다며 우회적으로 무소불위의 트럼프 대통령을 비판했다.반면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이날 미국발 무역 갈등을 세계경제의 중·단기 위험 요인으로 직접 지목하고 단호한 대응을 주문했다. 라가르드 총재는 “최근의 무역 분쟁이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을 0.5% 포인트 감소시킬 것”이라고 우려하면서 “무역 분쟁 당사국들은 하루빨리 대화와 타협으로 합의점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무역전쟁을 벌이고 있는 미국과 EU는 이날 회의에서도 양측 간 이견만 확인했다. 스티븐 므누신 미 재무장관은 “미국이 중국·EU를 상대로 관세를 부과하는 것에 대한 책임은 중국과 EU에 있다”면서 “모든 관세 장벽을 없애라”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브뤼노 르메르 프랑스 재무장관은 “우리는 미국이 분별력을 찾고 다자 간의 정책 규칙을 지키며 동맹국들을 존중할 것을 촉구한다”고 반박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글로벌 무역전쟁의 최대 피해자는 ‘빅 플레이어’가 아니라 개방경제 국가들이 될 것이라며 한국과 대만 등을 직접적으로 언급했다. 무역전쟁으로 인해 원재료나 부품 등을 수입, 자국 내에서 완제품 등으로 만들어 수출하는 방식의 국가들이 수입 비용 상승으로 수출 타격을 입는다는 설명이다.

WSJ는 세계무역기구(WTO) 자료를 인용, 대만(67.6%), 헝가리(65.1%), 체코(64.7%), 한국(62.1%). 싱가포르(61.6%) 등이 글로벌 ‘공급 사슬’에 연계된 수출(가공무역) 비중이 높은 국가라고 전했다. 이는 이들 국가들이 글로벌 무역분쟁에도 더 많이 노출될 수밖에 없고 충격도 더 크다는 분석이다.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2018-07-24 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