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최세일의 건축이야기] 창, 건물의 소통

[최세일의 건축이야기] 창, 건물의 소통

입력 2018-07-23 17:44
업데이트 2018-07-23 17: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차산업 시대라 하여 소통과 융합이라는 단어가 주인공이 됐다. 분야별로 소통과 협업으로 시너지 효과를 내려는 노력들이 활발하다. 건축에서의 소통은 작은 구멍에서 시작된다.
이미지 확대
바닥과 벽과 천장으로 구획된 공간이 소통하려고 작은 구멍이 하나 뚫리며 비로소 빛이 들어오고 소리가 들린다. 건축의 구성 요소 중 소통이라는 단어와 가장 연관성이 높은 것은 창(문)이다. 창이 커지고 열리면 문이 되고 벽면이 개방돼 두 개의 공간이 통합된다. 열린 벽에 바닥이 연장돼 통로가 생기고 그 통로는 다른 공간들과 연결된다. 바닥과 지붕이 뚫리고 엘리베이터 같은 수직 통로가 붙어 마천루가 된다.

면벽수양을 하는 수도자가 꽉 막힌 벽면만 보다가 스스로와 소통이 되면 면벽에 바늘구멍이 뚫리고 빛이 들어온단다. 그 구멍이 커져서 벽이 걷히면 무념무상의 경지 이르러 벽 너머의 세계가 보인다고 한다. 사람과 사람의 소통도 마음의 벽에 작은 구멍이 생기고 벽이 걷히는 과정이다. 건축에는 이런 소통의 마중물이 되는 작은 창들이 있다. 전통 건축에서는 이런 작은 창을 봉창이라 한다.
최세일 한건축 대표
최세일 한건축 대표
너무 작아서 트였다 할 수 없어서 봉창이라 하고 열 수 없는 창이라 하여 봉창이다. “자다가 봉창 두드리는 소리 한다”는 말은 머리맡에 봉창으로 빛이 스며드니 문으로 착각해 열려고 더듬는 소리다. 상황에 어울리지 않는 엉뚱한 말이나 행동을 할 때 비유적으로 쓰는 말이다. 스며드는 빛으로 날이 밝았음을 느끼고 마당 발자국 소리를 듣고 사람이 있음을 느낀다. 밖에서는 봉창을 두드려 안에 사람이 있는지 확인을 하기도 한다. 이런 작은 창들은 위치에 따라 제 역할이 다르다. 부엌의 아래위에 뚫린 살창은 환기를 시키고 높은 곳의 작은 창은 들여다보지 못하는 보안창이다. 천창이나 고창은 빛을 끌어들이는 창이다. 천창은 실내에서 하늘을 이불 삼아 누울 수 있게 해 주는 유일한 수단이다.

필자가 예전에 설계한 어린이집에 천창이 있다. 늦게 별빛을 보며 퇴근하는 워킹맘의 아기들이 엄마를 기다리며 엄마와 같은 별을 보게 해 주고 싶었다. 비용이나 하자 염려를 이유로 건축주가 반대했으나 겨우 설득해 천창이 만들어졌다. 일 년여가 지나서 늦은 시간 어린이집엘 들어갔더니 아이들이 천창 밑에 누워서 별을 바라보고 있었다. 원장과 필자를 본 아이들이 하늘을 가리키며 별이 쏟아진다고 했다. 천창을 반대할 때 자신을 설득해 줘서 고맙다고 했다. 아이들이 천창 아래를 제일 좋아해서 그 시간이면 모두 천창 아래로 모인다고 했다.

르 코르뷔지에의 롱샹 성당 벽면에 크고 작은 창들로 천상의 빛이 예배당으로 쏟아진다. 빛이 얼마나 아름다울 수 있는가를 보여 주는 창들은 벽면에 비해 크지 않은 작은 창들이다. 이런 작은 창은 최소한의 크기로 소통을 하지만 그 작은 창이 없는 벽이나 천장과는 완전히 다르다.

담장에서도 창은 유효한 소통 수단이다. 조선시대 아낙들이 모이는 우물가 담장에는 소리샘이라는 창이 뚫려 있었다. 아낙네들의 수다 장소지만 담장 밖의 세상과 소통이 어려웠기에 바깥세상 돌아가는 세상물정을 엿듣던 구멍이다. 소리샘이라 하여 높이가 다소 높았으나 적극적인 여성이라면 무엇이라도 밟고 올라서 세상 밖을 구경하지 않았겠는가. 안채와 사랑채 사이엔 담장이 있었다. 여자들이 세상 밖으로 나오는 것을 통제하는 수단 중 하나였다. 외부인이 안채에 들기 위해서는 사랑채 마당을 거쳐서 중문을 열고 들어가야 했고, 안채에 기거하는 여인들이 밖엘 나가도 같은 경로를 거쳤다. 이 담장에도 간혹 창이 나 있다. 보통은 기왓장을 마주 보게 쌓아서 원형의 엿보기 구멍을 만들었다. 신랑의 얼굴도 모르고 시집을 가야 했던 시절에 혼사가 오가는 총각이 사랑채에 들면 여인들은 이 구멍을 통해 확인했을 것이다. 용감한 아가씨라면 연서도 교환했으리라.

설렁줄은 설렁이라는 방울을 매달아 채와 채를 긴 끈으로 연결한 무전 통신수단이다. 체면을 지켜야 하는 양반은 하인을 통하지 않고 이 설렁줄로 직접 안채의 누군가와 밀어를 나눌 수도 있다. 여인의 숨구멍으로, 이 작은 소통이 있어서 조선 여인들은 좀 위안이 되었으리라.
2018-07-24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