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호준의 시간여행] 징검다리를 건너며

[이호준의 시간여행] 징검다리를 건너며

입력 2018-07-31 17:36
업데이트 2018-07-31 17: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인의 집을 찾아가는 길이었다.
이미지 확대
이호준 시인·여행작가
이호준 시인·여행작가
하지만 마을로 들어서기도 전에 엉뚱한 것에 먼저 마음을 빼앗기고 말았다. 내(川)를 가로지르는 징검다리. 얼마나 반갑던지 거기까지 간 목적도 잊어버린 채 어린아이처럼 징검돌 위를 뛰어다녔다. 모처럼 만나는 ‘진짜’ 징검다리였다.

요즘은 도시에서도 하천을 정비하면서 흔히 징검다리를 놓지만 너무 인위적인 모습이라 정이 가지 않는다. 그저 박제된 표본일 뿐이다. 몇십 년 전만 하더라도 동네마다 지천이었던 게 징검다리였다.

이 땅의 마을은 어느 곳이나 비슷한 풍경을 품고 있었다. 마을 뒤로 나지막한 산들이 어깨를 겯고 달리고, 앞으로는 작든 크든 내가 흘렀다. 그리고 산자락을 따라서 산처럼 둥글둥글한 초가집들이 점, 점, 점 들어서 있었다. 농경을 기반으로 하는 촌락이 형성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가 강 또는 내였다.

마을 앞을 흐르는 내는 한 가지 공통점을 품고 있었다. 바로 징검다리였다.

큰 강과 달리 깊지 않은 내에는 대개 징검다리를 놓았다. 징검다리는 돌을 사람의 보폭에 맞게 듬성듬성 놓아 내를 건널 수 있도록 한 가장 원시적인 다리다.

과거에는 징검다리가 사람끼리 소통하고 왕래하기 위한 기본적 요소였다. 장에라도 가려면 징검다리를 건너야 하는 것은 물론 냇물이 나누어 놓은 마을과 마을을 이어 주는 역할을 했다. 하지만 징검다리는 영구적인 다리가 아니었다. 폭우라도 쏟아져 큰물이 지나고 나면 징검돌이 저만치 휩쓸려 내려가거나 위치가 들쑥날쑥해지기 일쑤였다. 그래서 물이 빠진 뒤에는 동네 사람들이 모여 징검다리부터 보수했다.

강이나 내는 아이들에게 좋은 놀이터였다. 특히 여름이면 종일 물속에서 살다시피 했다.내는 꽤 깊은 곳도 있고 넓고 얕게 흐르는 곳도 있어서 놀기에 지루하지 않았다.

아이들은 물장구도 치고 자맥질도 하고 수초 사이에 손을 넣어 물고기도 잡았다. 엄마 몰래 고추장을 덜어다가 매운탕을 끓이는 건 조금 큰 아이들이었다. 물속에서 놀다가 지치거나 추워지면 징검다리 위에 나란히 앉아 옥수수 서리나 수박 서리를 모의하기도 했다.

오랜 세월 발길에 단련된 징검다리는 검게 빛났고 햇볕을 온몸에 품어 무척 따뜻했다. 아이들에게는 더할 나위 없는 놀이터였다.

강과 내가 어머니의 젖줄처럼 은혜롭다고 해서 늘 베풀기만 하는 것은 아니었다. 큰비라도 내리면 온화하던 내는 무섭게 변했다. 시뻘건 흙탕물이 세상을 삼킬 듯 쿵쾅거리며 내달렸다. 논과 밭을 유린하고 심지어 사람도 꿀꺽 삼켰다.

산에 나무가 별로 없던 시절에는 폭우가 쏟아지면 냇물이 눈 깜짝할 사이에 불어났다. 그 와중에도 날마다 다니던 길이니 설마 하는 마음으로 머리만 남은 징검다리를 건너는 아이들이 있었다. 하지만 물은 순식간에 불어나고 비명도 못 지르고 빨려 들어가기도 했다.

그런 악몽을 품고 있어도 고향의 내와 징검다리는 가슴 저리도록 아름다운 추억으로 가슴에 새겨져 있다.

봄이면 수양버들 푸른 머리 풀어 물에 헹구고 여름엔 아이들의 함성이 병아리 챈 솔개처럼 솟아오르던 냇가. 하지만 이제 어디에 가도 내를 가로지르는 징검다리를 보는 건 어려워졌다. 건널 일도 건널 사람도 없기 때문이다.

냇물에 몸 담그고 물장구를 치거나 징검다리 위에 벌거벗고 앉아 깔깔거리던 아이들도 보이지 않은 지 오래다. 어른이 된 그 아이는 여전히 꿈마다 징검다리를 불러내는데….
2018-08-01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