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윤창수 베이징 특파원 항일투쟁 발자취를 찾다] 폐허로 변한 ‘광복 선봉’ 의용대 옛터… 함께 싸운 팔로군은 혁명성지로 보존

[윤창수 베이징 특파원 항일투쟁 발자취를 찾다] 폐허로 변한 ‘광복 선봉’ 의용대 옛터… 함께 싸운 팔로군은 혁명성지로 보존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입력 2018-08-13 22:42
업데이트 2018-08-14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상>조선의용대 中타이항산맥 전투

“강제병(으로) 끌려 나온 동포들은 팔로군(八路軍)이 있는 곳마다 조선의용군이 있으니 총을 하늘로 향하여 쏘시오!” “왜놈의 상관 놈들을 쏴 죽이고 총을 메고 조선의용군을 찾으시요!” “조선말을 자유대로 쓰도록 요구하자!”
이미지 확대
지난 12일 중국 타이항산맥 우즈산 자락 조선의용대가 주둔했던 곳으로 추정되는 민가 벽에 설치돼 있는 한글 표지판. 타이항 윤창수 특파원 geo@seoul.co.kr
지난 12일 중국 타이항산맥 우즈산 자락 조선의용대가 주둔했던 곳으로 추정되는 민가 벽에 설치돼 있는 한글 표지판.
타이항 윤창수 특파원 geo@seoul.co.kr
지금 봐도 가슴이 뛰는 한글 격문들이 중국의 그랜드캐니언이라 불릴 정도로 험한 산세를 자랑하는 남북 600㎞ 길이의 타이항산맥 곳곳에 숨어 있다. 서울신문은 광복절을 앞두고 지난 11~12일 중국 허베이성과 산시성 일대 조선의용대의 역사적 발자취를 좇았다. 좌우로 이념이 갈리면서 우리 독립운동사에서 첫 정규군으로 일본군과 전투를 벌이고 피 흘렸던 조선의용대의 역사는 잊혀지거나 버려졌다. 함께 싸웠던 중국 공산당의 팔로군은 승리의 역사로 생생하게 보존돼 있지만 조선의용대의 주둔지는 잡풀만 무성해 저절로 통한의 눈물을 자아낸다.

조선의용대는 1938년 약산 김원봉이 중국의 한커우에서 200여명 규모로 창설한 항일 첫 부대였다. 영화 ‘암살’(조승우 연기)과 ‘밀정’(이병헌 연기)에서 주요 인물로 등장하는 김원봉은 경남 밀양 출신으로 1919년 의열단을 조직하고 국민당과 함께 조선의용대를 창설했다. 이후 조선의용대와 함께 광복군에 편입했지만 1948년 월북하면서 그의 이름과 함께 조선의용대의 전공도 잊혔다.
이미지 확대
주둔 터에 있는 민가는 잡초가 무성하게 자랄 정도로 방치돼 있다.  타이항 윤창수 특파원 geo@seoul.co.kr
주둔 터에 있는 민가는 잡초가 무성하게 자랄 정도로 방치돼 있다.
타이항 윤창수 특파원 geo@seoul.co.kr


산시성 진중(晉中)시 쭤취안(左權)현 상우(上武)촌의 흥복사 일대는 조선의용대가 최초로 주둔한 곳이다. 중국 공산당의 화장실 혁명이 아직 시작되지 않아 재래식 화장실만 있는 궁벽한 마을 입구에는 조선의용군 화북지대 주둔지란 표지판이 당당하게 세워져 있다. 마을 아이들은 베이징에서 온 역사 탐방단이 들어서자 ‘오빠는 강남 스타일’ 노래를 부르며 환영했다.
이미지 확대
정갈하게 보존 전시돼 있는 중국 공산당 팔로군 기념관.  타이항 윤창수 특파원 geo@seoul.co.kr
정갈하게 보존 전시돼 있는 중국 공산당 팔로군 기념관.
타이항 윤창수 특파원 geo@seoul.co.kr
조선의용대는 군관학교를 졸업한 엘리트들이다. 이들은 일본어, 중국어, 한국어 등 3개 언어에 능통해 일제에 저항하는 선전 작업에도 대거 투입됐다. 그런데도 농민이 주력 대원이었던 공산당 팔로군과 달리 전투에도 능해 그들의 맹렬한 기세를 기억하는 현지인들이 적지 않았다.

이들이 타이항산에서 벌인 전투는 일본군을 마을 밖으로 유인하느라 인명피해가 컸지만 조선의용대의 명성을 높인 1941년 12월 후자좡(胡家莊) 전투 등이 유명하다. 하지만 중국 개혁개방을 이끈 덩샤오핑(鄧小平)과 펑더화이(彭德懷)의 퇴로를 열어 주면서 진광화, 윤세주 열사가 희생된 십자령 전투를 빼놓을 수 없다. 1942년 5월 일본군이 3만 5000명의 대부대를 동원해 팔로군을 싹쓸이하는 ‘참빗작전’을 벌이면서 팔로군은 옴짝달싹할 수 없는 신세가 됐다. 조선의용대가 십자령에서 처절하게 희생된 끝에 팔로군 지도부는 무사히 퇴각할 수 있었다.

상우촌 마을 주민들은 무명 열사 묘가 있는 곳을 안내하며 잡풀이 무성하니 조심하라고 친절하게 당부했다. 인적이 끊겨 희미한 자취만 남은 길을 따라 가슴팍까지 오는 풀숲을 헤치고 산을 오르자 한국이 있는 동녘을 바라보며 잠든 ‘의용군 열사지묘’가 나타났다.
이미지 확대
조선의용대가 중국 산시성 진중시 쭤취안현 윈터우디촌의 입구에 남긴 한글 격문을 마을 주민들이 페인트로 그림 그리듯 색칠해 보존하고 있다. 사진 속의 격문에는 “강제병(으로) 끌려 나온 동포들은 팔로군이 있는 곳마다 조선의용군이 있으니 총을 하늘로 향하여 쏘시오!”라고 씌어 있다.
조선의용대가 중국 산시성 진중시 쭤취안현 윈터우디촌의 입구에 남긴 한글 격문을 마을 주민들이 페인트로 그림 그리듯 색칠해 보존하고 있다. 사진 속의 격문에는 “강제병(으로) 끌려 나온 동포들은 팔로군이 있는 곳마다 조선의용군이 있으니 총을 하늘로 향하여 쏘시오!”라고 씌어 있다.
팔로군의 명장이었던 쭤취안 장군의 이름을 딴 쭤취안현 윈터우디(云頭底)촌에는 조선의용대가 70여년 전에 남긴 한글 격문이 남아 있다. 마을 주민들이 보존해 온 한글 격문은 마을 입구에 세워진 망루에 쓰여 멀리서도 확연히 보였다.

허베이성 한단(邯鄲)시 서(涉)현 스먼(石門)촌에 있는 ‘조선의용군 열사 기념관’은 팔로군이었던 시아버지를 둔 중국인이 관리한다. 방문객이 오면 전화를 받고 열쇠로 문을 열어 주는 리슈잉(李秀英·53)은 “지난해 10월 개최된 제19차 공산당 대회를 기점으로 중국에서도 공산당 유적을 돌아보는 ‘홍색 관광’ 열기가 크게 일고 있다. 매일 한 팀 이상 찾을 정도로 방문객이 늘었다”고 말했다. 그에 따르면 중국중앙(CC)TV도 최근 이곳을 찾아 취재했다.
이미지 확대
타이항산맥 우즈(五指)산 자락의 조선의용대 주둔지에는 ‘잘생기고 멋진 조선 오빠’를 기억하는 왕차오즈(王巧枝·90) 할머니가 생존해 있다. 왕 할머니는 아직도 큰방을 조선 사람들에게 선뜻 내어 주고 작은방에서 묵었던 기억을 간직한다.

왕 할머니는 “조선의용대가 타이항산에서 감자와 고구마를 키우는 등 주민들과 농사를 함께 지었다”며 “처음에는 조선 사람들이 우물에서 물을 제대로 못 길어서 동네 사람들이 물 긷는 법도 알려 줬다”고 회상했다. 16살 때 ‘조선인 오빠’라고 기억하는 조선의용대원들과 한집에서 살았던 왕 할머니는 지금도 그 집에 그대로 살고 있다. 집 마당에는 일본군을 피해 조선의용대들이 몸을 숨겼을 법한 토굴도 있다.

왕 할머니의 중국어는 현지 사투리가 심해서 중국인의 통역이 따로 필요할 지경이었지만 한번 잡은 손을 오랫동안 놓지 않으며 말을 이어 갔다. 멀리 베이징에서 왔으니 하룻밤 묵어가라는 인정만은 조선의용대에게 보여 준 것과 같으리라 짐작됐다. 조선의용대를 기억하는 중국인들이 너무 연로해 상세한 역사적 구술을 받기는 쉽지 않았다. 다만 조선의용대들이 현지 주민들과 활발하게 교류하고 농사일도 함께 하는 등 서로 도움을 주고받은 사실은 확인할 수 있었다. 조선의용대는 일본 제국주의 침략 앞에서 중국인과 한마음으로 힘을 합쳤던 것으로 짐작된다.

타이항산은 조선의용대를 품은 역사 그 자체였다. 잡풀이 무성하지만 일부 주둔지에는 한글로 ‘조선의용군 옛터’라고 쓴 표지판도 설치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는 내년에 한국 방문객들이 조선의용대를 추모하는 데 손색이 없다.

상룽성(尙榮生) 조선의용군기념관장은 “조선 독립운동에서 조선의용대는 매우 중요한 존재이지만 아는 중국인들도, 한국인들도 많지 않아 섭섭한 감정을 숨길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조선의용대는 한국과 중국, 일본이 얽힌 동북아시아의 정세를 이해하기 위해서 반드시 되새겨야 할 존재들”이라고 말했다.

geo@seoul.co.kr
2018-08-14 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