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는 여기에 없었다

영화 ‘너는 여기에 없었다’
영화 ‘너는 여기에 없었다’의 조(호아킨 피닉스)는 두 가지 싸움을 동시에 벌인다. 하나는 자기 밖, 다른 하나는 자기 안에서다. 자기 밖의 싸움은 그가 의뢰받은 사건을 처리하는 일과 관련이 있다. 조는 망치로 적을 제압한다. 이것은 위험하나 마음이 괴롭지는 않다. 반면 자기 안의 싸움은 다르다. 위험하고 마음도 괴롭다. 원작 소설 ‘너는 여기에 없었다’(프시케의숲)에는 이렇게 쓰여 있다. “온종일, 매 순간. 조는 생각했다. ‘난 자살해야 해.’ (중략) 온몸에 점점 힘이 빠지며 마음 한구석에 그림자가 드리우자 한 줄기 목소리가 들렸다. ‘괜찮아. 그냥 가면 돼. 넌 원래 여기 없던 거야.’”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조는 끊임없이 자살 충동에 시달린다. 어린 시절 당한 학대 탓이다. 아직 그는 “넌 원래 여기 없던 거야”라는 은밀한 부추김에 굴복하지 않았다. 그러나 자기 밖의 싸움과 달리, 자기 안의 싸움은 끝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살아 있는 한 조는 늘 비상 상태다. 영화 ‘너는 여기에 없었다’는 바로 이런 그의 혼란한 내면에 집중하는 작품이다. 감독 린 램지의 솜씨는 여전하다. 영화 ‘케빈에 대하여’(2012)로 캐릭터 해석과 연출에 일가견을 보여준 그녀는 신작에서도 자기 장기를 십분 발휘한다. 영화 ‘모번 켈러의 여행’(2002)도 그렇고, 린 램지는 원작 소설을 바탕으로 하되 본인만의 관점으로 철저하게 재구성된 수작을 만드는 연출가다.

이번에 조가 새로 맡은 건은 상원의원의 실종된 딸을 찾는 것이다. 그녀의 이름은 니나(예카테리나 삼소노프). 알고 보니 니나는 변태 소아 성매매업소에 넘겨진 상태다. 그녀를 구출해야 한다. 해결사로서 조는 곧 행동에 돌입한다. 그럴 때 이 영화가 범상한 작품이라면 어떨까. 아저씨가 악당들과 사투하는 액션이 강조되고, 마침내 그가 악의 수렁에서 소녀를 끄집어내는 해피엔드로 마무리됐을 테다. 그렇지만 ‘너는 여기에 없었다’는 그런 단순한 영화가 아니다. 위에 언급했듯이 이 작품은 조의 바깥 세계보다, 거기에 조응하는 그의 안쪽 세계에 훨씬 더 큰 비중을 두고 초점을 맞춘다.

그래서 원작 소설과 영화의 결말은 다를 수밖에 없다. 만약 당신이 둘 중 어느 쪽이 마음에 드느냐고 묻는다면, 나는 필경 영화 편에 설 듯하다. 이유는 간명하다. 영화가 니나에게 구원을 기다리는 피해자 역할만을 부여하지 않아서다. 분명 조는 자기 밖의 싸움을 통해 그녀를 도왔다. 한데 니나 역시 그에게 그랬다. 특히 조가 끔찍하게 여기는 자기 안의 싸움에서 말이다. 강철 같은 조의 구원자가 상처투성이인 니나일 수 있다는 사실-이 가능성을 개연성 높게 열어둔 점만으로도 이 영화는 원작 소설에 앞설 만한 가치를 지닌다. 이는 또한 “넌 원래 여기에 없던 거야”라는 파멸의 유혹에 맞서는 영화적 답변이기도 하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