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하이난 59개국 무비자 정책 실시 1달…싼야 펑황 국제공항으로 해외 관광객 19,115명 입국

하이난 59개국 무비자 정책 실시 1달…싼야 펑황 국제공항으로 해외 관광객 19,115명 입국

입력 2018-10-10 14:53
업데이트 2018-10-10 14: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5월 31일을 기준으로 중국 하이난(海南, 해남)에서 59개국에 대한 무비자 정책을 실시한지 정확히 1달의 시간이 흘렀다.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싼야(三亞, 삼아) 펑황(鳳凰) 국제공항을 통해 무비자로 입국한 관광객의 수는 19,115명에 달했다. 그중 러시아 관광객은 10,174명, 한국인 관광객은 6,027명, 카자흐스탄 관광객은 1,749명, 인도네시아 관광객은 1,017명, 우크라이나 관광객은 43명, 벨라루스 관광객은 37명으로 조사됐다.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싼야 펑황 국제공항을 이용해 입국한 관광객의 수는 작년 동기 대비 14% 증가한 33,495명에 달했다. 그중 19,115명은 ‘하이난 59개국 무비자 정책’을 통해 싼야로 입국했다. 한편 5월 한 달 동안 무비자로 하이난을 찾은 관광객 가운데 싼야를 통해 입국한 관광객은 79.65%를 차지했다.

신정책 실시 전 싼야시 관광위원회는 여행사와 함께 ‘하이난 59개국 무비자 정책’ 관련 관광상품을 만들기 시작했고 신정책의 실시를 해외 관광객 유치의 좋은 기회로 삼아 ‘베를린-홍콩-싼야’와 같은 홍콩을 경유하는 관광상품을 개발해 59개국에 포함되지만 직항노선이 없는 유럽 국가를 겨냥하기도 했다.

‘싼야-런던’ 직항노선이 오는 7월 12일 정식 개통될 예정이다. 싼야 관광위원회는 ‘직항노선+무비자’ 등 정책을 마케팅 전략으로 홍보에 나설 계획이며 여행사, 호텔, 남방항공 등과 협력하여 가족단위의 런던 관광객을 겨냥한 상품도 내놓을 예정이다.

신정책 실시 전 싼야시 관광위원회는 다양한 언어로 구글, 트위터, 페이스북, 유튜브 등을 통해 관련 정보를 게재했고 구글 측은 1,000만, 유튜브는 1,500만 조회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또한 영어, 일어, 한국어, 러시아어, 프랑스어 등 주요 마케팅 대상국에 기사를 싣기도 했으며 무비자 관련 기사는 많은 관광객들의 주목을 이끌어 냈다. 또한 싼야 관광국 홈페이지에는 신정책 관련 질문만 수백 건 이상 올라오기도 했다.

싼야시에서 개최된 해외 마케팅 행사로 카자흐스탄 여행사의 싼야 관광 설명회 등과 같은 관광 설명회와 ‘59개국 무비자 신정책’이 하나의 키워드로 부상되며 세계 각국 여행사들의 중국 하이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관광위원회 마케팅센터 관련 책임자는 “관광 위원회는 미국 뉴욕 타임스퀘어에 무비자 정책 관련 광고를 띄울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영국 여행사를 싼야로 초청해 무비자 입국 신정책과 직항노선에 대해 소개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고 소개했다”며 “신정책 업그레이드를 통해 유럽 및 미국 시장을 점유하고 무비자 관광객 수를 늘릴 계획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신정책 실시 과정 중 58개국 무비자 입국 관광객들 가운데 일부가 ‘59개국 무비자 입국’ 정책을 ‘여권만 가져오면 싼야로 입국할 수 있다’라고 잘못 이해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싼야시 관광위원회는 싼야시 공항 입국장에 관련 업무를 해결하는 임시 부서를 개설해 59개국 무비자 관광객들을 다시 본국으로 돌려보내는 일이 없도록 하고 순조롭게 싼야시를 구경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싼야시 관광위원회는 가장 먼저 싼야 관광국 홈페이지에 관광객을 받을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여행사 명단을 공개하고 연락처, 언어 선택 등의 항목을 추가해 해외 관광객들의 현지 여행사와의 연결을 도와 관련 수속을 밟을 수 있게 하고 있다. 또한 모든 신정책 관련 언론 홍보를 통해 ‘24시간 내 현지 여행사를 통해 공안(公安)기관에 ‘신분 정보와 여행 일정’을 제공해야 한다는 내용을 강조하고 있고 더 많은 무비자 관광객들에게 해당 규정을 알게 해 안심하고 하이난 여행을 즐길 수 있게 하고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