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김창호 대장 등 시신 9구 모두 수습, 전문가도 “왜 이런 변이”

김창호 대장 등 시신 9구 모두 수습, 전문가도 “왜 이런 변이”

임병선 기자
입력 2018-10-14 16:33
업데이트 2018-10-14 16: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창호 대장이 이끄는 코리안웨이 원정대원 9명이 희생된 네팔 히말라야 다울라기리 산군 구르자 히말의 웅자. AFP 자료사진
김창호 대장이 이끄는 코리안웨이 원정대원 9명이 희생된 네팔 히말라야 다울라기리 산군 구르자 히말의 웅자.
AFP 자료사진
그렇게도 산을 깊이 사랑하더니 산으로 영원히 떠났다.

12일(이하 현지시간) 네팔 히말라야 다울라기리 산군의 구르자 히말(해발고도 7193m) 베이스캠프를 덮친 강풍 때문에 협곡 아래로 추락사한 김창호(49) 대장은 늘 산을 새로운 방식, 새로운 루트로 탐험하려고 노력하던 참 산악인이었다.

14일 아침 대형 헬리콥터를 동원해 김 대장과 한국인 대원 5명과 네팔인 가이드 4명 등 아홉 구의 시신을 모두 수습해 이날까지 수도 카트만두로 운구할 계획이라고 외교부가 밝혔다. 김 대장과 이재훈(25)·유영직(51) 대원, 영화 ‘히말라야’ 제작에도 참여한 다큐 감독 임일진(49)씨, 이들을 격려하기 위해 들른 정준모 한국산악회 이사 등이 네팔인 가이드들과 함께 변을 당했다. 지난 7일 구르자 히말의 남동면 3000m 직벽 아래 해발 3500m 지점에 도착한 원정대는 베이스캠프를 설치하고 날씨가 좋아지길 기다리고 있었다. 몸이 좋지 않아 걸어서 하루 걸리는 구르자카지 마을에 내려가 있던 여섯 번째 한국인 대원이 11일 밤부터 교신이 되지 않아 다음날 올라갔더니 베이스캠프는 온데 간데 없고 대원들은 텐트에 갇힌 채로 추락해 협곡 아래 500m 지점에 시신이 흩어져 있었다.

구르자 히말은 정상을 발 아래 둔 이가 30명에 그치고 1996년 이후 아무도 성공한 적이 없어 8000명 가까이 등정한 에베레스트(해발고도 8848m)보다 더 위험한 산이다. 더욱이 이번 원정대는 직벽 아래 비좁은 지형에 캠프를 설치한 것이 화근이 됐다.
영국 BBC 캡처
영국 BBC 캡처
시신 수습을 도운 미국의 구조 단체 ‘글로벌 레스큐’의 댄 리처즈는 “베이스캠프가 마치 폭탄에 맞은 것처럼 처참한 몰골”이라며 “무슨 일이 있었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 이런 고도에서는 이 정도로 심한 강풍이 불지도 않고, 경험 많은 원정대가 가장 안전한 곳이라 판단해 베이스캠프 자리를 잡았을 것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김 대장은 세계 최단 기간(7년 10개월 6일) 8000m급 14좌를 모두 무산소로 올랐고, 2008년 파키스탄 카라코람 바투라 2봉을 세계 초등하고 아시아 황금피켈상을 두 차례나 받을 정도로 국제 산악계에서도 인정받는 인물이었다. 2016년 10월 네팔 히말라야의 아샤푸르나(해발고도 7140m) 정상 100m 앞까지 새 루트를 개척한 데 이어 강가푸르나(해발고도 7455m)까지 남벽 직등으로 세계 초등하는 등 늘 고정 로프와 고소 등반 셰르파의 도움을 받지 않고 스스로의 힘으로 고산과 거벽을 등정하는 알파인 스타일을 지향했다.

자금이나 인력을 많이 동원하지 않고 소규모 원정대를 꾸려 자신이 직접 기록하고 정찰해 꼼꼼히 자료를 만들어 시행착오를 줄였다. 늘 기록을 중시하고 후배들에게 자신의 등반 기술을 몸으로 전수하고 싶어 했다. 코리안 웨이 원정대원 얼굴이 자주 바뀌는 이유이기도 했다.

생전에 “가족의 품으로 안전하게 돌아오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하산”이라고 입버릇처럼 말해왔다. 지인이 미국 존 뮤어 트레일을 다녀온다고 하자 자신이 아끼던 침낭을 기꺼이 빌려주는 따듯한 면도 있었다.

한편 이낙연 국무총리의 긴급 지시에 따라 외교부는 신속대응팀을 구성해 2명이 15일 카트만두로 출발해 시신 운구 및 장례 절차 등을 지원하게 된다.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늘 밝고 잘 웃던 김창호 대장이 2017년 2월 서울신문과 인터뷰를 갖고 주먹을 불끈 쥐어 보이고 있다. 서울신문 DB
늘 밝고 잘 웃던 김창호 대장이 2017년 2월 서울신문과 인터뷰를 갖고 주먹을 불끈 쥐어 보이고 있다.
서울신문 DB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