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최세일의 건축이야기] 풍수지리로 해석한 건축

[최세일의 건축이야기] 풍수지리로 해석한 건축

입력 2018-10-22 17:00
업데이트 2018-10-22 18: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북악산을 주산으로 북한산의 기가 모이는 지점에 자리한 경복궁. 인왕산과 응봉산이 좌우로 좌청룡 우백호가 되어 감싸고 있다.
북악산을 주산으로 북한산의 기가 모이는 지점에 자리한 경복궁. 인왕산과 응봉산이 좌우로 좌청룡 우백호가 되어 감싸고 있다.
사람이 무엇인가를 만들 때는 일차적인 필요 때문이다. 내외부적 환경이 변화하고 1차적 필요가 충족되면 2차적 기능이 추가되고 마지막은 최상위 기능이 추가된다. 그 최상위 기능은 형이상학적 기능들이다. 풍수지리는 집과 무덤이라는 사람의 목적물에 최상위 기능을 담은 것이다. 무덤의 최상위 기능은 추모와 기원이고 집의 최상위 기능은 괘적한 환경으로 건강하고 편안한 일상으로 행복하게 사는 것이다.
최세일 한건축 대표
최세일 한건축 대표
동물도 집을 짓는다. 사람과 동물의 차별성은 집보다 무덤이 먼저였다. 수만년 전 유인원에 가까운 조상이 주검을 앞에 두고 망자를 추모했다면 그 원시인들이 우리의 조상이라는 생각이 좀 쉽게 다가오지 않는가. 수만년 전의 죽은 원시인의 화석 위에서 온갖 종류의 꽃 유전자가 발견되었다고 한다. 사랑하는 사람을 추모하며 꽃을 바쳤을 것을 상상할 수 있다. 이런 것들이 인류의 무덤을 동물과 차별되게 만들었으며 죽음과 사후 세계에 대한 두려움은 영원할 것 같은 무언가를 찾아 숭배하는 신앙이 되었다.

풍수지리는 대개 외부 요인을 극복하려는 학문이었다. 요즘 가장 중요한 환경을 꼽으라면 자연환경보다는 인공환경을 꼽을 것이다. 교통, 교육, 편의시설 인프라 외에 사람들이 구분하는 무형의 이미지까지 수많은 인공 환경이 땅이나 집을 선택하는 기준이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전통적인 풍수를 따지는 이가 적지 않다. 전통적인 풍수는 무엇일까?

미신으로 취급하는 이들이 많지만, 풍수를 미신이라고 무시하기엔 인간적이기도 하고 합리적인 면도 있다. 과거 환경을 연구한 학문 중 하나가 풍수지리라고 봐도 좋을 듯하다. 요즘 배우는 학문과 굳이 연관시키면 환경공학과 인간공학일 것이다. 물론 지리학, 지질학, 천문학까지 연결되어 있지만, 그것은 일반인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원론적이고 상식적인 범위는 아니다. 일반인들을 합리적으로 설득하기 어려운 우주의 기운이니 땅의 기운이니 하는 이야기들을 빼고 살펴보면 풍수는 양택(주택)이든 음택(무덤)이든 모두 살아 있는 사람을 위한 이론임을 알 수 있다. 명당을 찾는데 그 이유가 자신과 후손들을 위한 것이다. 환경이 인간에 미치는 영향을 따져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땅을 고른 것이다.

북풍이 매서우니 북쪽을 산이 막아주고 좌청룡 우백호가 호위하듯 감싸니 마음이 안정적이다. 좋은 기운의 물이 휘돌아 나가며 땅을 비옥하게 한다. 남쪽으로는 넓은 평지가 있어 햇볕이 잘 들고 양식거리가 충분하니 겨울이 무섭지 않다, 태평양을 지나온 남동쪽의 바람은 여름 더위를 식혀준다. 조상의 묘 옆에서 해를 넘기며 3년씩 시묘하던 자식들에겐 습하지 않고 바람이 잘 통하고 양지바른 조상의 묘소가 얼마나 다행스러운가?

시묘를 살며 탁 트인 남쪽 살아 있는 사람들의 세상을 살필 수 있고 왕래가 쉬워야 좋을 것이다. 춥고 습하고 어두운 곳에서 탈상을 한 친구보다 건강하니 자손을 보기가 어렵지 않다. 자신의 묘자리를 미리 만들며 후손들의 건강을 염두에 두었을 것이다. 최근 개봉해 상영 중인 명당에 대원군의 아버지 남연군의 묘에 대한 이야기가 있다. 왕이 두 명 나오는 자리라 하여 절이 있던 자리를 강탈하여 만든 묘라니 참 과해도 너무 과했다 싶다. 그 명당에 묘 대신 절이 있어 스님들이 나라의 안녕을 기원했다면 흥선군의 자손이 왕이 되지는 않았더라도 조선의 운명은 그처럼 급격히 쇠락하지 않았을 수도 있었을지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가장 큰 운송수단이 배나 뗏목이던 시절 물결이 거칠지 않고 배를 대기 좋은 곳이고 논밭에 물을 대기 좋으니 어찌 명당이 아닐까? 지는 해보다 뜨는 해를 매일 볼 수 있으니 마음이 부유하다. 지대가 낮지 않아 수해의 염려가 없고 앞이 탁 트여 세상을 내려다 볼 수 있어 호연지기를 기를 수 있으니 어찌 명당이 아닐까? 환경이 인간에 미치는 영향을 따져 명당을 고르던 풍수가 요즘 현실에 맞게 발전할 수 있다. 지금 시점에서 명당인 곳이 있다.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길을 내기 힘든 곳에 길이 나고 수해가 잦던 곳이 치수가 돼 경관 좋은 관광지가 되었다. 물 위에 집짓기도 한다. 풍수가 건강한 삶을 보조할 때 발전하고 사랑받는다.
2018-10-23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