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In&Out] 영화, 아이들에게 귀를 기울이다/남동철 부산국제영화제 프로그래머

[In&Out] 영화, 아이들에게 귀를 기울이다/남동철 부산국제영화제 프로그래머

입력 2018-10-28 22:44
업데이트 2018-10-28 22: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애들이 무슨 걱정이 있어?” 흔히 어른들은 아이들에 대해 이런 말을 한다. 그들도 아이에서 어른이 됐건만 어린 시절 힘들고 괴로웠던 일은 잊고 아이들 문제는 대수롭지 않게 취급한다. 하지만 아이라고 생각이 없는 것이 아니고 학교 역시 사회의 한 부분이기에 어른들이 사회에서 겪는 괴로움과 아이들이 학교에서 겪는 괴로움은 근본적으로 다르지 않다.
이미지 확대
남동철 부산국제영화제 프로그래머
남동철 부산국제영화제 프로그래머
입시 지옥만이 지옥이 아니라 친구들의 따돌림도 지옥이 된다. 윤가은 감독의 영화 ‘우리들’은 초등학생들이 또래 친구들과 사귀면서 경험하는 이런 고통을 상기시켜 반향을 일으켰다. ‘우리들’은 초등학생의 삶에도 그들 나름의 아픔과 힘겨움이 있다는 걸 알려줬다.

영화는 우리가 사는 현실을 재현하는 강력한 매체이지만 모든 현실이 골고루 모습을 드러내진 않는다. ‘우리들’ 같은 영화가 등장하자 불현듯 관객은 그런 사실을 깨닫는다. 영화가 초등학생의 삶과 현실을 제대로 보여준 적이 있었던가?

‘우리들’은 여자 초등학생의 삶이 어떠한지를 알려주는 희귀한 순간을 열어줬다. ‘우리들’이 물꼬를 튼 덕분인지 몰라도 최근 한국 독립영화는 그간 스포트라이트가 비춰진 적 없는 아이들의 삶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얼마 전 폐막한 부산국제영화제에 선보인 한국 독립영화 가운데 상당수가 10대의 이야기를 다룬 작품이었다. 대표적인 영화 중 하나인 김보라 감독의 ‘벌새’는 중학생 소녀의 삶을 그렸다. 1994년 성수대교 붕괴사고가 있던 해, 소녀는 부모와 친구와 선생님에게 애정을 갈구하지만 구애는 번번이 엇나가거나 실패한다. 영화를 보노라면 1994년을 살아본 적 없는 관객도 느낄 것이다. 나도, 우리에게도 저런 시절이 있었는데, 하고.

감독은 중학교 2학년 소녀를 주인공으로 삼은 이유 중 하나로 “‘중2병’이라는 표현에 대한 반작용”이라고 말했다. 중2병은 중학생을 어른들의 잣대에 맞지 않는 이상한 존재로 규정하기 위한 말이다. 차별과 배제를 통해 어른의 질서에 투항하고 편입되도록 강제하려는 것이다. 우리의 교육이 이런 걸 올바른 사회화의 과정으로 이해하는 동안 10대들의 고민을 들어줄 곳은 자연스레 줄어든다. 그들은 언제나 미성숙한 존재로 우리 시야의 바깥에 머물고, 그런 현실을 반영하듯 영화에서도 10대의 이야기는 주류에 편입되지 못한다. 그것이 여자아이일 때는 더 그렇다.

성급한 말인지 몰라도 ‘우리들’이나 ‘벌새’같은 영화가 주류가 되는 세상은 오지 않을 것이다. 현재 한국영화의 주류는 중년 남성, 즉 아저씨의 현실에 주목한다. 하지만 주류가 아니라고 존재가 없어질 수는 없다. 오히려 비주류이기에 간절한 말과 이야기가 있다. 올해 영화제에선 그들에게 귀 기울여 달라는 호소를 많이 들을 수 있었다. 지금보다 나은 세상을 꿈꾼다면 그런 목소리를 잘 들어야 할 것이다.
2018-10-29 29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