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골드만삭스 “미국 내년 금리인상 4회에서 3회로 축소될 듯”

골드만삭스 “미국 내년 금리인상 4회에서 3회로 축소될 듯”

김규환 기자
입력 2018-12-11 14:40
업데이트 2018-12-11 14: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얀 하치우스 골드만삭스 수석 이코노미스트.  골드만삭스 페이스북 캡처
얀 하치우스 골드만삭스 수석 이코노미스트.
골드만삭스 페이스북 캡처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가 내년 기준금리 인상을 당초 ‘4차례’에서 ‘3차례’로 축소할 수 있다고 미 투자은행 골드만삭스가 전망했다.

미 경제매체 CNBC에 따르면 얀 하치우스 골드만삭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10일(현지시간) 내놓은 보고서에서 연준이 오는 18~19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올해 네 번째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이라면서도 “내년 3월에는 금리를 인상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그는 “연준이 금융 상황의 실질적이고 지속적인 변화에 대한 경제적 함의에서 ‘기준금리 경로’를 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그러면서 “연준이 이번 달 기준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은 90% 이상이고 내년 3월 인상할 가능성은 50% 밑으로 떨어졌다”며 연준이 내년 3월 인상을 쉬어갈 것이라고 점쳤다.

하치우스 이코노미스트는 이어 연준이 내년 6월 이후 연말까지 분기별 기준금리 인상 기조로 복귀할 것으로 내다봤다. 연준이 내년 3월 기준금리 인상을 중단한 뒤 6월, 9월, 12월 3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얘기다. 이는 당초 ‘내년 4차례 인상’ 전망에서 후퇴한 것으로, 연준 전망과 같은 수준이다. 그는 “미 경제는 올해 대부분 추세 이상으로 성장을 계속하고, 실업률은 연준의 장기 전망 수준보다 밑으로 떨어졌으며, 임금과 인플레는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면서도 “투자자들이 금융 긴축에 대해 과도하게 우려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런 가운데 국제통화기금(IMF)은 내년 이후 미 경기가 급격히 둔화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모리스 옵스펠드 IMF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지난 9일 퇴임을 앞두고 기자들과 만나 “세금 감면과 소비 증가의 효과가 사라지면서 올해와 달리 내년 미 경제 성장률은 더 낮아질 것”이라며 “2020년에는 내년보다 더 급격히 떨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전했다.

옵스펠드 이코노미스트가 지난 10월까지도 세계 경제 성장세가 ‘안정적 정체기’에 있다고 평가하다가 암울한 전망을 내놓은 것은 3·4분기 아시아와 유럽 경제지표가 실망스러운 수준에 그치는 등 미국 이외 다른 국가들의 성장세가 눈에 띄게 둔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미국 이외 다른 국가의 (성장률) 둔화는 훨씬 더 극적”이라며 “마치 풍선에서 바람이 빠져나오는 것 같은 움직임은 결국 미 경제에도 타격을 줄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특히 ‘최악의 시나리오’로 마국 내 물가상승률이 높아지고 연준이 금리를 추가 인상하는 방식으로 대응하는 것을 꼽았다. 그는 다만 “연준에서 나오는 말이나 시장 전망에 따르면 수 개월 전에 생각했던 것보다는 연준의 금리 인상이 좀 더 적절한 속도를 취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그는 미·중 무역전쟁 파장에 대해서도 “세계 투자·생산의 상당 부문이 무역에 묶여 있어 통상 갈등이 경제에 해를 끼칠 수는 있지만 무역이 완전히 붕괴됐던 1930년대 대공황이 도래할 가능성은 없다”고 일축했다.

IMF는 앞서 지난 10월 세계경제 전망 보고서에서 올해와 내년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종전보다 0.2% 포인트 낮은 3.7%로 전망했다. IMF가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는 것은 2016년 7월 이후 처음이었다. IMF는 세계경제 성장이 ‘꾸준할 것’ 또는 ‘정체될 것’이라고 표현했다. WSJ은 옵스펠드 이코노미스트의 이번 전망이 지난 10월에 비해 “수사적으로 하향 조정됐다”며 “지난 3년 간의 재임 기간 동안 자주 낙관론을 펼쳐온 옵스펠드가 (드물게) 비관론을 내놨다”고 풀이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