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125개 별자리 덮개돌…1500년 前 가야 왕국은 우주를 품었다

125개 별자리 덮개돌…1500년 前 가야 왕국은 우주를 품었다

안석 기자
안석 기자
입력 2018-12-18 21:04
업데이트 2018-12-19 00: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남 함안 말이산 고분서 첫 발견

지름 40m 아라가야 최대급 ‘붉은벽 고분’
돌덧널 덮개돌 아래 궁수자리 등 그려져
크기·깊이 다르게 표시… 밝기 나타낸 듯
이미지 확대
1600년 전 아라가야 고분에서 별자리 그림이 그려진 덮개돌이 처음 발견됐다. 문화재청은 18일 경남 함안의 ‘말이산 13호분’ 구덩식 돌덧널무덤에서 궁수자리, 전갈자리 등의 별자리가 표시된 덮개돌을 찾아냈다고 밝혔다. 덮개돌에 찍힌 성혈(별을 표현한 자국)은 모두 125개다. 문화재청 제공
1600년 전 아라가야 고분에서 별자리 그림이 그려진 덮개돌이 처음 발견됐다. 문화재청은 18일 경남 함안의 ‘말이산 13호분’ 구덩식 돌덧널무덤에서 궁수자리, 전갈자리 등의 별자리가 표시된 덮개돌을 찾아냈다고 밝혔다. 덮개돌에 찍힌 성혈(별을 표현한 자국)은 모두 125개다. 문화재청 제공
아라가야(가야 6국 가운데 한 나라)의 왕 무덤으로 추정되는 경남 함안 말이산 고분에서 ‘별자리’ 그림이 처음으로 발견됐다. 5세기 후반 아라가야인들의 천문 사상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문화재청은 함안군과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이 조사하고 있는 도항리 ‘함안 말이산 13호분’(사적 515호)에서 붉은 안료로 채색된 구덩식 돌덧널무덤의 벽면과 125개의 성혈(星穴, 별을 표시한 자국)이 새겨진 덮개돌이 확인됐다고 18일 밝혔다.

말이산 주능선 중앙의 가장 높은 곳에 자리한 ‘13호분’은 지름 40.1m, 높이 7.5m에 달하는 아라가야 최대급 고분이다. 1918년 일제강점기 때 야쓰이 세이이쓰가 한 차례 조사한 적이 있으나 도굴식 조사에 그쳤다. 돌덧널 내부가 네 개의 벽면 전체가 붉은 물감으로 칠한 ‘주칠 고분’이라는 사실도 이번 조사에서 처음 확인됐다.

궁수자리 등의 별자리를 새겨 놓은 성혈 125개는 무덤방을 덮은 덮개돌 가운데 중앙돌 아랫면에서 확인됐다. 각각 크기와 깊이가 다른데, 이를 통해 별의 밝기를 표현한 것으로 추정된다. 과거 고분 덮개돌 윗면에서 드물게 발견된 별자리가 이처럼 돌덧널 안에서 발견된 것은 처음으로, 무덤 축조 당시부터 의도적으로 구성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조사단은 “성혈이 고분 덮개돌 윗면에서 아주 드물게 발견되기는 하지만, 무덤방 안에서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문화재청은 가야 무덤 1000여개가 밀집한 말이산 고분군에 대한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있다. 문화재청은 또 지난 6월 최초로 확인한 아라가야 왕성지를 추가 발굴한 결과 망루와 창고, 고상건물, 수혈(구덩이), 집수지 등 군사시설로 보이는 건물지가 다수 발견됐다고 밝혔다. 확인된 건물지는 모두 14동으로 수혈건물지 12동과 고상건물지 2동이다. 특히 10호 건물지는 판석(쪼갠 돌)을 세워 긴네모꼴의 정교한 건물터를 조성하고 길이 약 5m의 부뚜막을 설치했는데, 이는 가야에서 처음 확인된 구조라고 문화재청은 설명했다.

이 밖에 쇠화살촉과 쇠도끼, 비늘갑옷, 토기받침 등 일반적인 집자리에서 출토되지 않는 유물이 다수 발견돼 군사집단이 거주했던 것으로 추정됐다. 강동석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실장은 “이렇게 대규모 토목공사에 노동력을 동원할 수 있는 정치권력이 존재했고, 전문화한 군사집단이 거주했음을 볼 때 추정왕성지가 아닌 왕성지로 단언해도 될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2018-12-19 12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