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김초엽 작가의 과학을 펼치다] 수화에 관한 매력적 탐구… 하나의 고유 언어이자 문화

[김초엽 작가의 과학을 펼치다] 수화에 관한 매력적 탐구… 하나의 고유 언어이자 문화

입력 2019-01-03 17:40
업데이트 2019-01-04 01: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목소리를 보았네/올리버 색스 지음/김승욱 옮김/알마/238쪽/1만 3000원

언어를 배우기 전에 청력을 잃어버린 한 아이를 생각해 보자. 만약 그 아이에게 듣지 못하는 말소리를 강요하고, 말을 대체할 다른 언어를 주지 않는다면 무슨 일이 생길까? ‘목소리를 보았네’는 신경과 전문의로 활동하며 인간의 뇌와 정신활동에 관한 수많은 책들을 집필해 ‘의학계의 시인’으로 불렸던 올리버 색스의 또 하나의 저서이다. 이 책에서 색스는 청각장애인들의 고유한 언어인 수화에 관한 매력적인 탐구의 기록을 풀어 나간다.
이미지 확대
색스는 언어를 습득하지 못한 채로 자란 청각장애인의 사례를 접하면서 ‘언어와 생각의 관계’를 고민하기 시작한다. 귀가 들리는 아이들은 성장 과정에서 말소리를 들으며 언어를 터득하고 언어를 통해 사고의 폭을 넓혀 가지만, 청력을 잃어버린 아이들에게는 그 과정이 같은 방식으로 일어나기 어렵다.

청각장애인 공동체에서는 자연스럽게 수화가 발생한다. 그러나 과거 청각장애인에 관한 이해가 부족하던 시절에는 농인 학교에서 수화를 금지하고 강제로 말을 가르치려는 시도가 이어졌다. 대부분은 실패로 끝났다. 농인 아이들은 자신의 생각을 제대로 표현할 언어를 찾지 못했다. 한때 사회는 그들을 지적으로 뒤처지거나 교육 성취도가 매우 떨어지는 집단으로 여겼다.

그러나 색스는 당시에도 수화를 교육에 적극적으로 도입한 농인 학교에서 아이들의 성취도가 놀라울 정도로 높았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문제는 수화가 아니라 수화를 억압하는 사회였다. 아이들에게 생각과 사고를 발전시킬 수 있는 최초의 언어가 주어진다면 그 언어가 말인지 수화인지는 전혀 중요하지 않았던 것이다.

색스는 1950년대부터 시작된 수화에 관한 언어학적, 신경학적 연구에 대해서도 소개한다. 과학은 수화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의 세계가 매우 시각적이며 수화의 공간의 복잡성이 ‘평범한’ 눈이 감당하기 힘들 만큼 압도적이라는 것을 보여 준다. 말이 1차원이고 글이 2차원이라면 수화는 4차원을 모두 활용한다고 표현할 만큼 동시적이고 다층적인 언어이다.

지금도 청각장애인 아이들에게 수화와 말 중 무엇을 우선으로 가르칠 것인가에 관한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 ‘목소리를 보았네’에서 색스는 답을 단정 짓는 대신 수화에 관한 탐구를 진행하면서 변하게 된 자신의 생각을 밝힌다. 처음에 색스는 청각장애를 치료가 필요한 결핍으로 바라보는 ‘의학적 견해’를 따랐지만 점차 수화를 하나의 고유 언어이자 문화로 보는 ‘문화적 견해’로 옮겨 가게 됐다는 것이다. 그 관점에서 바라볼 때, 농인들은 고유하고 독창적인 소수 언어를 사용하는 문화 공동체가 된다.

2019-01-04 36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