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지식을 팝니다? 심리를 파고든다

지식을 팝니다? 심리를 파고든다

안석 기자
안석 기자
입력 2019-02-21 17:32
업데이트 2019-02-22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페이스북에서 엄청난 조회수를 기록한 ‘수박 폭발’ 영상 캡처 사진. 페이스북 라이브에서 가장 먼저 대박을 친 콘텐츠로 알려져 있다.  글항아리 제공
페이스북에서 엄청난 조회수를 기록한 ‘수박 폭발’ 영상 캡처 사진. 페이스북 라이브에서 가장 먼저 대박을 친 콘텐츠로 알려져 있다.
글항아리 제공
당신의 지적 초조함을 이해합니다/뤄전위 지음/최지희 옮김/글항아리/400쪽/1만 7000원

하루 이틀이 멀다 하고 반복되는 미세먼지 뉴스를 들으며 누구나 자연스럽게 중국을 탓하게 된다. 대기질 악화의 주범으로 중국발(發) 미세먼지가 지목되기 때문이다. “중국에 할 말은 하겠다”는 정치권의 공언이 있었지만, 과연 제대로 중국을 설득할 수 있을까. 중국 최대의 지식 커뮤니티 ‘뤄지쓰웨이’와 지식 애플리케이션 ‘더다오’의 창업자 뤄전위(羅振宇)의 책 ‘당신의 지적 초조함을 이해합니다’를 읽어 보면 중국이 설득될 가능성은 ‘0’에 가깝다. 깨끗한 공기를 마시기 위해 밥공기를 포기할 사람이 누가 있겠는가. 저자는 베이징의 대기질을 30여년 전으로 돌리기 위해 경제도 30여년 전으로 돌아갈 수는 없다는 당연한 논리를 설파한다.
이미지 확대
중국 최대의 지식 커뮤니티 ‘뤄지쓰웨이’와 지식 애플리케이션 ‘더다오’의 창업자 뤄전위(羅振宇).
중국 최대의 지식 커뮤니티 ‘뤄지쓰웨이’와 지식 애플리케이션 ‘더다오’의 창업자 뤄전위(羅振宇).
저자는 원래 중국 CCTV 시사교양 프로그램의 PD였다. PD 출신답게 그가 가진 최대 장점은 스토리텔링 능력. 2008년 프리랜서로 전향한 그는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플랫폼에 뛰어들어 1인 미디어업계의 스타로 떠올랐다. 그의 별명은 ‘뤄팡’, 즉 우리말로 ‘돼지’, ‘뚱보’다. 그만큼 대중에게 친숙한 이미지와 화려한 언변을 가진 저자는 60분 분량의 유료 동영상 강연 서비스 등으로 중국인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지식을 파는 저자의 모습은 중국인들에게 깊숙이 내제된 상인정신과 중국 현대인의 지식에 대한 욕구가 절묘하게 맞아떨어진 결과로 보인다. 그의 연말 강연 토크쇼 ‘시대의 친구’는 동시간대 TV 시청률 1위에 올랐고, 토크쇼의 20년치 티켓은 한 장 670여만원에 순식간에 판매되기도 했다.
이미지 확대
‘괴짜경제학’, ‘아웃라이어’, ‘나는 고백한다, 현대의학을’ 등 익히 알려진 베스트셀러에 대한 내용을 요약해 소개하는 저자의 모습은 사실 새로울 것이 없다. 2000년대 뉴욕의 범죄율이 크게 감소한 이유가 다름 아닌 낙태가 합법화되면서 빈곤층이 원치 않는 출산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분석, 전염을 막을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인 병원 내 손 씻기가 어떻게 처음 시작됐는지, 이세돌을 이긴 구글 알파고와 알고리즘의 작동 원리 등 누구나 한 번쯤 들어봤거나 검색만으로도 충분히 알 수 있는 내용들이 저자의 스토리텔링을 통해 중국인들에게 전달됐다.

그럼에도 저자가 강조하는 ‘이과적 사고’는 곱씹어볼 만하다. 9·11테러 이후 미국에서는 교통사고율이 크게 증가했다. 비행기가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대신 자동차를 운전하는 사람이 늘어나면서 생긴 결과였다. 저자는 “데이터를 무시한다는 게 문과적 사고의 한계”(115쪽), “문과적 사고는 우리의 감정적 수요에는 부합하지만 우리가 실제 세상을 이해하는 눈은 가리고 있다”(123쪽)며 ‘기회비용’을 생각하지 않는 문과적 사고의 허점을 신랄하게 비판한다.

다시 저자에 대한 이야기로 돌아와 보자. 그는 왜 안정적인 국영방송사에서 나와 동영상 시장으로 뛰어들었을까. 대중의 심리에 주목하는 저자의 관점을 보면 살짝 답이 보인다. 예컨대 페이스북에서 가장 먼저 대박이 난 콘텐츠는 다름 아닌 ‘수박 폭발’ 영상이었다. 두 명의 남자가 수박을 탁자 위에 놓고 수박이 터질 때까지 고무밴드를 계속 끼워넣는 장면이 라이브로 방송됐다. 45분간 고무밴드만 끼워넣는 영상에 80만명이 동시 접속해 시청했고, 최종 조회수는 320만명에 이르렀다. 저자는 ‘수준’보다는 ‘심리’가 중요하다고 말한다. 정상적인 방송보다 갑자기 방송 화면이 멈출 때 시청률이 반짝 급등하는 사례를 떠올리면 이해가 쉽다.(21쪽)

10년 전 CCTV에서 나올 당시 저자는 유튜브 같은 동영상 플랫폼이 대세가 될 것임을 예측하고 있었을까. 이제 TV만 보기에는 너무 아까운 볼거리, 콘텐츠가 수없이 많은 시대다. 저자의 주장대로 문과적 사고에 갇혀 있었다면 절대 그러한 예측은 불가능했을지 모른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2019-02-22 36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