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文 “유신독재 무너뜨린 위대한 부마항쟁… 피해자들에 깊은 사과”

文 “유신독재 무너뜨린 위대한 부마항쟁… 피해자들에 깊은 사과”

임일영 기자
임일영, 김정한, 강원식 기자
입력 2019-10-16 23:18
업데이트 2019-10-17 02: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첫 국가기념식에 현직 대통령 첫 참석

“국가폭력 가해자 책임 철저히 규명…문책 아닌 역사 정의 바로 세우는 것”
“부마는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성지” PK 민심 다독이며 개혁 노정 역할 호소
참석자 “정부 주관 더욱 의미” 눈시울
사망자 공식 인정 고 유치준씨 아들 “아버님 영혼에 국가 사과 전하겠다”
이미지 확대
文, 현직 대통령 첫 부마항쟁 기념식 참석
文, 현직 대통령 첫 부마항쟁 기념식 참석 문재인 대통령이 16일 경남 창원시 경남대에서 열린 제40주년 부마민주항쟁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마치고 부마항쟁 참가자인 옥정애 부마진상규명위원을 위로하고 있다. 문 대통령 왼쪽은 송기인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 이사장. 문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부마민주항쟁은 우리 역사상 가장 길고, 엄혹하고, 끝이 보이지 않았던 유신독재를 무너뜨림으로써 민주주의의 새벽을 연 위대한 항쟁”이라고 말했다.
창원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문재인 대통령은 16일 “유신독재의 가혹한 폭력으로 인권을 유린당한 피해자들 모두에게 대통령으로서 깊은 위로와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국가 폭력 가해자의 책임 소재도 철저히 규명하겠다”며 “이제 와 문책하자는 게 아니라 역사의 정의를 바로 세우고자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경남 창원시 경남대에서 열린 제40주년 부마민주항쟁 기념식에서 “우리 역사상 가장 길고 엄혹하고 끝이 보이지 않았던 유신독재를 무너뜨림으로써 민주주의의 새벽을 연 위대한 항쟁이었다”고 규정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이날 행사는 부마민주항쟁이 지난달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뒤 열린 첫 기념식으로 현직 대통령의 참석도 처음이다. 문 대통령은 부산에서 인권변호사로 활동하던 1989년 부마항쟁 기념사업회가 창립했을 때부터 2003년까지 이사로 활동했고, 2014년 기념식에서 연설하는 등 각별한 인연이 있다.

문 대통령은 “부마는 대한민국 민주주의 성지로, 3·15 의거로 4·19 혁명 도화선이 된 곳도, 6월 항쟁 열기가 주춤해졌을 때 항쟁 불꽃을 되살려 승리로 이끈 곳도 부마”라고 했다. 총선을 6개월도 남기지 않은 가운데 부산·경남(PK)의 지지층 이탈이 심각하다는 우려가 여권 내 확산하는 상황에서 지역 민심을 다독이며 개혁을 향한 노정에 PK가 힘을 모아 달라고 호소한 것으로도 풀이된다.
이미지 확대
송기인(왼쪽)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 이사장이 16일 경남 창원 경남대에서 열린 제40주년 부마민주항쟁 기념식에서 경과보고를 한 뒤, 경남대 학생들이 ‘그날의 부마’라는 제목의 공연을 하고 있다. 창원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송기인(왼쪽)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 이사장이 16일 경남 창원 경남대에서 열린 제40주년 부마민주항쟁 기념식에서 경과보고를 한 뒤, 경남대 학생들이 ‘그날의 부마’라는 제목의 공연을 하고 있다.
창원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이날 기념식 참석자들은 감회에 눈시울을 붉히는 모습도 보였다. 행사장에 입장하지 못한 시민·학생들은 행사장 외곽에서 기념식을 지켜보기도 했다.

부마민주항쟁 유일한 사망자로 공식 인정된 유치준씨의 아들 성국(59)씨는 “40년간 고통스러웠을 아버님 영혼에 국가의 공식 사과를 전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시민 이춘기(55)씨는 “유신독재에 항거한 대규모 시민민주항쟁으로 유신독재를 무너뜨리고 민주주의 새벽을 열게 한 위대한 부마민주항쟁 40주년 기념식이 첫 정부 행사로 열려 더욱 의미가 있다”고 환영했다.

부마민주항쟁 당시 경남대 학생으로 시위에 참가했다가 경찰에 붙잡혀 고문을 당한 최갑순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 이사는 “앞으로 부마민주항쟁에 대한 제대로 된 진상규명과 관련 피해자 상처 회복 및 치유, 보상 등의 대책이 빨리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종기 부산 민주공원 관장도 “올해 연말로 부마항쟁 특례법이 끝나는데 아직 조사와 발굴을 비롯해 피해자 보상 관련 등 여러 과제가 남아 있어 시효 연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관장은 “현재 민주화 운동 보상법에는 구금 일수가 30일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는데 당시 부마항쟁 피해자들은 대부분 10·26 사태로 15일 정도에 풀려나 보상법에서 제외된다”며 “구금일수를 15일 이하로 줄이는 등 법 적용 완화 조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창원시민 이종영(57)씨는 “늦었지만 국가기념일 지정을 계기로 부마민주항쟁 역사와 참뜻을 알리는 활동이 활발히 이어져 부마항쟁 정신과 가치가 계승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서울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부산 김정한 기자 jhkim@seoul.co.kr
창원 강원식 기자 kws@seoul.co.kr
2019-10-17 5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