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미래유산 톡톡] 학림다방·동양서림엔 그 시절 그 청년들 흔적 켜켜이

[미래유산 톡톡] 학림다방·동양서림엔 그 시절 그 청년들 흔적 켜켜이

입력 2019-10-16 17:40
업데이트 2019-10-17 02: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서울미래유산 학림다방.
서울미래유산 학림다방.
대학로는 종로5가 사거리에서 혜화동로터리에 이르는 젊음과 문화예술의 거리다. 대학로라는 명칭이 공식적으로 사용된 것은 1966년 서울시에서 제정한 가로명에서 시작했다. 1920년대 조선민립대학 설립운동을 저지하기 위해 경성제대를 성균관이 있는 숭교방 동쪽(동숭동)에 세웠다. 교수와 학생들이 대학 근처에 모여들어 살면서 자연스럽게 대학촌이 형성됐다.
이미지 확대
서울미래유산 동양서림.
서울미래유산 동양서림.
이곳은 반촌의 일부였다. 반촌은 조선의 유일한 대학인 성균관을 뒷바라지하는 노비들이 모여 사는 마을이다. 그들은 공자와 안향을 비롯한 성현들을 모시고 유학 교육 일선에서 일하고 있다는 자부심이 대단했다. 그리고 조정에서도 반촌은 특수지역으로 인정해 허가 없이 다른 사람들은 함부로 들어가지 못했고, 개경에서부터 이어져 온 그들만의 호탕한 문화도 있었다.

하지만 반촌 사람들 중에는 병자호란 중 양반들이 버리고 가버린 성균관 성현들의 위패를 목숨을 아끼지 않고 지켜낸 노비들도 있었다. 성균관 유생과 몰래 천주교를 학습하다 죽음을 맞이한 김석태도 있었다. 그와 함께 불온한 학문을 공부했던 성균관 유생은 바로 정약용과 이승훈이다. 이들의 이야기는 한때 대학로에서 치열했던 민주화 운동과 학림다방을 떠올리게 한다. 1956년에 생긴 이후 수많은 문인과 운동가들이 다녀갔다. 사람들은 추억을 찾아서, 또는 드라마에 등장했던 장소를 찾아서 끊임없이 찾고 있다.
이미지 확대
임정화 성균관지킴이·‘표석을 따라 걷다’ 공저자
임정화 성균관지킴이·‘표석을 따라 걷다’ 공저자
대학로에는 학림다방 외에도 60년 이상 영업을 계속 해오고 있는 곳들이 또 있다. 문화이용원의 지덕용 이발사는 1956년 배운 이발 기술 그대로 한 장소에서 지금까지 영업을 하고 있다. 그리고 근처에는 ‘Since 1953’이라는 글자를 자랑스럽게 내건 동양서림이 있다. 이 오래된 이용원과 서점에는 그동안 얼마나 많은 대학로의 학생들과 주민들이 다녀갔으며 얼마나 많은 추억과 이야기들이 쌓였을까? 그리고 그전에 살았던 수많은 성균관 유생들과 반촌 노비들의 이야기들도 희미하게 남아 있을 것이다.

임정화 성균관지킴이·‘표석을 따라 걷다’ 공저자



2019-10-17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