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한국전쟁 70년… 그 상흔 보듬는 해인사

한국전쟁 70년… 그 상흔 보듬는 해인사

김성호 기자
입력 2020-02-18 17:40
업데이트 2020-02-19 02: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6월 6~7일 10만명 참가 ‘수륙대재’… 희생 군인·민간인 137만여명 넋 달래

이미지 확대
2014년 강원 동해시 두타산 삼화사에서 열린 수륙대재 모습. 한국전쟁 발발 70주년을 맞아 합천 해인사에서 전쟁 희생자들의 혼을 위로하는 대규모 수륙대재가 오는 6월 열린다. 서울신문 DB
2014년 강원 동해시 두타산 삼화사에서 열린 수륙대재 모습. 한국전쟁 발발 70주년을 맞아 합천 해인사에서 전쟁 희생자들의 혼을 위로하는 대규모 수륙대재가 오는 6월 열린다.
서울신문 DB
한국전쟁 발발 70주년을 맞아 전쟁 희생자들의 넋을 달래는 대규모 수륙대재가 해인사에서 거행된다. 조계종 합천 해인사는 18일 “6월 6~7일 해인사 일원에서 10만여명이 참여하는 수륙대재를 연다”고 밝혔다. 해인사는 “한국전쟁 중 수많은 군인과 민간인이 희생됐지만 아직 국가적 차원에서 합동위령재를 못 지냈다”면서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사회 갈등을 치유하기 위해 수륙대재를 열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통계에 따르면 희생자는 국군 13만 7899명, 경찰 3131명, 남측 민간인 24만 4663명, 북측 민간인 28만 2000명, 유엔군 3만 7902명, 북한군 52만명, 중공군 14만 8600명 등 총 137만 4195명이다.

수륙재란 희생된 영가를 위령하고 천도해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불교의례. 조선시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직후 ‘국행수륙대재’를 열어 억울한 죽음을 당한 영가를 위로하는 등 전쟁, 자연재해가 생길 때 국가 차원에서 진행해 왔다. 이번 수륙재의 특징은 국군·유엔군뿐 아니라 북한군·중공군·남북 민간인 등 다섯 유형의 희생자를 하나의 영단에 합동 안치해 이념 갈등에서 벗어나는 의미를 담은 점이다.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진관사·삼화사 국행수륙재와 달리 전통에 현대문화를 가미한 방식으로 대중성을 높였다.

6월 7일 오전 10시부터 봉행되는 수륙대재는 법고, 범종 타종에 이어 잠든 영가를 깨우는 트럼펫 연주로 시작된다. 각계 대표의 헌향과 헌화, 메시지에 이어 위령천도의식을 진행한다. 종전과 달리 한문 의례를 모두 한글로 바꿔 대중이 함께 공유토록 했다. 6일에는 추모음악회를 중심으로 각종 행사가 펼쳐진다. 오전 10시부터 ‘전쟁 참상과 평화 희구에 대한 사진전’과 마임공연이 열리며 통일염원 소원지 작성, 한국전쟁 상징 도안 만들기, 전통인쇄 등 체험행사도 열린다. 추모 음악회는 오후 7시 해인사 특설무대에서 있다.

본행사인 수륙재는 7일 오전 10시 봉행된다. 의장대, 취타대 등이 위령음악을 연주하는 가운데 사회 각계의 평화 메시지가 발표될 예정이다. 정관계, 민간 등 각계 지도자와 북한을 포함한 전쟁 당사국 대표들이 국민총화와 세계평화 의지를 천명한다. 해인사 주지 현응 스님은 “수륙재를 위해 다섯 가지 희생자 영령을 ‘오로단’(五路壇)에 안치하고, 추모등을 해인사 일원과 진입로에 설치한다”면서 “3월부터 해인사 방문 참배객들에게 소원지를 받아 행사장 소원나무에 걸었다가 행사 당일 화로대에 사르며 평화와 통일을 기원하려 한다”고 밝혔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20-02-19 27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