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대북 파트 ‘전진배치’ 안보라인 개편…‘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승부수

대북 파트 ‘전진배치’ 안보라인 개편…‘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승부수

이주원 기자
입력 2020-07-03 16:53
업데이트 2020-07-03 17: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북 라인 ‘전진배치’…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재가동
박지원 전 의원 깜짝 발탁…정치력으로 경색 국면 극복
이인영 통일장관 내정자 ‘권한의 한계’ 해결 숙제


문재인 대통령이 3일 단행한 외교·안보라인 개편의 면면을 살펴보면 대북 분야에 보다 집중하면서 멈춰 있는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의 동력을 재가동하겠다는 의지가 엿보인다는 평가다.

우선 박지원 전 민생당 의원이 신임 국가정보원장에 ‘깜짝 발탁’된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2000년 6·15 남북 정상회담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낸 대북 경험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김대중 정부 당시 대북 정책의 핵심에 있었던 만큼 북한에 보다 강한 대화 메시지를 주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대북 정책에서 강한 정치력으로 경색된 남북 관계를 돌파하겠다는 의지가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박 후보자는 2000년 남북 정상회담 합의를 이끌어내는 데 기여했으며 현 정부에서도 남북 문제에 대한 자문 역할을 하는 등 북한에 대한 전문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며 “오랜 의정활동에서 축적된 다양한 경험과 뛰어난 정치력, 소통력을 바탕으로 국가정보원이 국가안전보장이라는 본연의 업무를 충실히 수행토록 하는 한편, 국정원 개혁을 지속해서 추진해 국민에게 신뢰받는 정보기관으로 확고히 자리매김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박지원 전 민생당 의원. 연합뉴스
박지원 전 민생당 의원. 연합뉴스
통일부 장관에 내정된 더불어민주당 이인영 의원 역시 4선 중진 의원으로 박 전 의원과 호흡을 맞추게 된다. 이 의원은 2015년 새정치민주연합 남북관계 발전 및 통일위 위원장과 2018년 국회 남북경제협력특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고 또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와 정보위원회에서 활동하며 전문성을 보여 왔다는 평가다.

강 대변인은 “이 후보자는 현장과 의정활동에서 쌓은 전문성과 경험 바탕으로 교착상태 남북관계를 창의적, 주도적으로 풀어나가 남북 간 신뢰 회복을 획기적으로 진전시키는 등 남북 화해 협력과 한반도 비핵화라는 국정과제를 차질없이 추진할 적임자”라고 말했다. 다만 김연철 전 장관이 ‘권한의 한계’를 언급하고 떠난 만큼 향후 이와 관련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숙제가 남아 있다.

신임 국가안보실장에 내정된 서훈 국정원장은 정통 국정원 출신으로 잔뼈가 굵은 외교안보 전문가다. 과거 국민의 정부와 참여정부 시절 남북 정상회담을 기획한 데 이어 문재인 정부에서도 대북 정책을 조율해 왔다. 외교안보 특별보좌관에 임명된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은 재선 국회의원 출신으로, 현 정부 초대 대통령 비서실장을 지내며 외교안보를 비롯한 국정 전반을 조율해 왔다. 강 대변인은 “국정의 폭넓은 경험과 깊이 있는 식견 바탕으로 외교안보 현안에 대한 대통령 자문 역할 수행해 국익 수호와 한반도 평화 정책에 큰 역할을 하리라 기대한다”고 전했다.

또 외교안보 특보에 임명된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은 17대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하며 30여년간 외교안보 분야에서 활동했다. 현 정부 초대 안보실장으로 남북 및 북미 정상회담 개최 등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를 지휘했다. 강 대변인은 “오랜 기간 국내외 외교 현장에서 쌓아온 경험과 전문성, 그리고 현 정부의 국정철학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외교안보 특별보좌관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신임 국가안보실장과 외교안보특보는 이르면 오는 6일 임명할 예정이다. 통일부장관과 국정원장은 국회 인사청문회를 거쳐 임명된다.

이주원 기자 starjuwon@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