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이름에 깃든 사연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이름에 깃든 사연

입력 2020-07-07 17:28
업데이트 2020-07-08 02: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2020년 7월 대전
2020년 7월 대전
유럽인이 성(姓)을 널리 쓰기 시작한 것은 16세기 이후의 일이다. 하지만 유대인은 마음대로 성을 쓸 수 없었다. 독일에서는 영주가 유대인에게 돈을 받고 성을 팔았다. 1787년 오스트리아에서는 유대인에게 히브리어 이름을 금하고 독일어 이름을 짓도록 강제하는 법률이 제정됐다. 하지만 꽃이나 보석에서 따온 ‘좋은 성’에는 그에 상응하는 뇌물이 필요했다.

따라서 유대인 성인 로젠탈(Rosenthalㆍ장미 계곡), 릴리엔탈(Lilienthalㆍ백합 계곡) 등은 우아해 보이지만 유대인 차별이 빚어낸 비극적인 성이다. 그나마 부유한 유대인은 그럴싸한 성이라도 얻었지만, 대부분의 유대인은 키가 크면 랑(Lang), 키가 작으면 클라인(Klein), 머리가 검으면 슈바르츠(Schwarz), 그리고 태어난 요일 등에 따라 존타크(Sonntagㆍ일요일), 좀머(Sommerㆍ여름) 같은 성을 얻었다. 파트리크 쥐스킨트의 ‘좀머씨 이야기’가 떠오른다.

여성 이름에 ‘자’(子)나 ‘숙’(淑)을 붙이는 게 유행한 적이 있었다. 서양 사람 이름에도 유행이 있다. 마리아(Maria)는 기독교권에서 가장 선호하던 여성 이름이다. 영어로 메리(Mary)다. 그러나 종교개혁 이후 변화가 나타났다. 프로테스탄트는 가톨릭의 마리아 경배에 반감이 있었다. 특히 ‘피의 메리’(Bloody Mary)로 불린 잉글랜드 여왕 메리(헨리 8세의 딸)가 가톨릭 옹호자였기 때문에 한동안 이 이름을 꺼렸다.

존(John)은 11세기 이후 영어권에서 널리 사용된 이름으로, 16세기 중반 런던에서는 네 명 중 한 명이 존이었을 정도였다. ‘실낙원’을 쓴 17세기 영국 시인 존 밀턴은 아버지도 존이었고 시인의 아들도 존이었다.

데이비드(David)란 이름은 구약성서의 다윗에서 비롯됐다. 다윗은 분명 빛나는 이름이지만 인간적인 결점도 있었다. 신하의 아내가 목욕하는 장면을 보고 마음을 빼앗긴 나머지 왕궁으로 불러들여 임신을 시킨 것이다. 청교도들은 이런 죄를 특히 싫어했다.

그러므로 미국의 초기 이민자들은 데이비드라는 이름을 아이들에게 거의 붙이지 않았다. 그러다가 1970~80년대 미국과 영국에서 데이비드란 이름이 갑자기 인기를 얻는다. 그 시절 큰 인기를 누렸던 록 가수 데이비드 보위(David Bowie) 덕분이다. 꽃 숲을 자전거로 달리는 소녀의 이름엔 어떤 사연이 있을까.
2020-07-08 30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