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단독] 부장검사 배우자까지 선물 로비…김봉현 로비 어디까지

[단독] 부장검사 배우자까지 선물 로비…김봉현 로비 어디까지

오세진, 이혜리 기자
입력 2020-10-16 18:04
업데이트 2020-10-16 18: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진은 라임자산운용이 투자한 코스닥 상장사 스타모빌리티의 실사주로 알려진 김봉현 전 회장이 경기남부경찰청에서 조사를 받기 위해 지난 4월 24일 오전 경기 수원남부경찰서 유치장에서 나오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사진은 라임자산운용이 투자한 코스닥 상장사 스타모빌리티의 실사주로 알려진 김봉현 전 회장이 경기남부경찰청에서 조사를 받기 위해 지난 4월 24일 오전 경기 수원남부경찰서 유치장에서 나오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라임 사태’(라임자산운용 펀드 환매 중단 사태)를 막기 위해 유력 인사들에게 로비를 한 것으로 알려진 김봉현(46·구속 기소) 전 스타모빌리티 회장이 16일 자필로 쓴 입장문을 통해 자신이 누구에게 로비를 했는지를 직접 밝혔다. 그는 검사들에게 술접대를 했고, 이 자리에 검사 출신 변호사가 동석했다고 말했다. 또 검찰 수사관들에게 현금을 지급하고 검사의 배우자들에게도 선물을 줬다고도 말했다.

그동안 정치인들에 국한된 것으로 알려졌던 김 전 회장의 로비 대상에 라임 사태를 수사한 검사와 수사관도 포함됐다는 진술이 나오면서 일각에서는 라임 사태에 대한 검찰 수사의 공정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이에 검찰은 “신속하게 사실관계를 파악한 후 조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전 회장이 이날 서울신문에 보낸 자필 입장문에 따르면 김 전 회장은 ‘라임 펀드 돌려막기 의혹’이 제기됐던 지난해 7월 검사 출신 A변호사와 검사 3명에게 1000만원 상당의 술접대를 했고, 이 중 검사 1명이 얼마 후에 검찰 라임 수사팀에 합류했다고 말했다.

평소 A변호사와 자주 만난 김 전 회장은 “회식 참석 당시 (A변호사가 동석한 검사들을 향해) 추후 라임 수사팀을 만들 경우 합류할 검사들이라고 했다”면서 “실제 한 명은 수사팀 책임자로 참여했다”고 했다.

비슷한 시기인 지난해 9월 김 전 회장은 ‘라임 사건 관련 전직 1(명), 현직 3(명)’에게 추석 떡값 8000만원을 지급하고, ‘라임 사태 무마용’으로 지난해 10월 2억원을 지급했다고 입장문에 적었다.

김 전 회장은 A변호사를 통해 A변호사의 검사 시절 알고 지낸 전직 검찰 수사관 B씨를 만났다. 지난해 8월 B씨의 권유로 이종필(42·구속 기소) 전 라임 부사장은 1억 5000만원을 지급해 C변호사를 선임했는데, 이 변호사를 선임한 후에 실제 라임 사태 수사가 더 진행이 안 됐다는 것이 김 전 회장의 주장이다.

김 전 회장은 라임 사태가 아닌 자신의 다른 사건을 담당했던 검사의 배우자들에게도 로비를 했다고 말했다. 그는 입장문에 ‘에르메스 국내 최고 ‘VVVIP(신라호텔 영빈관) 첫날 처음 초대권 지급 후 아내가 사건 담당 부장 부인들과 동행 후 선물 로비’를 했고, A변호사가 ‘라임 사건 선임 후 에르메스 3000만원 상당 가방과 1000만원 상당 와인 수령 등’을 했다고 적었다.

그동안 김 전 회장으로부터 로비를 받은 것으로 지목된 인물들은 여권 인사들이었다. 그런데 김 전 회장은 입장문을 통해 검찰 관계자들뿐만 아니라 야권 정치인에게도 로비를 했다고 밝혔다.

김 전 회장은 “라임 펀드 판매 재개 관련 청탁으로 우리은행 행장 로비와 관련하여 검사장 출신 야당 유력 정치인에게 수억원을 지급한 후 실제 이종필 전 부사장과 우리은행 행장 등에게 로비가 이뤄졌다”고 주장했다. 김 전 회장은 이 야권 정치인을 ‘모 전 대표 최측근 정치인’이라고 표현했다.

그러면서 김 전 회장은 이런 내용들을 검찰과의 면담 과정에서 얘기했음에도 수사가 진행되지 않았고 접대를 받은 검사와 A변호사, 수사관 등에 대해서도 전혀 수사가 진행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서울남부지검은 입장문을 통해 “검사 출신 야당 정치인의 우리은행 로비 의혹은 현재 수사 중에 있다”면서 “현직 검사 및 수사관 등에 대한 비리 의혹은 지금까지 확인된 바 없는 사실로 신속하게 사실관계를 파악한 후 필요한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이혜리 기자 hyerily@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