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최만진의 도시탐구] 날개 없는 가덕도 신공항

[최만진의 도시탐구] 날개 없는 가덕도 신공항

입력 2020-11-24 20:46
업데이트 2020-11-25 01: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최만진 경상대 건축학과 교수
최만진 경상대 건축학과 교수
일본 교토는 경주와 비슷한 역사를 가진 천년고도다. 헤이안 시대인 9세기경부터 수도로서 일본 고유의 글, 문화, 전통 그리고 풍속을 만들어 발전시킨 중심에 우뚝 서 있었다. 이에 오늘날에도 유산이 즐비하게 남아 있어 도시 전체가 전통 박물관을 방불케 한다. 하지만 19세기 중반에 메이지 일왕이 수도를 동경으로 옮기면서 그 영광은 급속히 쇠퇴하기 시작했다. 이에 대한 자구책으로 산업화를 추진해 근대화의 길로 들어서기는 했으나 전통 도시의 파괴라는 뼈아픈 상처도 동시에 입게 됐다.

이런 맥락에서 오늘날까지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것은 ‘교토역’인데, 교토의 원래 이름인 ‘헤이안쿄’ 1200주년을 기념해 지은 것이다. 마치 거대한 산등성이를 엎어 놓은 것처럼 길고도 높은 이 건물은 형태부터 참으로 특이하다. 외장재 대부분이 번쩍이는 반사유리로, 또 일부분은 노출 콘크리트로 돼 있어 마치 알프스 혹은 무릉도원에서나 볼 듯한 수정체 및 바위 모양을 연상하게 한다. 더 놀라운 것은 내부 공간인데, 거대한 중앙 홀에는 지붕의 철골 구조를 통해 찬란한 햇빛이 쏟아져 내린다. 이는 마치 산악의 계곡처럼 보이며 다채로운 공간과 요소들이 빼곡하게 들어차 있다. 건축가는 여기에서 도시가 가진 내면적 갈등인 보존과 개발, 전통과 현대, 자연과 기술 등이 함께 어우러져야 함을 주장하고 있다. 또한 대공간에 가득한 햇살은 도시의 미래를 상징한다.

흥미로운 것은 내부를 꽉 메운 사람들 대부분이 기차 승객이 아닌 방문객이나 관광객이라는 사실이다. 여기에는 백화점, 문화공연장 및 놀이광장, 전시관, 회의장, 호텔 심지어 교회까지 자리해 작은 복합 도시가 형성돼 있기 때문이다. 이는 21세기의 새로운 개념으로, 도시 내에서 행해졌던 다양한 활동을 역사 내에서 해결해 버리자는 시도다. 자칫 전통이 줄 수 있는 고루함 대신 활기를 만들어 내는 오아시스 같은 도시성을 만든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찬반에 상관없이 국제적 관광 도시인 교토의 볼거리 제1번으로 단숨에 자리매김했다.

영종도 공항은 같은 의미를 가진 세계 최초의 사례다. 승객이 구태여 서울로 가지 않고 거기에서 모든 일을 볼 수 있도록 자족성을 가진 하나의 공항 도시를 구축한 것이다. 비록 100%는 아니지만 최소한 절반의 성공은 거뒀다는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다.

최근 정치권의 새로운 이슈로 떠오른 ‘가덕도 신공항 건설’ 논란은 이러한 관점에서 한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공항은 세계를 향한 중요한 관문이므로 지역의 역사와 특색이 복합적으로 반영되고 묻어나야만 한다. 그리고 장차 나아가야 할 미래성도 제시해야 할 것이다. 단지 비행기가 뜨고 내리는 곳으로만 만든다면 소음이 가득한 황폐한 지역으로 전락할 위험도 생기는 것이다. 그래서 항간에서 우려하는 것처럼 표를 위한 선심성이 아닌 과학적이며 사회적인 합리성을 가진 공항을 건설해야 할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마치 날개 없는 비행기가 돼 추락할 것이 틀림없다.

2020-11-25 2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