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리뷰] “내가 할랍니다, 그거!‘ 최초 여성 영화감독 박남옥 그린 ’명색이 아프레걸‘

[리뷰] “내가 할랍니다, 그거!‘ 최초 여성 영화감독 박남옥 그린 ’명색이 아프레걸‘

허백윤 기자
허백윤 기자
입력 2021-01-23 09:00
업데이트 2021-01-23 09: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립극장 전속단체 9년 만의 기획공연
20~24일 닷새 동안만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서

이미지 확대
국립극장 기획공연 ‘명색이 아프레걸’ 공연 장면. 국립극장 제공
국립극장 기획공연 ‘명색이 아프레걸’ 공연 장면.
국립극장 제공
출산한 지 겨우 사흘, ‘엄마’는 극장에 가서 영화를 봤다. 영화가 너무 좋아 다니던 학교에서 징계를 받을 뻔 하고 남자들 사이에서 ‘미스터 박’이라 불리며 영화판에서 조수로 일한 그였다. 아이를 낳았다고 좋아하던 것을 멈출 수 없었다. 급기야 그는 영화를 찍기로 결심한다. “내라고 못하란 법 없지예. 내가 할랍니다 그거!”

국립극장이 지난 20일부터 무대에 올리는 ‘명색이 아프레걸’은 우리나라 최초 여성 영화감독 박남옥의 삶을 다루고 있다. 국립극장 전속단체인 국립창극단, 국립국악관현악단, 국립무용단이 9년 만에 합동으로 준비한 기획공연으로 딱히 장르를 한 마디로 표현하기가 쉽지 않다. 창극단 단원들이 노래와 연기를 하고 중간중간 무용단 단원들이 그림을 그리듯 무대를 꾸민다. 피리, 거문고, 가야금, 해금, 아쟁, 대금, 타악 등 국악관현악과 피아노, 기타, 베이스, 드럼이 만들어낸 조화는 국악관현악이라고도, 아니라고도 할 수 없는 새로운 매력을 선사한다.
이미지 확대
국립극장 젼속단체들이 합동으로 참여한 기획공연 ‘명색이 아프레걸’ 공연 장면. 국립극장 제공
국립극장 젼속단체들이 합동으로 참여한 기획공연 ‘명색이 아프레걸’ 공연 장면.
국립극장 제공
이처럼 가득 찬 무대에서 풀어내는 박남옥의 삶도 한 마디로 정의하기가 어렵다. 영화를 매우 사랑했던 삶이었다는 것은 분명한데 수많은 시간과그의 고민들은 결코 간단하지 않았다. ‘명색이 아프레걸’은 박남옥의 그 복잡했던 과정들을 있는 그대로 보여준다. 자신의 꿈을 좇는 여성으로 단편적으로 정의하지 않고 주체적인 아프레걸(전쟁 이후 새로운 여성상)로도, 오로지 영화만을 위해 직진하다가도 현실에 부딪히기도 하는 영화감독으로도, 또 가족과 아이를 둔 여성이자 엄마로도 살았음을 알린다. 그에게 꿈과 열정이 있었던 만큼 고뇌와 좌절도 있었다는 것을 담백하게 이야기한다.

“안 된다는 말, 난 하나도 안 무섭다. 내한테는 된다는 거 보다 안 된다는 게 훨씬 많거든.”

수많은 ‘안 된다’는 말을 딛고 앞으로 달려온 박남옥은 1954년 여성으로는 처음 영화 제작에 뛰어든다. 집 마당에 세트를 설치하고 100일 넘긴 아기를 들쳐업고 “레디, 고”를 외친다. 때가 되면 배우, 스태프들의 밥까지 손수 차린다. 돈을 빌리러 수소문하러 다니고 촬영기를 빌리러 갔다가 아기를 업은 채 완행열차에 갇히기도 해 수시로 영화 촬영이 멈추기도 한다. 경북여학교 시절 전국체전에서 투포환 한국 기록을 세 차례나 경신했던 박남옥은 “아무리 무거운 거라도 멀리 던질 수 있지!”라며 자신감이 넘쳤지만 그의 등에 업힌 아기, 그리고 꿈은 차마 던져낼 수 없는 무게였다.
이미지 확대
국립극장 기획공연 ‘명색이 아프레걸’ 공연 장면. 국립극장 제공
국립극장 기획공연 ‘명색이 아프레걸’ 공연 장면.
국립극장 제공
다음해 서울 중앙극장에서 ‘미망인’이 드디어 개봉했지만 사흘 만에 막을 내리고 남편도 떠난다. ‘미망인’은 박남옥 감독의 유일한 작품이 됐다. 그렇게 벽을 뚫고, 있는 힘껏 달렸는데 몇 발자국 앞에서 또 다른 벽을 만난 듯한 삶이다. 마냥 안쓰럽고 처절하지 않다. 부딪힐 때마다 유쾌하고 당당하게 도전하고 또 어려울 땐 잠시 멈추는 시간들이 그대로 공감이 된다.

무대 위에는 박남옥의 삶과 그가 영화로 담은 ‘전쟁 미망인’의 삶이 함께 그려진다. 전쟁으로 남편을 잃은 여성이 품은 새로운 사랑과 그로 인한 아픔 역시 박남옥의 여정 만큼이나 다채롭다. 극 중 이민자(신), 이택균(택), 박영숙(정순), 신동훈(이성진), 나애심(진) 등 현실과 영화를 오가는 다양한 캐릭터들이 내내 감초 역할을 톡톡히 하며 보는 재미를 더한다. 영화를 찍은 박남옥의 영화 같은 시간 자체로 풍요롭게 느껴졌다.

당초 지난해 12월 개막할 예정이었던 공연은 코로나19 재확산으로 미뤄졌다 지난 20일부터 24일, 닷새 동안만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에서 관객들과 만난다. 짧지만 강렬했던 박남옥의 시간이 더욱 와닿는, 아까울 만큼 짧지만 강렬한 공연이다.

허백윤 기자 baikyoon@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