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하수도·농장 노동자 ‘질식재해’ 잔인한 봄

하수도·농장 노동자 ‘질식재해’ 잔인한 봄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1-04-18 22:30
업데이트 2021-04-19 02: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0년간 질식 사고 31% 봄철에 발생
사망자 발생률 53%…일반재해는 1%
따뜻해지며 미생물이 황화수소 생성
호흡 한 번으로도 의식 잃고 쓰러져

이미지 확대
‘2020년 6월 빗물받이 맨홀에 추락한 작업자를 구조하는 과정에서 2명이 황화수소에 중독돼 사망.’

‘2018년 4월 양돈농장에서 돈분 배출 작업을 하던 노동자가 중간집수조에 추락해 황화수소 질식으로 사망.’

최근 10년간 일어난 질식재해 사고 10건 중 3건이 봄철에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누군가에겐 나들이 가기 좋은 날이지만 하수도·맨홀 등에서 일하는 노동자에게는 위험한 시간이다. 18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최근 10년(2011~2020년)간 발생한 질식재해는 총 195건으로, 316명이 재해를 입었다.

이 중 절반이 넘는 168명(53.2%)이 사망했다. 일반적인 사고성 재해의 사망자 발생 비율이 1.1%인 것에 비하면 매우 높은 편이다. 계절별로는 봄철(61건·31.3%)에 질식재해가 가장 많았고 여름(49건·25.1%), 겨울(47건·24.1%), 가을(38건·19.5%) 순이었다. 고용부는 “봄철에 질식재해가 빈발하는 것은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미생물이 활발히 번식해 작업공간 내 산소 결핍 상황을 만들거나 고농도 황화수소가 발생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황화수소는 공기보다 약간 무거워 환기가 잘 안 되는 장소에서는 아래에 쌓이는 경향이 있다. 지독한 달걀 썩는 냄새가 나서 바로 알 수는 있으나 후각 피로로 냄새에 금방 적응돼 위험 수준에 이를 때까지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런 특성 때문에 봄과 여름철에 오폐수처리·정화조, 하수도·맨홀, 축사분뇨 처리시설 등에서 질식재해가 많이 발생한다. 고용부는 6월까지를 ‘질식재해 예방 집중 지도점검 기간’으로 정하고 위험 시설을 점검하기로 했다.

김규석 산재예방보상정책국장은 “밀폐공간에서는 한 번의 호흡만으로도 의식을 잃고 쓰러져 질식으로 사망할 수 있다”며 “작업 전에 산소 농도나 유해가스 농도를 측정하고 작업 중 반드시 환기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21-04-19 9면

많이 본 뉴스

22대 국회에 바라는 것은?
선거 뒤 국회가 가장 우선적으로 관심 가져야 할 사안은 무엇일까요.
경기 활성화
복지정책 강화
사회 갈등 완화
의료 공백 해결
정치 개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