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미국발 잇단 ‘금리 인상’ 경고 …‘영끌’ 주택 대출자 속탄다

미국발 잇단 ‘금리 인상’ 경고 …‘영끌’ 주택 대출자 속탄다

이기철 기자
이기철 기자
입력 2021-05-08 07:00
업데이트 2021-05-08 07: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자산 거품 끼어” vs “금리 인상할지도”
미국발 잇따른 기준금리 인상 발언에 ‘영끌’을 통해 집을 샀던 이들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국의 금리는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오를 때는 미국보다 한 걸음 앞서고, 내릴 때는 한 템포 늦기 때문이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6일(현지시간) 금융안전 반기 보고서를 발표하면서 “코로나19 확산에도 미국 금융 시스템이 대체로 안정적 상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주식 등 일부 자산 가격이 상승하면서 미래 위험은 커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로버트 카플란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이날 연준이 테이퍼링 즉 자산매입을 축소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다수 위원은 반대했다. 앞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도 지난달 28일 “일부 자산의 가격이 높다. 거품이 어느 정도 끼어있다”고 경고했고, 연준 의장을 지냈던 재닛 옐런 재무장관이 지난 4일 시사지 애틀랜틱과의 인터뷰에서 “경제가 과열되지 않게 하려면 금리가 다소 올라야 할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시장에 경고한 발언 vs 코로나 회복 자신감
이미지 확대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
이같은 자산 거품과 금리 인상 발언은 코로나19에 대한 백신 접종이 순항하면서 경기 회복에 대한 자신감의 표현이지만, 각국이 코로나19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풀었던 양적 완화를 이르면 올 하반기부터 옥죌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특히 미국 경제정책의 핵심인 이들이 발언은 실제로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하기까지 시장에 소화할 시간을 주면서 대처하도록 하는 시그널이자 충격 완화를 위한 계산된 발언으로 받아들여진다.

3억 대출에 1%p 금리 상승시 연 200만원 추가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4월 9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2020.4.9. 연합뉴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4월 9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2020.4.9. 연합뉴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2월 기준 국내의 가계대출 잔액은 처음으로 1000조원을 넘은 1003조 1000억원이고, 주택담보대출(주담대)는 73%인 733조 3000억원에 이른다. 전세자금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자의 절반 이상(50.3%)가 변동금리였다.

금감원이 2019년 분석한 금리 상승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대출원금 3억원·만기 30년으로 대출했을 때 월 상환액은 금리가 3.5%에서 4.5%로 1%포인트(p) 상승시 134만 7000원에서 151만 5000원으로 16만 8000원이 증가한다. 연간 부담이 200만원 이상으로 늘어난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금리가 오르면 주택담보 대출자 대다수는 금리 인상 부분에 대한 부담 능력이 거의 없어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면서도 “한국에서는 주택담보대출(LTV) 비율이 엄격히 적용됐기에 현 시점에서는 지나치게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말했다.

이기철 선임기자 chuli@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