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등 영양 과잉 섭취로 고혈압과 당뇨, 비만 등 만성질환 환자가 늘어 국민건강에 빨간불이 켜진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당국이 이런 만성질환을 줄이기 위한 국민 영양관리정책을 재정비하고 실효성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2일 국회입법조사처의 ‘한국인의 영양소 섭취 현황과 시사점’(장영주 입법조사관) 보고서를 보면, 1990년 이후 국민의 식품소비 패턴이 급격히 변하면서 지방과 에너지, 단백질 등 주요 영양소 섭취량이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국민소득 증가와 식품산업 발전, 수입식품 증가 등으로 말미암은 결과다.
실제로 질병관리본부의 1998~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국민 1인당 1일 영양소 섭취수준은 지방은 1998년 40.8g에서 2013년 47.7g으로 15년 사이에 6.9g(16.9%) 늘었다. 가공식품으로 섭취하는 당류는 2010년 38.8g에서 2012년 40.0g으로 증가해 국민건강의 위험요인이 되고 있다.
나트륨은 2005년 5천256.6mg까지 치솟았다가 범정부차원의 나트륨 줄이기 운동에 힘입어 2013년 4천27.5mg으로 떨어지긴 했지만, 여전히 세계보건기구(WHO)의 권장량(2천mg)보다 2배 이상을 섭취했다.
한국인의 이런 영양과잉 섭취 실태는 연도별 영양소 섭취 과잉·부족자 현황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국인의 영양소 섭취기준’(키·체중·연령 고려해 설정)과 비교해 산출한 에너지·지방 과잉 섭취자 분율은 2005년 7.0%에서 2013년 9.7%로 2.7%p 증가했다.
반면, 영양소 섭취 부족자 분율은 2005년 11.6%에서 2013년 7.7%로 3.9%p 감소했다.
에너지·지방 과잉 섭취자 분율은 에너지 섭취량이 필요추정량(또는 영양권장량)의 125% 이상이면서 지방 섭취량이 에너지적정비율을 초과한 분율을 말한다.
영양섭취 부족자 분율은 에너지 섭취수준이 필요추정량(또는 영양권장량)의 75% 미만이면서 칼슘, 철, 비타민A, 리보플라빈 등의 섭취량이 평균필요량(또는 영양권장량의 75%) 미만인 분율을 뜻한다.
가장 큰 문제는 지방 등 영양소 과잉 섭취에 따른 불균형으로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비만 유병률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연도별 만성질환 유병률 추이(2005~2013년)를 살펴보면, 만 30세 이상 남자는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고콜레스테롤혈증, 고중성지방혈증), 비만 유병률이 거의 해마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5년과 비교해 2013년 고혈압은 31.5%에서 32.4%, 당뇨병은 10.5%에서 12.8%, 고콜레스테롤혈증은 7.2%에서 13.6%, 비만은 34.7%에서 37.6%로 8년간 각각 0.9%p, 2.3%p, 6.4%p, 2.9%p 증가했다.
만 30세 이상 여자는 2005년과 견줘 2013년 당뇨병은 10.5%에서 12.8%로, 고콜레스테롤혈증은 8.4%에서 15.9%로 각각 늘었다.
보건복지부는 만성질환을 예방, 관리하고 영양개선을 목적으로 2010년 국민영양관리법을 만들고 제1차 국민영양관리기본계획(2012~2016)을 시행 중이다.
하지만, 복지부의 컨트롤타워 기능이 미약하고, 광역시도와 시군구 또한 기본계획을 수행할 인프라가 부족하거나 오히려 축소돼 성과는 미진한 상황이다.
보고서는 “복지부는 성별, 연령별, 지역별, 소득계층별로 건강문제와 영양소 섭취문제를 발굴하고, 지역별 인프라 역량에 맞게 선택과 집중 전략을 구현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보건당국이 이런 만성질환을 줄이기 위한 국민 영양관리정책을 재정비하고 실효성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2일 국회입법조사처의 ‘한국인의 영양소 섭취 현황과 시사점’(장영주 입법조사관) 보고서를 보면, 1990년 이후 국민의 식품소비 패턴이 급격히 변하면서 지방과 에너지, 단백질 등 주요 영양소 섭취량이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국민소득 증가와 식품산업 발전, 수입식품 증가 등으로 말미암은 결과다.
실제로 질병관리본부의 1998~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국민 1인당 1일 영양소 섭취수준은 지방은 1998년 40.8g에서 2013년 47.7g으로 15년 사이에 6.9g(16.9%) 늘었다. 가공식품으로 섭취하는 당류는 2010년 38.8g에서 2012년 40.0g으로 증가해 국민건강의 위험요인이 되고 있다.
나트륨은 2005년 5천256.6mg까지 치솟았다가 범정부차원의 나트륨 줄이기 운동에 힘입어 2013년 4천27.5mg으로 떨어지긴 했지만, 여전히 세계보건기구(WHO)의 권장량(2천mg)보다 2배 이상을 섭취했다.
한국인의 이런 영양과잉 섭취 실태는 연도별 영양소 섭취 과잉·부족자 현황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국인의 영양소 섭취기준’(키·체중·연령 고려해 설정)과 비교해 산출한 에너지·지방 과잉 섭취자 분율은 2005년 7.0%에서 2013년 9.7%로 2.7%p 증가했다.
반면, 영양소 섭취 부족자 분율은 2005년 11.6%에서 2013년 7.7%로 3.9%p 감소했다.
에너지·지방 과잉 섭취자 분율은 에너지 섭취량이 필요추정량(또는 영양권장량)의 125% 이상이면서 지방 섭취량이 에너지적정비율을 초과한 분율을 말한다.
영양섭취 부족자 분율은 에너지 섭취수준이 필요추정량(또는 영양권장량)의 75% 미만이면서 칼슘, 철, 비타민A, 리보플라빈 등의 섭취량이 평균필요량(또는 영양권장량의 75%) 미만인 분율을 뜻한다.
가장 큰 문제는 지방 등 영양소 과잉 섭취에 따른 불균형으로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비만 유병률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연도별 만성질환 유병률 추이(2005~2013년)를 살펴보면, 만 30세 이상 남자는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고콜레스테롤혈증, 고중성지방혈증), 비만 유병률이 거의 해마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5년과 비교해 2013년 고혈압은 31.5%에서 32.4%, 당뇨병은 10.5%에서 12.8%, 고콜레스테롤혈증은 7.2%에서 13.6%, 비만은 34.7%에서 37.6%로 8년간 각각 0.9%p, 2.3%p, 6.4%p, 2.9%p 증가했다.
만 30세 이상 여자는 2005년과 견줘 2013년 당뇨병은 10.5%에서 12.8%로, 고콜레스테롤혈증은 8.4%에서 15.9%로 각각 늘었다.
보건복지부는 만성질환을 예방, 관리하고 영양개선을 목적으로 2010년 국민영양관리법을 만들고 제1차 국민영양관리기본계획(2012~2016)을 시행 중이다.
하지만, 복지부의 컨트롤타워 기능이 미약하고, 광역시도와 시군구 또한 기본계획을 수행할 인프라가 부족하거나 오히려 축소돼 성과는 미진한 상황이다.
보고서는 “복지부는 성별, 연령별, 지역별, 소득계층별로 건강문제와 영양소 섭취문제를 발굴하고, 지역별 인프라 역량에 맞게 선택과 집중 전략을 구현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