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란만장한 인생을 살았던 시대의 명창 박녹주(1905∼1979)의 1969년 10월 모습이다. 6·25 때 한쪽 눈을 잃어 선글라스를 끼고 있다. 경북 선산 출신인 박녹주는 일제강점기부터 최고의 명창으로 군림했고 대구 달성권번과 서울 한남권번의 명기(名妓)로 이름을 날렸다.
동편제의 거목으로 인간문화재 5호인 그녀는 판소리 춘향가와 흥보가에서 따라올 사람이 없었다. 그러나 그녀의 굴곡진 삶은 판소리 서편제처럼 서글펐다. 특히 그녀는 ‘봄봄’ ‘동백꽃’으로 유명한 세살 아래 소설가로 연희전문을 다녔던 김유정(1908~1937)으로부터 광적인 사랑, 요즘 말로 하면 지독한 스토킹을 받은 일화로 유명하다. 녹주에게 첫눈에 반한 유정은 밤마다 연서를 써 보냈다. 편지를 아무리 보내도 답장이 없자 유정은 녹주의 집을 찾아가 대성통곡을 하기도 한다. 녹주가 소리하는 사람이 학생과 연애를 할 수는 없다고 하자 유정은 학생과 소리하는 사람이 사랑해서 안된다는 규정이 어디에 있냐고 대들며 사랑이란 국경이 없는 것이라고 열변을 토하기도 했다.
유정은 늘 그녀의 공연장을 찾아가 밖에서 기다렸지만 녹주는 만나주지 않았다. 녹주는 이미 다른 사람의 소실이 되어 있어 유정을 받아들일 수 없었던 것이다.
결국 유정은 혈서 편지를 보내는가 하면 녹주를 죽이겠다고 협박을 할 정도로 병적으로 변해갔다. 연모의 감정이 복수심으로 바뀐 것이다. 유정의 소설 ‘생의 반려’와 ‘두꺼비’는 그와 녹주의 관계를 소재로 쓴 자전적인 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손성진 국장 sonsj@seoul.co.kr
유정은 늘 그녀의 공연장을 찾아가 밖에서 기다렸지만 녹주는 만나주지 않았다. 녹주는 이미 다른 사람의 소실이 되어 있어 유정을 받아들일 수 없었던 것이다.
결국 유정은 혈서 편지를 보내는가 하면 녹주를 죽이겠다고 협박을 할 정도로 병적으로 변해갔다. 연모의 감정이 복수심으로 바뀐 것이다. 유정의 소설 ‘생의 반려’와 ‘두꺼비’는 그와 녹주의 관계를 소재로 쓴 자전적인 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손성진 국장 sonsj@seoul.co.kr
2013-05-08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